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ctivated Facebook

페이스북이 전화번호와 같은 필수재가 될것이라는 의견에는 변함이 없다. 가장 인구가 많고 계속 새로운 사람들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World Population: 1 @facebook 2 China 3 Tencent 4 India 5 @WhatsApp 6 @LinkedIn 7 United States 8 @instagram 9 @twitter 10 @Snapchat— Vala Afshar (@ValaAfshar) August 22, 2015

하지만 Social Media의 Distaction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를 계속 보게 되었다. 타인과 비교하게 되는 현상의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도 계속 들리는 문제중 하나였다. 새로운 시도를 통해 어떤 방법이 좋은지 생각해보려한다.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중요한 일들은 마쳐서 시기도 적당했다. 그 시도란 연결을 최소화하고 지내보는 것이다.

페이스북에 대한 애증을 반영하듯 꽤 많은 논점과 기록을 남기고, 탈출시도를 했다가 다시 돌아오기도 했지만 이번에는 조금 다르다. Social Media 및 연결을 최소화하고 그에 대한 작용들을 보는 것이다.

Deactivate 할때 운영하는 Page 가 있다면 admin 권한을 인계해줘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페이지 자체가 안보인다. 페북그룹에는 내가 남긴 글이 안보인다고 하는데 그건 별다른 방법이 없는 것같다.

그냥 접속을 안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맺음에도 품의가 필요하다. 내 글이 그냥 휘발된다면 더 강력하게 휘발시키는 것도 방법이다.

인생에서 이별은 불가피하다. 예전엔 작별이 물리적 거리였다면 이젠 침묵이다.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의 경계가 무한확장되고 흐려지면서 인간 관계의 시작과 맺음도 품위를 잃었다. 온라인에서도 절제와 인내가 필요하다. http://t.co/sVLeucVZLR— Journey (@atmostbeautiful) March 4, 2015

관련글

여러개의 소셜채널 관리하기 2014

초기 트위터나 페이스북에서는 참여자가 적었지만 좋은 정보를 찾기는 쉬웠다. 현재 참여자는 많아졌지만 좋은 정보를 찾기는 어려워졌고, 비슷하지만 같은 정보의 중복노출로 인한 시간낭비도 심해졌다. 2014년 어떻게 피드들을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 쓰는 것과 읽는 것.

상황의 변화

많은 친구들에게 적은 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페이스북 방식에서 적은 수의 친구들과 메시지를 자주 교환하는 방식으로 변화가 되고 있다.
Mary Meekers 2014
출처: Mary Meekers 2014 Internet Presentation – Business Insider

변화는 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참여는 계속 이어지고 있고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SNS의 무용에 대한 논란도 있지만 아래 사례들을 보면 메세지가 담긴 글들은 그 힘이 있다.

왜 사용하는가

같은 칼도 쓰임에 따라 그 용도가 다양하게 바뀐다. 온라인 도구들도 마찬가지로 그 목적에 따라 적절한 효용이 달라질 것이다. 나는 life log 및 생각의 흔적을 내어보기 위함이 가장 크다. 참여자가 많을수록 쏠림은 심해진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모두 마찬가지다. 당신이 쏠림을 모을수 있다면 여러채널은 각각 좋은 도구가 되겠지만 휩쓸리기만 한다면 시간만 흩어질 것이다.

어떤 것이든 한가지를 잘 쓰면 된다. 한곳에 모인 생각의 흔적들을 주기적으로 돌아보고 주제별로 하나둘씩 나눈다면 스스로에 대해 알게될 것이다. 많아지면 달라진다. 양이 늘어나면 질이 변경되는 시점이 있다.

채널별 특징

페이스북을 계속 쓴다면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와 링크에 기대어 덧글만 내는 것이 아니라 위 사례에서 보듯 자신의 생각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매년 어떤 시기에 자신이 어떻게 생각을 했는지 다시 돌아보기 쉽다.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는 서비스로서 회원가입도 쉬워지고 연결된 사람들과 연락처도 자동연동이 된다. 연말이 되면 한해의 주요사진을 영상으로 변경해준다. 단점이 있다면 폐쇄성과 광고다. 어떤 글들은 로그인을 꼭해야하기 때문에 한동안 페이스북을 안쓰는 지인들은 로그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렸기때문에 그 글을 같이 공유할 방법이 없다. 광고는 광고가 방해를 하는경우와 연결된 사람들이 올리는 내용이 광고와 비슷한 정도인 경우가 있다.

페이스북 그룹은 주제별로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참여자의 수준이 비슷하거나 정보의 Loop를 연결하는 체계를 갖추지 못한다면 될것같다가도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많다. 개인과 연결된 사람들은 정보보다 관계에 반응하기 때문에 그룹을 잘활용하면 좋겠다 싶었지만 초보자의 질의응답수준에 머물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오히려 구글+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겠다.

트위터는 한국 참여자가 많이 없어졌다. 누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정보의 질이 달라진다. 선택하는 것도 실력이다. 외국 각계의 CEO들의 목소리를 직접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교황님까지도.

정보의 홍수시대에 오히려 블로그는 더욱 중요해졌다. 만약 당신이 책을 쓰거나 언론에서 어떤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경우라면 불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인이라면 자신의 생각을 나타낼 수 있는 블로그는 하나 있어야 한다. (네이버 블로그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블로그가 아니라 소셜이다. 서로 퍼가기를 장려하기 때문이다)

구글플러스(google+)는 모두 계정이 하나씩 있다. 정작 본인이 모르는게 문제인데. 안드로이드폰을 쓰면 gmail 계정을 하나씩 만들기 때문이다. 그 비밀번호를 잊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쓰지는 않더라도 알고는 있다면 언젠가 쓰임이 있을때가 있다. 구글+ 에서는 사진을 관리하기가 좋다. 자동백업 (설정Tip:통신비를 위해 wifi 지역에서 동기화, 무제한 용량활용을 위해 full size 백업해제) 되면서 주요사진을 선별해서 일기 대신 활용이 가능하다. 최근 구글스토리기능도 나와서 여행다녀온 사진을 잡지앨범처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가끔 여러장의 사진을 gif로 만들어줘서 예상못한 즐거움을 주기도 한다.

행아웃(Hangouts)은 구글+ 계정과 연동된다. 컴퓨터, 모바일에서 동시사용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카톡이 최근 맥에서도 사용할수 있게되었지만 기능에 한계가 있다) 여러명이 대화하는 경우 누가 확인했는지 안했는지가 하단에 아이콘으로 나오는 장점이 있다.

어떻게 쓰는게 좋을까

  • 구글플러스로 자동백업후 선별되는 사진(Highlights)만 관리하면 쉽게 사진일기가 된다. 구글스토리로 여행앨범이 생성되는 건 보너스(추가 팁을 덧붙이자면 구글+(지메일)계정을 씀에 있어서 업무용과 개인용을 구분하는 것이다. 그렇게 구분할때 도움되는 부분들이 있다)
  • 페이스북은 다른 서비스 로그인용 및 지인들과 연락하기위한 용도로 쓴다. 페이스북 계정이 있어야 읽을 수 있는 의견들이 있긴한데 앞으로는 별로 읽을 것 같지 않다. 가끔 농담하기에도 유용하다. 그정도.
  • 트위터는 시점을 남기고 글감을 모으기 좋다. 수정이 안되기 때문이다. 글감으로 쓰고난 후에 사용된 트윗은 삭제한다. Storify와 같이써도 좋다.
  • 블로그는 호흡을 길게 가져간다. 생각하면 좋은 글이 나올 것 같아서 정작 써보면 그렇지 못한경우가 많기 때문에 계속 훈련해야한다. 글을 쓰는 능력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영어라면 더욱 좋을 것이다. (워드프레스가 이성적인 블로그라면 텀블러는 감성적인 블로그라 하겠다)

결국 트위터는 블로그로 수렴되고 블로그는 책으로 수렴된다. 그렇게 생명력있는 글을 쓸줄 아는 것이 내 목적이다. (RSS를 구독하는 경우 소셜피드와 같지만 RSS를 쓸수 없는 사람은 몰라서 못 쓰고, 쓰는 사람은 피드등록이 너무 많아서 못보는 경우가 있다. 전부다는 아닐지라도 간간히 자신의 채널에 공유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그렇게 생각에 대한 자신의 마을이 있다면 파편화된 채널속에서 중심을 잡고, 친구들과 가치있는 정보를 나누는데 도움이 된다.

Fusion Table 소개

주소정보를 가진 Database를 시각적자료로 쉽게 변환해주는 Fusion Table에 대한 설명자료 모음.

“문화재 지리정보 홈페이지에서 각 지역별 문화재 자료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하였다. 국가 보안에 위배되지도 않을뿐더러 공개되었을 경우 관광, 레저 등 다양한 문화적 시민 활동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겠기에 Open Government Data 의 사례로 국내에서 가장 적합한 것이 문화재 자료인데 아직 데이타 공개수준이 부족하다.

각 필드에는 문화재이름과 타입, 주소, 지정날짜 정보에서 Visualize 메뉴의 Map 을 선택하면 맨 위 상단과 같은 포인트 지도를 만들어 준다. 수많은 데이터의 분포 패턴 시각화 정보 전달을 위해 HeatMap도 지원한다.

Ecosystem of Data; Google Fusion Tables 와 같은 서비스와 툴의 부재보다는 인터넷 기반의 Open Data 생태계와 점점 멀어지는 우리 현실에 대한 걱정과 아쉬움이 더하는 순간이다. ” – 출처:  GeoThink :: Google Fusion Tables로 만들어본 우리나라 문화재 분포지도.

Fusion Table 적용사례 - 확대하고 클릭하면 입력정보가 나온다
Fusion Table 적용사례 – 확대하고 클릭하면 입력정보가 나온다

안내글 : https://support.google.com/fusiontables/answer/184641

+ 아래 슬라이드가 있는 “기자들 취재, 기사작성에 유용한 소셜툴” 에도 간단한 설명이 나온다. Fusion Table에 대한설명뿐 아니라 소셜을 활용한 자료검색, 기사발행등에 대한 좋은 Tip들이 많아서 Clip

Active X

기업인이 Social 계정을 운영하는 경우 참으로 어렵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타임라인이 있어서 보관.

‘서로 뭐라고 하는지 이제 잘 알았으니, 당장 모든 카드 회사가 페이게이트와 알라딘을 지원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감독원도 보안인증 받은 원안대로면 지원하라고 했다니까요. 사용자들은 급하니 빨리 지원은 해놓고 거기에 따르는 불편함과 보안 문제는 여유를 가지고 따지시고요. 혹시 그렇게 할 경우에 보안이 염려된다고요? 그러면 혹시 감독원의 보안인증을 불신하고 대놓고 무시하시는 건가요?’ via 이찬진 130808 – Google+ 

130718 대포발사

130726 확인 사살

130808 전혀관련없는 참고 트윗

#SORIMOA Media Channels

“없애면서 해야 할 수 있어. 공연준비일정도 짧고 해야 할 일도 많을거야 우선은 하던대로만 해. 먼저 써보고 천천히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면 돼.”

커뮤니케이션, 홍보 및 협업에 대한 전체 Map을 후배들에게 알려주면서 마지막으로 했던 말이고 가장 중요한 말이다. 전부를 다 하려는 것보다 한가지씩 대체하며 정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려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그간 만들어져 있던 채널을 정리했다. #SORIMOA: Sorimoa Media Channels. 이 채널중 트위터를 만든 후배에게 Map을 보여주면서 물었다. 얼마나 소화할수 있을거라 생각해?

“5% 정도하면 많이 한거에요”

그래. 한 5년정도는 걸리겠지. 그것도 이번에 시작할수 있다면. 작년에는 실패했지만 그래도 이번엔 ‘시작은’ 될것 같다. 언제 어떤 모습으로 어느정도 내가 생각했던 모습이 구현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왜”이렇게 알려주고 이야기를 하려하는지는 ‘지금’이 아니면 왜곡될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리했다. 이야기하면서 잊었던 부분들이 떠오르고 더 생각이 넓어진 부분도 있고.

Why? 2년전 동아리가 상당히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참여하는 인원이 워낙 적어 동아리가 존폐의 기로에 놓여있을정도란다.  취업준비하기도 바쁜현실에 동아리라는건 시간낭비로 느껴질수(실제로 그런부분도 있고)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준비하는데, 홍보하는데 노력이라도 적게 들어가게 해주고 싶었다. “뻘짓금지”

Why? 공연을 준비하는 것도 멋지게 할수 있고 그 자체가 캐리어로서 도움이 될수 있다. 그걸 알려주고 싶었다.  “폼나게”

Why? 후배들과 선배들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가진 선배와 후배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거라 생각했다.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은 같다. 또한, 바쁜 일상에 매몰되어 사는 선배들이 다시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나이가 들어 ‘잉여로워진 선배’들에게도 추억과 새로운 열정을 불러일으킬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것도 서로에 대해 알아야 생긴다.

Why? 많이들 준비는 하는데 준비하고난 다음에 결과가 각자의 기억과 디카, 컴퓨터에서 잠자고 있을 뿐이다. 노력의 결과가 좀더 온전히 보존되고 더 많은 사람이 즐길수 있었으면 했다.

Why? 이제 사람들은 거리에 있지 않다. 웹에 있는 사람들이 더 많다. 컨텐츠가 모이면 힘이된다. 후배들이 발품팔아가며 홍보를 요청하지 않아도 된다.(사실 이젠 요청할 곳도 없단다) 홍보가 가능하다.

“해야할거라면 폼나게 잘하고 그 경험을 자산으로 만든다. “

그 시작은 블로그. 블로그라는 점에서 정보의 교량이 놓여질것이다.

😐 이 Map을 조금만 응용하면 어떤 기업이나 사회적기업, 단체에서도 협업,지식관리체계로 사용할 수 있다.  얼마나 해낼지 몇년후에 전체 Map이 그려질지 찬찬히 지켜보련다.(참고글: Task 협업관리 120805| #eWordCompetitiveness 2.0 130702| #eWord.)

Social Media Handbook

미 육군 소셜미디어 사용 지침서 Ver 2 (2011년도)

Power Blogger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길래
다들 페북을 봤는데
그냥 전화번호부였던 것이다.

카스(카스)도 한잔하고
커피(드립;트윗)도 한잔마시고
줄(라인)만들어 고무줄(밴드)놀이도 했지만 시간만 흘러가는구나

블로깅은 조금 나으려나 했는데
잘못하면 거지된다.

Facebook home “Dinner”

페이스북홈 광고에 대한 따끔한 비판의 글이 Wired에 실렸습니다. 필자는 이 광고의 위험성에 대해 지적하면서 <이기심을 전염시키는 프로파간다>라고 말하고 있네요. 악덕을 미덕으로 탈바꿈시키는 메세지라는 주장입니다. via Sungwoo Kim – Google+ .

😐 저녁식사라. 페이스북의 역사에도 석양이 드리워지는구나. 아무런 의미없이 소셜에서 노니는 것은 사춘기 아이들이 친구들과 노는 것과 별반차이가 없다는 논평을 보았는데 동영상들을 보니 더욱 확신이 든다. 한두번의 실수로 그 사람을 단정지을 수도 없지만 사소한 한두가지(사람의 한마디,태도나 기업의 광고,PR이 그렇다)에서 그 전체가 읽히기도 한다. 이 영상들과 같이 “같은 공간에서 딴짓하기”가 페이스북의 비젼이라면 계산서가 남은 사람에게 청구되기 전에 저녁식사를 마치고 먼저 나오는 편이 나을 것 같다.

[참고글]SNS의 저주가 누군가에게 꽂힐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