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following이 적으면 웹상에서 트위터를 열때마다 추천인이 나온다. 이 화면이 보기 싫다면 팔로우를 어느정도는 늘려야한다.
😐 늘려야겠다.
팔로워가 숫자가 어느정도 많아지면 누가 팔로우하고 누가 언팔했는지 가끔 궁금해질때가 있다. SocialBro – Explore your Twitter community 를 사용하면 궁금증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 Synchronize 하면 내 활동에 대한 기간별 변동추이가 보인다.
😐 Follows 나 Unfollows 에 대한 상세 화면
트위터에 사람 찾는다는 글이 올라오면 리트윗하기 전에 글쓴이가 자신의 신원을 확실히 밝혔는지 확인해야 한다. 흥신소, 사채업자, 스토커 악용 사례 늘고 있다. 유종현 (@consline) 12. 2. 23. 20:10
모든 도구들이 쓰기 나름이지만 트위터만큼 들여다보면 다채로운 녀석도 없는것 같다. 작은 글자수 라는 제한이 오히려 가능성을 더욱 키워주는 것 같다. 물론, 위와 같은 악용사례를 정화하고 사실확인후 전파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겠지만, 지금 모습을 보면 쉽지만은 않을것 같다. 각자 트위터의 장점을 다르게 보겠지만 나는 ‘실시간’과 #해쉬태그 를 꼽겠다.
페이스북도 해시태그를 도입함에 따라 이제 국내 브랜드들도 소셜에서의 #해시태그 활용에 눈을 뜨게 될 것인가? Conversation 중요성에 눈을 뜰 것인가? goo.gl/rDbBE — Kevin Lee 이윤영 (@kevin_yoonlee) June 13, 2013
(한글 해쉬태그의 한계가 있다면 이렇게 간단한 단어도 #해시태그 , #해쉬태그 두개가 각각 다르게 되어 버린다는 점이다.)
😐 언제나 그렇듯이 효과적으로 쓰는 방법을 생각해보면 트윗한 내용을 복습하는 거다. 나도 다시 안볼 정보를 공유한다는건 바람직하지 않다. 모든것을 아는것 같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가 된다. 만약 지인이 트위터를 시작한다고 물어보면 아래와 같이 알려줄것이다.
트위터로 대표되는 실시간정보 시대에 더욱 자주 간과되곤 하는데, 증권거래하거나 스포일러 피하거나 재앙을 피하는게 아니라면 몇 십분 몇 시간 더 빠른 “속보” 따위는 사실 별반 의미가 없다.
— Nakho Kim (@capcold) February 14, 2012
트윗은 지적근로자들이 자신들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을 찾아서 소통하기 위해 분비하는 페르몬. 트윗 정보가 과다해서 스팸과 같다고 불만 가진 분들이 있는데, 이는 필터링을 제대로 못하고 있기 때문. 필터링은 트윗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의 몫.
— 변지석(Pyun, Jisurk) (@jpyun) March 7, 2012
스마트폰 또라이(jerk)가 되지 말자(CBS뉴스) youtu.be/7egOyMfKYH8 아까 트윗한 미국의 식사중 스마트폰예절에 대한 얘기는 이 방송에서 보고 했던 겁니다. ㅎㅎ 공감하시는 분들이 많네요.
— Jungwook Lim (@estima7) March 11, 2012
정보의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지는 추세에 대해서 이런저런 비판을 하고 있는 입장이기는 하지만, 얄팍한 사람들이 트위터를 통해서 자신의 바닥을 빠르게 드러내는 것은 나름대로 순기능(?) 축에 드는 것 같다.
— Nakho Kim (@capcold) March 11, 2012
트위터의 미덕 ‘사람의 바닥을 최고속도로 드러내게 한다’트위터의 악덕 ‘사실 그 바닥이 끝이 아님을 보여준다’
— 이승환 / 나체 / 누듸 / 수령 (@NudeModel) March 12, 2012
스마트폰을 가졌다고 스마트해지는것은 아니며 스마트폰이 없다고 스마트하게 살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때론 스마트폰이 사람을 더 바보로 만든다. 중요한 것은 기계나 사물이 아닌 언제나 사람이 중심이라는 것을 잊지 않는것이다.
— drchoi (@drchoi) March 12, 2012
on zenhabits: A Survival Guide for Beating Information Addiction zenhabits.net/infoholic/
— Leo Babauta (@zen_habits) March 9, 2012
신기술의 장점은 항상 바로 보이고 그 이유로 확산되지요. 단점은 사용해봐야 보이구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태블릿이나 아직 드러나지 않은 단점을 고려해서 균형있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형록 (@ehrok) March 4, 2012
😐
아무것도 안하고 있으니 동네에서 나는 여러가지 소리가 들리는군.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도 무언가를 하는 것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 천재 유교수 (@prof_yu_bot) March 5, 2012
‘스마트 시대’는 심심함을 없앴다.스마트폰을 쥐고 모두가 바쁘다.일을 하다가도 회의할 때도 화장실에서도 잠자기 전에도 신호대기 차안에서도 걸으면서도 심지어 여행지에서도 ‘바쁘다’.’생각하는 사람은’ 사라지고 ‘검색하는 사람’만 있는 세상이다.
— Flesche (@FlescheKim) March 3, 2012
스마트 웹(거미줄)에 걸려있는 모두는 ‘똑똑한 박사’다. 하지만 인터넷의 지식을 베껴서 붙이는(copy & paste)데만 익숙한 ‘박사(薄士)’일 뿐이다. 넓고 깊은 박사(博士)가 아니라, 옅고 얇을 뿐이다.
— Flesche (@FlescheKim) March 3, 2012
‘노모포비아(nomophobia)’란 신조어… ‘no mobile’과 ‘phobia’를 합성한 말로, 모바일 기기 곧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고 공포증을 느낀다는 뜻…나도 어느새 노모포비아에 깊이 빠져들어 버렸다.
— Flesche (@FlescheKim) March 3, 2012
인터넷 어딘가에 있는데 내가 특별히 남들보다 조금은 더 잘 아는 그런 지식 말고, 나를 목적어로 하는 나에 대한 지식을 고민하게 된다. via 도쿠위키: 트위터 시대에 아직도 유용한 도구일까? | [WP]서울비블로그.
트위터는 정보의 생산이 아니라 주로 소비에 관계해서 배움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점. 이젠 너도나도 떠들어대서 한명 빠진다고 해서 알아차리기도 힘들다는 것. 과연 어떤 지식을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될까?
트위터는 원래 미디어의 기능을 염두한 것은 아니었고, “지금 뭐하는지”를 신속히 써보라는 시덥지않은 도구였는데, 과거에 단문으로 발화하는 일상대화와 닮은 미디어가 없었다는 점에서 이런 도구가 생겨난 것은 꽤 의미가 있는 일이지만 한편으로 이 스트림으로 제공되는 sns 도구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이것이 정보의 생산이 아니라 주로 소비에 관계한다는 것. 트위터에서 이용자의 대다수는 남의 얘기를 실어나르는 뻐꾸기일 뿐이다. 두 번째는 스트림 위에서는 배움이 일어나기 힘들다. 트위터에서 하루에도 수십 개의 별표를 만들어도 1년 안에 그 중 몇 개를 복습하며 심화하여 공부했던가? 세 번째는 아이러니하게도 스트리밍이 오히려 개인을 가려놓는다는 것. 텅 빈 광장에 새마을 지도자가 마을 스피커로 혼자 말하는 시대가 있었다면, 지금은 월드컵 경기장에서 한꺼번에 부르는 ‘오 필승 코리아’에서 나 하나 빠져도 이상할 것이 없다. 설치형 블로그를 새로 만들고 찬찬히 들여다보면서 내가 뭘 알고 있고, 나만 알고 있는 게 뭔지, 나만 말할 수 있는 건 뭔지 생각해보려고 하니 대박 창피함을 느꼈다. 알고보니 매일 엄청난 정보를 스크랩하고 있었지만 사실 별로 아는 것도 알게 되는 것도 없었으며, 잘 안다고 하더라도 구글링 하면 어차피 다시 알 수 있는 정보를 에버노트에 스크랩하고 소장했다고 좋아하고 있었고, 그걸 좀 가공해서 공중에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한 적도 있었지만 생각해보면 굳이 내가 아니어도 다들 필요하면 알아서 했을 것들을 내가 나서서 돕고 있었다는 반성. 빠르게 공유되는 뉴스가 나쁘다는 건 아니고, 생각보다 유용하지 않다는 것. 인터넷 어딘가에 있는데 내가 특별히 남들보다 조금은 더 잘 아는 그런 지식 말고, 나를 목적어로 하는 나에 대한 지식을 고민하게 된다. via 도쿠위키: 트위터 시대에 아직도 유용한 도구일까? | [WP]서울비블로그.
그래도 트위터는 지금 지구의 맥박을 자처하고 있고 실제로도 그렇게 되고 있는 것 같다.
최근 트위터가 진정한 ‘지구의 맥박’임을 느꼈던 순간은? via 트위터 대한민국: 5월의 트위터 유저 릴레이 인터뷰: @hiconcep : “트위터는 시간과 함께 흘러가는 나의 삶의 일부, 그리고 공개된 일기장입니다.”.
#訳 「革命はテレビに放映されず、ツイートされるだろう。」 ⇒ トルコで撮った写真らしい RT @kittysister: 혁명은 방송되지 않을 것이고, 트윗될 것이다. -터키에서 찍힌 사진이라고… twitter.com/kittysister/st…
— 安 天 (@aniooo) June 8, 2013
가장 강력한 개인들이 나올 수 있는 바탕에 일조했다고도 생각한다.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 위버멘쉬의 출현 “나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존재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터득시키고자 한다. 그것은 위버멘쉬(Ubermensch)요. 사람이라는 먹구름을 뚫고 내리치는 번갯불이다”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via 우리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이다!.
트위터 유저는 크게 두분류로 나뉘어진다. 평일에만 참여하는 ‘직업일체형’과 주말에도 참여하는 ‘생활일체형’. 어떤 쪽이든 ‘업’에 방해받지 않고 ‘생’에 방해받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Key. 장단점은 항상 붙어다니는 경우가 많아.
— 이형록 (@ehrok) June 8, 2013
😐 아이러니 하게도 트윗은 비울수록 Empty Tweets | #eWord. 더 알차진다. 또한, 메세지가 한곳을 향하지 않고 있다면 그 메세지의 양과 힘은 반비례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인터넷 어딘가에 있는 정보들을 보면 다들 핵심을 위해 불필요한 말이 너무 많거나 종종 틀린정보도 많다. 핵심을 제공하고 신뢰있는 정보가 필요하다. 나는 그래서 이 블로그를 운영한다. 핵심과 링크 중심으로.
[관련Tip: 트위터, 블로그, 위키를 개인학습도구로서 활용하는 방법 : 아래 방법을 활용한다, 그리고 출력해서 다시복습한다.]
워드프레스 창업자 매트에 대한 이야기(WordPress.com | #eWord.)는 알고 있었는데 아래 슬로운 뉴스 기사를 보니 몇가지 몰랐던 것과 대단한 점이 있어서.
패왕 전설: 워드프레스, 10년(슬로우뉴스) slownews.kr/10836 | 어쩌다보니 덕내 풀풀나는 기사를 쓰게 되었습니… @slownewskr
— Nakho Kim (@capcold) June 3, 2013
트위터를 활용하는 몇가지 Tips
트윗, 리트윗, Fav를 간간히 돌아보고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Archive Tweet | #eWord.(참 불필요한 말들이 많았다는 걸 느낄 수 있다)
결론 “에버노트 노트북”만을 공유해서 자료공유를 할 수도 있으며 Postach를 활용해서 RSS도 같이 지원되게 할 수 있다.
😐 일주일치 트윗을 돌아보고 포스팅으로 변환해봤는데 이 역시 시간이 만만치 않게 소모되어 공유할 소소한 내용들은 이렇게 공유하면 된다. 공유가 중요한게 아니라 소화시켜 좋은글을 만드는게 중요하다.(그리고 이 글을 쓰게 만든 이번 에버노트 업데이트 Update @evernote 130524 | #eWord.)
+ 글로 발행하거나
Twitter Digest: 2013-06-07: seoulrain.net/?p=1111
— 서울비 (@seoulrain) June 8, 2013
“ A dream without a goal is just a wish ”— Bill Cole
— 이형록 (@ehrok) January 19, 2012
소셜 메시지 전파 비교(페이스북, Twitter, Google+) 결과 bit.ly/A94riA
— 이형록 (@ehrok) January 21, 2012
“@jiseokyeon: 아이패드. 시각과 청각, 일부 손의 움직임 감각이 부각되는 반면, 실제 필요한 무게감, 휘어짐, 실제 질감과 입체감, 향과 바람의 느낌이 배제된다면 잃는 것도” 부작용은 한참 후에 나오죠. 저도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부분
— 이형록 (@ehrok) January 21, 2012
세상의 뻘짓이 계속되면서 사회구성원의 불만이 커지는 점은 새로운 혁신이 나올 가능성을 높인다.
— 이형록 (@ehrok) January 22, 2012
말도 안되는 우연의 모임이 인연이다.
— 이형록 (@ehrok) January 22, 2012
지금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화두 ehrok.blogspot.com/2012/01/blog-p… 쉬워야 하고 행동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Why? 에 대한 답을 찾는게 시작입니다. #2일남았습니다
— 이형록 (@ehrok) January 2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