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벼락을 뒤돌아 보았다. 나는 그동안 어떤 글을 써왔었나. 어떤 일이 있었나 되돌아 보고 싶었다. 바쁜 생활에 간간히 친구,지인들과 농담할수 있는 공간이었고, 만나진 못하더라도 같은 생각을 나눌수 있는 공간이었다. 나눈다 보다는 찾는다는 표현이 더 적합했을까. 2011년 1월. 그때 모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구나. 2010-2011경에는 전부를 이야기했더니 어렵다 해서 그 다음 부터는 가능한 부분만 이야기한다. 너무 간단하게 이야기했나. 다들 가까이는 가는데 풍덩 들어가지는 않는다. 몇몇 조언을 했던 멘티 한명이 다가와서 이야기한다. “다들 왜? 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같아요. 큰 그림을 한번 설명해주시는건 어떨까요?” 새로운 단어가 많아지면 다들 어려워한다고 답했다. “그래도 이제는 한번 왜 이것을 해야 하는지 설명을 해주시는게 좋을 것 같은데요” 고민중이다.
2011. 1. 2 씨앗과 발자욱들
SNS. 저는 친구 찾기로만 이해되는 상황이 조금 아쉽더군요. Human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고 상호 조화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찾아가는 의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Know Can Do 와 SNS. 비움과 배려가 저의 2011년 KEYWORD입니다. via 록 담벼락 – 2009 년에 읽었던 책입니다. 2011.1.2
- Know Can Do 책 요약 2012.10.1| #eWord.
- Know Can Do 2.0 새롭게 시작하는 노캔두 13.05.26 | #eWord.
- After Know Can Do 2.0 역시 사람의 만남이다 13.06.14| #eWord.
- e blogspot: 2013년 10월의 기록들 중 #노캔두 프로젝트 ‘13.10월.
2011. 1. 13
1월초에 윗 글을 적을 때만해도 동생이 암이라는 사실을 몰랐었다. 알게 된 후에 찍은 지하철역 사진이다. 병원에 들렀다가 집으로 가는길이었다. 전학가기전에 집은 잠원동, 학교는 합정동에 있었던 시절이 있었다. 초등학교 5학년 형과 초등학교 1학년 동생은 매번 지하철을 타고 2호선과 3호선을 다녔다.
2011. 7월
동생이 폐암이라는 사실을 알았을때 적은 글이다. 만감이 교차한다는 것이 이런 느낌일까. 어떤 글은 그때의 나를 마주하게 한다.
내 마음을 누가 알까. 네 마음을 누가 알꼬
페이스북 메모
누구나 사용하면서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것과 같아졌다. 정보를 전달하거나 균형된 감각을 기르기에는 부족하지만 약한고리를 연결하고, 사람을 발견하고, 기록을 남기기에는 매우 유용하다. 3년전을 되돌아보면서 그때의 글들을 꺼내서 포스팅해보는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간의 부족으로 단어만 남기거나, 모르겠다는 미완의 글도 많지만 그 글들이 더욱 가치있다고 생각한다. 어느 순간이 지나면 어떤 것을 몰랐는지를 모르는 시점이 오기 때문에 안다고 남기는 것 만큼 모르겠다는 기록도 중요하다.
- 담벼락에서 의미있는 글 발췌: Using facebook like clip 130223| #eWord.
- Facebook 에 대한 단상 130303| #eWord.
- 페이스북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 일까 : 명함, 관계,한계,효용,비효용,쉼표 메세지가 전달된 수치가 Like 로 계량화가 가능하지만 역설적으로 like를 활용하는 사람들과 like 하지 않은 사람들에 주의를 기울일때 Next가 있을 것이다.via Facebook 120805 | #eWord.
- 트위터를 통해 행동경제학과 자연과학에 관심있는 분들과 연결될 수 있었으며, 요청(멘션)에 의해 책을 추천받기도 했다. 그 추천받은 책들은 내가 묻던 질문에 대한 답을 주었고, 그 덕에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었다. via 페이스북 2013년 한국 단상. 13.10. 4| #eWord.
One thought on “3년전의 기록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