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me @kwang82

평소에 자주쓰고 있고 추천할 만한 구글 크롬 익스텐션에 대해 친절한 설명글이 있어 링크합니다.

부연하자면

  1. 읽을 거리가 집중을 방해할때 Pocket에 넣어놓고(Posthoc 라는 익스텐션에 옵션 기능이 있어서 저는 Posthoc을 사용합니다)
  2. 트윗도 Buffer로 저축해놓고
  3. 클리어리보다는 Evernote의 기본 익스텐션을 추가합니다.(포켓에 보다보면 클리어리는 그닥 필요없게 될수도 있습니다)

관련글:  Chrome extensions 정리 Rev 120803 « #eWord

Fine Focus

Set a time limit, Close everthing and Pause before switching – » Three Little Habits to Find Focus :zenhabits.

타이머는 스마트폰에도 있는 기능이지만 별도로 하나 구비해도 괜찮다. 시간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주관적이던가. 실제로 하는 일을 스스로 점검해보는 것은 자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체시간을 다 하는 사람도 있지만 필요한 시간대만 지정해서 하는 것이 낫다.  그리고 시간대를 설정하는건 20분단위가 적당한 것같다. 필요한 시간은 휴식과 버퍼를 고려한 30분이어야 겠지만.

모든 것을 닫으려면 미루어 놓는 공간을 놓는것이 좋다. 추천하는 서비스는 Pocket 그리고 물품은 Post-it. 웹서비스는 포켓에 담아놓고. 소소한 일은 Post-it에 모아놨다가 모아서 하는 것이 좋다. 책상과 바탕화면을 비워놓는 것도 도움이 된다. 금방 지저분해지기 쉬운만큼 비워놓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장소가 깨끗해지려면 최종 처리장소가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현장은 분리수거장이며 사무실은 탕비실과 복합기 부근이며 개인은 책상(바탕화면은 온라인 책상)이다.

Pause. 전환하기전에 5~10초간 정지. 간단하지만 중요하다. 바쁘게 하다보면 에너지는 쉬운쪽으로만 흘러간다. 생각을 가다듬고 에너지를 높은곳으로 모으려면 잠시 중지하고 호흡을 가다듬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을 설정하고 모든것을 정리해도 잠시 멈추고 가다듬는 것이 없다면 엉뚱한 일을 하기 쉽다. Pause 도 좋지만 Breathing 도 좋겠다. 현대인에게는 천천히 호흡하는 시간조차도 항상 부족한 상태다.

덧붙여. 이 세가지를 얼마나 하는지 매일매일 돌아보는 것이 지속하는 힘이 된다. 잘 안되는 것이 당연하므로 안되는 것에 신경쓰지 말고 게임하듯이 매일매일 늘어나는 점수를(정체될 때도 있겠지만) 즐기는 것이 좋다. 어제보나 오늘이 나아졌다면 시간은 우리의 편이다.

정보관리 w/ @ifttt

ifttt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은 각각 channel이라고 불리운다. http://ifttt.com/channels 채널에 속해있다는 것 자체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고, 유용하다는 증거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서비스들을 구분해보면 자료의 취합, 컨텐츠의 생성, 보관분류, 선별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gmail이나 evernote로 자료를 취합하고 blog로 컨텐츠를 생성하고 다시 분류 보관되어 다시 새로운 정보의 소스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중에서 쓸만한 내용이나 중점적인 내용은 다시 선별되게된다. 이런 과정을 ifttt로 자동화 할수 있는 것이다.

  1. 활용법: (정보취합–>생성–>보관분류) –> 선별(큐레이션)  – 각각 한줄별로 하나의 ifttt의 recipe를 생성하면 자동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 글, 사진등으로 생성된 컨텐츠는 모두 블로그(WordPress 나 blogspot)로 모여서 발행되고,
    – 발행되면서 자동적으로 Delicious에 분류가 된다.
    – 그리고 Buffer에 자동 포스팅 된다.  buffer에 올라간 글들은 숨을 고르며 트위터, 페이스북, 링크드인중 선택해서 발행하며
    – 이 때 발행된 트위터의 글들은 evernote로 자동 backup 된다. 그리고 그 글들은 다시 블로그의 소재가 된다.
  2. 구글 캘린더: 포스퀘어나 블로그를 ifttt를 통해 캘린더로 연동하면 구글 캘린더에 등록한 시간도 자동으로 등록이 된다. 포스퀘어후에 에버노트를 메모하면 해당 장소에 대한 메모라며 제목도 자동으로 입력이 된다.
  3.  SMS : 해뜰때나 해질때 날씨와 온도, 특정온도 이하, 이상인경우등 조건변동에 대해서 조건을 설정하면 문자로 받을 수 있다.
  4. Favorite: 채널별 Favorite시 Action을 수행할 수있다. 트위터에서 delicious로 보내거나 instagram에서 블로그로 Posting 되게 하거나.
  5. PDF : Dropbox에 연결하면 특정내용을 PDF로 바꿔서 저장한다.

많이 사용하는 Gmail, Twitter, Facebook, evernote, blog(wordpress,blosgpot) 외에 추천하는 채널은 Delicious, Pocket, Buffer 이다.  정리공유하고 읽어보고 발행하는데 여유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채널들이기 때문이다. 위의 5가지에 아이디어를 버무리면 또 다양한 활용법이 나온다.  너무 많이 레시피를 설정하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사색의 쉼표를 넣어 직접 정리하는 것도 기억을 되살리는데 도움이 된다.

취합, 생성, 분류, 보관, 선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