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기반 업무관리 변곡점

온라인캘린더를 월간뷰로 놓고 7번만 클릭하면 올해가 지나갑니다. 7번이라 짧네요. 구글포토를 보면서 사진들을 스크롤 해봐도 한해를 스쳐지나가는 한편의 영상이 뇌에서 만들어지죠.

담벼락에는 변곡점들이나 농담점들을 남기는편인데 돌아보니 회사일에 있어서의 변곡점을 남기지는 못했더라구요. 이해의 접점이 적거나 내용의 공개가 안되는 일들인데요. 오히려 중요하고 함께 이야기 하고 싶은 부분은 그쪽 일들인데 말이죠.

데이타를 기반으로 업무를 체계잡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설업과 구매에 통용될 알고리즘을 만들수 있겠다 하고 있어요. 몇가지는 손에 잡힐듯하고, 몇가지는 좀더 시간이 지나봐야겠어요.

그중 하나를 이번주에 완료했네요. 회사별 데이터를 정리해서 지도상에서 각 위치를 보여주고, 조건별로 해당되는 회사를 필터링하고 찾아내는것. 생각했던 일중 하나가 구현된 날을 남깁니다.

Just do it

커뮤니케이션은 관심안에 메세지와 여백으로 이루어진다. 메세지는 간결하고 여백이 충분해야 한다. 정보 양만 많으면 튕겨만 나온다. 말 많이 한다고 다 알아듣던가.

대화도 음성으로 하는 말보다 어간이 이야기하는 것이 진실에 가깝다. 말에 휘둘리지 말고 사이를 보아야 한다.

이야기로 가르칠것인가. 보여주어 알려줄것인가. 행동으로 보여주어라. 무의식이 의식보다 강하다. 그냥 행할뿐.

Review 2014

공간이 불러오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같은 공간이라도 그 시간에 따라 다른 이야기를 끄집어 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에

언제부터인가 ‘다음에’라는 단어에 민감해졌다. 

다음에 봐요

어떻게 확신할 수 있지? 다음을? 

한국사회의 관용구라고 생각하면 될텐데 (생각해보면 딱히 대체할 단어도 마땅치 않다) 그런 반응이 자주 떠오른다. 

예전에는 ‘언젠가는 다시 만나게 되는게 사람 인연’이라는 생각이 주축이 되었던 적도 있는데 이젠 반대가 된것 같다. 어떻게 바뀌게 될지 궁금하기도 하다. 다음엔. 

연휴 풍경

당분간 운동하고, 언어를 익히며, 자연을 즐기면서 지낼것 같다.

이벤트처음 생각처럼 마쳤고, 과거와 같아서는 같은 성취만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쓰기도 담벼락보다는 블로그에 적으려 하는데 아직 익숙치 않다. 꺼리낌이 남아있던지. 어느쪽이든 극복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어느쪽이든.

이것도 그렇게 하기위한 방법중 한 예.

글의 의미

친구를 오랜만에 만났다. 지나가다 들렀다고 한다. 식사중 그가 물었다. ‘저번에 동생일은 어떻게 됐어?’ 간결하게 답했지만 포인트가 이어지면서 전체적인 상황을 다시 구성하게 되었다. 감정의 파도가 일어나지 않도록 차분하게 했고, 이야기가 마칠땐 혈압이 약간 올랐을 뿐이었다. 마쳐야 할 일이 있어 돌아온 사무실이었지만 한동안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멍이 들었구나. 결국 아무것도 못했다.

글을 쓴다는 것

그렇게 흔들리고 싶지 않아서 글로 남기는 상황들이 있다. 그런 글을 쓰는건 꽤 힘든 일이지만 그런 글이 없어 반복해야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글이 있어 읽는다고 모두가 이해하는건 아니지만 내가 반복할때 예상치 못한 감정에 휩쓸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에너지를 흐트러트리지 않고 글을 통해 같은 곳을 바라보는데는 도움이 된다.

나에게 글이라는건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였다. 같은 내용을 반복하기 싫어 요약하는 도구. 컨텍스트는 만남에 따라 달라지기때문에 What이나 How에 대한 내용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놓으면 만남을 앞뒤로 연결해주는 도구가 된다. 전체적인 내용을 흐트러트리지 않고 간결히 압축해서 전달하는 날씬한 도구로 만드는 것이 처음 글을 쓰는 목표였다.

IMG_5441

글을 쓰는 두번째 이유는 배우기 위해서였다. 한번 읽고 본것으로 알고 있다는 착각을 하기 쉽다. 정보의 홍수속에서는 많은것을 아는것 같아도 정작 제대로 알고 있는 경우는 적다. 정보가 나라는 필터를 거쳐 글로 나오는 모습을 보면서 내가 제대로 배우고 있는가를 알수 있다.

세번째는 그 당시의 나를 남겨놓기 위함이다. 인생의 어떤 시기에서 남겨놓은 글들은 돌아보면 부끄러울 때도 있고 부러울때도 있다. 과거의 나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어떤 글은 그때가 아니면 절대 나오지 않는 글들도 있다. 반드시 그때 감정을 옆에 앉혀놓고 써야만 나오는 글이다. 오늘과 같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감정을 실은 글과 같이.

나에게 글이란 정보를 전달하고, 배우고, 나를 남기기 위한 도구다.

누구를 어떻게 만나며 하루하루 순간을 살아가는가가 미래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