Insert Link

MS 오피스 문서(엑셀,워드,파워포인트) 및 PDF 문서를 구글문서에 링크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구글크롬에서  Gmail에 접속합니다. 상단부에 있는 구글문서(또는 Drive)를 클릭하면 구글 문서도구함(또는 Drive) 탭이 열립니다.
  2. 탐색기에서 업로드할 파일을 선택해서 크롬(구글 문서도구함 탭)에 Drop합니다.
  3. 문서변환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변환으로 선택합니다(다시 묻지 않음을 체크합니다)
  4. 우측하단에서 구글문서로 변환 되는 모습이 보입니다. 변환이 완료되면 문서목록상단에 변환된 문서 파일명이 보입니다.
  5. 해당 문서를 클릭하면 새로운 탭으로 열립니다. 새로운 탭에서 우측상단에 “공유”를 누릅니다.
  6. 문서권한이 나오면 “변경”을 누르고 가운데에 있는 “링크가 있는 사용자에게 공개”를 선택하면 상단부에 URL이 나옵니다. (권한은 “Comment 가능”을 선택합니다)
  7. 나오는 URL을 원하는 문서에 링크합니다.

참고글: 링크 삽입 – Google 문서도구 도움말

클라우드 자료관리의 시작은 링크를 관리하는 것

p.s  ‘참고(參考)’는 ‘살펴서 생각함’ 또는 ‘살펴서 도움이 될 만한 재료로 삼음’이란 뜻, ‘참조(參照)’는 ‘참고로 비교하고 대조하여 봄’

Zero Work 특집 #정보관리

Zwork 에서  ework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개인 생산성을 위한 Zero Work, 팀협업을 위한 Energy Flow 로 구분되었습니다. 8/31) 빨리 하는 것보다 전체 에너지를 고려해서 하는게 중요하더군요. Zwork에서 정보관리로 연재되었던 글을 다시 정리해서 소개합니다. 중복되거나 유사한 글은 합쳤습니다. (링크글 하부에 같이 있습니다) 또한, 정보처리 단계별 – 정보의 수신, 저장, 찾기 및 분석을 기본으로 하고 정보구독(읽기) 및 분류 공유로 구분하였습니다.

  1. 수신(메일) #ZWork: 여러 계정의 Mail을 한군데로 모으는 방법(통합)
  2. 수신(분류) #ZWork: Gmail Label 관리하는 법, 숨겨진 Label 찾는 법 그리고 Tips
    .
  3. 저장(협업) Cloud #ZWork: Cloud를 직업 및 개인별로 적용한 사례
    .
  4. 찾기(검색) #ZWork: 검색 Tip 12가지
  5. 분석(Trends, 상관관계) #ZWork: Google Trends,Correlate 사용하기
    .
  6. 읽기(받아서) RSS #ZWork: RSS 기초
  7. 읽기(찾아서) Alert #ZWork: 관심주제에 대해서 자동으로 검색결과를 보내준다: 구글 알리미(alerts)
  8. 읽기(나중에) #ZWork: Read It Later(Pocket)
  9. 분류(공유) #ZWork: Delicious 가입방법, 사용법 및 주요특징

(Evernote Notebook으로 보기)

storify 글정리 R120630

타임라인의 글과 링크를 묶어 새로운 글로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editoystorify 두가지가 있는데요. storify는 iPad 버젼이 있어  손으로 편집할 수 있고 wordpress export 기능도 있어서 storify를 쓰고 있었습니다. tweetbot에서 대화 자동 보내기가 있는 점도 가점이 되었습니다. 예전 큐레이션 글들을 어떻게 할 까 하다가 이렇게 마무리 지었습니다. 또 다른 블로그 글로 포스팅되겠지요.

  1. 강의안 및 가치공유하기
  2. 정보는 간결하게 생각은 깊게
  3. 외국회사 이력서 작성시 참고사항
  4. 만화DB 찾는 방법
  5. 인사이드 애플 후기
  6. 인사이드 현카 후기
  7. 시간관리시 사용시간 기록하기의 장점

For New @Evernote Users

초보사용자를 위한 목차를 만들었습니다. 제가 가르친다면 어떻게 가르칠까 생각해봤죠. 아래 순서대로 해보시고 대부분 아신다면 중급으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1. 기초
    1. Note 만들기 – Mobile, Chrome
    2. Notebook 만들기
  2. Notebook 구분하기
    1. 보관(Archive)
    2. 쓸글(Someday)
    3. 그리고 현재(Inbox)
  3. 컴퓨터에 Evernote 를 설치해서 활용하기
    1. 검색법
    2. 단축키 액기스(생성 / 동기화등)
    3. 노트의 이동
    4. 태그의 이동, 분류
    5. Stack
  4. 정보관리의 분류
    1. 구분: 쓸일, 할일, 기록
    2. 쓸일
    3. 할일
    4. 기록
  5. Evernote Tips sss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기시면 됩니다. 중급사용자를 위한 목차 : Chrome + 연계사용에 관한 내용입니다.

자료모음 @Evernote R120614

  1. 에버노트와 관련해서 그동안 작성했던 글 목록입니다. Z log에서 기본적인 내용들을 기술했었고 필요하겠다 싶어서 Notebook 관리 및 Tag 관리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2. 목차

    1. Notebook 관리법

    2. Tag 연계(Read it Later(Pocket))

    3. Z log에서 Evernote와 관련해서 읽어볼만한 글들(Label 분류 글 포함)

    4. Evernote 자료모음

    5. Evernote 질의응답

  3. #evernote Notebook관리법 ( Tag Tip)
    Thu, Jun 14 2012 07:34:05
  4. #evernote #readitlater 연계 정보관리 Tip #gmail label은 옵션
    Thu, Jun 14 2012 07:34:05
  5. 아래 글보다 위에 있는 사진들이 최신입니다. 종합판이라고는 했지만 어떤 활용사례중에 하나일 뿐이죠. 이 당시만 해도 evernote를 Cloud Memo정도로 생각했는데 요즘은 Mobile  Platform 으로 발전해 가는 양상이더군요.

  6. Zlog21에서 evernote 와 Email 로 Label 분류되어 있는 글들의 목록입니다.

  7. Evernote와 관련한 자료모음

  8. Evernote 질의응답

정보관리 w/ @ifttt

ifttt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은 각각 channel이라고 불리운다. http://ifttt.com/channels 채널에 속해있다는 것 자체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고, 유용하다는 증거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서비스들을 구분해보면 자료의 취합, 컨텐츠의 생성, 보관분류, 선별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gmail이나 evernote로 자료를 취합하고 blog로 컨텐츠를 생성하고 다시 분류 보관되어 다시 새로운 정보의 소스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중에서 쓸만한 내용이나 중점적인 내용은 다시 선별되게된다. 이런 과정을 ifttt로 자동화 할수 있는 것이다.

  1. 활용법: (정보취합–>생성–>보관분류) –> 선별(큐레이션)  – 각각 한줄별로 하나의 ifttt의 recipe를 생성하면 자동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 글, 사진등으로 생성된 컨텐츠는 모두 블로그(WordPress 나 blogspot)로 모여서 발행되고,
    – 발행되면서 자동적으로 Delicious에 분류가 된다.
    – 그리고 Buffer에 자동 포스팅 된다.  buffer에 올라간 글들은 숨을 고르며 트위터, 페이스북, 링크드인중 선택해서 발행하며
    – 이 때 발행된 트위터의 글들은 evernote로 자동 backup 된다. 그리고 그 글들은 다시 블로그의 소재가 된다.
  2. 구글 캘린더: 포스퀘어나 블로그를 ifttt를 통해 캘린더로 연동하면 구글 캘린더에 등록한 시간도 자동으로 등록이 된다. 포스퀘어후에 에버노트를 메모하면 해당 장소에 대한 메모라며 제목도 자동으로 입력이 된다.
  3.  SMS : 해뜰때나 해질때 날씨와 온도, 특정온도 이하, 이상인경우등 조건변동에 대해서 조건을 설정하면 문자로 받을 수 있다.
  4. Favorite: 채널별 Favorite시 Action을 수행할 수있다. 트위터에서 delicious로 보내거나 instagram에서 블로그로 Posting 되게 하거나.
  5. PDF : Dropbox에 연결하면 특정내용을 PDF로 바꿔서 저장한다.

많이 사용하는 Gmail, Twitter, Facebook, evernote, blog(wordpress,blosgpot) 외에 추천하는 채널은 Delicious, Pocket, Buffer 이다.  정리공유하고 읽어보고 발행하는데 여유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채널들이기 때문이다. 위의 5가지에 아이디어를 버무리면 또 다양한 활용법이 나온다.  너무 많이 레시피를 설정하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사색의 쉼표를 넣어 직접 정리하는 것도 기억을 되살리는데 도움이 된다.

취합, 생성, 분류, 보관, 선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