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매듭을 돌아보며

2017년 한해의 단어는 ‘매듭’이었다. 돌아보니 매듭지은 일이 있었고, 씨앗을 뿌려놓은 정도의 일이 있었다. 어떤 일들이 있었나.

기록의 힘

스스로가 잘하고 싶어서 기록하게 되었고, 함께 잘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방식의 협업스타일을 사용하게 되었다. 기록은 노트에서 시작해서 수첩을 거쳐서 지금에 이르렀다. 기록의 양이 많다보니 많은 기록은 돌아보는데 에너지 소모가 커서 압축하는 기록방식,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링크하는 방식이 되었다. 수년간 가다듬을 거쳐서 ‘록수첩’방식이 만들어졌다고 할수 있다.

2017년은 강연을 하고, 들으신분이 다시한번 요청해서 기록에 대해, 클라우드 방식에 대해, 개인이 할수 있는, 선생님이 할수 있는, 시간의 자유도가 높은 사람이 할 수 있는, 회사에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하는, 다양한 경우에 대해 이야기를 할수 있었다. 요청이 이어져 결국에는 동영상 강연을 매듭으로 남길수 있게되었다. 앞으로 3년간 협회사이트에 남아있게 되는데 또 어떤 연결로 이어지게 될지 궁금한 매듭이다.

1시간의 시간이 부족한 부분도 있지만 시간의 제약은 필요한 이야기만 남길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2018년을 준비하는 12월이 되어 – 이번에는 강연을 하지 않기로 마음먹고 있었는데 – 지인과의 만남속에 아이들과 전문직을 위한 개별강연을 하게 되었다. 30분여의 짧은 시간이었기에 그 상황과 개인에 적절한 포인트만 주었다.

어제가 기억나지 않는 이유는 기억을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더하려 하지 말고, 지금 편한방식에서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달라진다. 손으로 쓰며 돌아보기.

솔직한 질문을 주고받고, 대화를 주고받고, 피드백을 주고받을수 있는건 건강한 성장을 위해 참으로 필요하다. 함께 성장할수 있는 관계들.

올해 새롭게 적용하게 된것은 본인의 역할과 목표간의 월별 매트릭스를 새롭게 도입했다. 내가 “누구인지를 무엇을 하려하는지 잊지 말라”는 말씀처럼.

건외협

내년까지 이어질거라 생각했지만, 현장에 발령이 나게 되어 매듭을 지을수 밖에 없었다. 매듭을 지으니 새롭게 해야할 바들이 다시 보이면서, 이 또한 당신의 뜻대로 이끌림은 아닌가 싶은 상황이다. 새로운 상황, 어려운상황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게 해주심에 감사한다. 무엇을 보는가가, 볼수 있는가가 자신의 앞길을 결정한다.

클라우드 방식의 협업체계의 효과와 학습에 대한 사람들의 필요

클라우드 업무방식이 지식 성과물을 만들고, 성과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는것을 실현해 보였다. 학습에 대한 사람들의 호응도 예상이상으로 좋았고.

계속 배워야 하는시대, 배움을 즐거움으로 삼는것과 그렇게 함께 성장할수 있는 – 솔직한 대화와 피드백들 –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내 생각이 맞다는 것을 보여주고, 사람들 또는 사람둘을 만날수 있는 건외협 2017이었다.

누군가를 설득해야 하는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아서 좋았고. 내가 가진바를 오픈하니 생각이 통하는 사람들이 연결되어 즐거웠다. 매듭이 아쉬웠지만 또다른 연결이 그 다음 매듭으로 이어지는것이 보인다.

100미터 부상

달리기를 하다 햄스트링에 부상을 입었다. 회복후에 다시 운동하면서 택핏(코만도,이모텀, 30바이30등), 필라테스, 골프(95정도로 올해 매듭)를 즐기고 최근에는 스피닝에 빠져있긴하지만 이젠 부상이 우려되는 운동은 매듭을 지어야겠더라. 예전에는 부상이 있어도 회복이 어렵지 않았는데 올해는 – 팔뚝에 뚝배기 화상도 그렇고 – 부상의 회복이 너무 더디다.

무언가를 하기위해서 더욱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예전이었다면, 이젠 무엇을 그만둘지를 먼저 생각한다.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는 유한하기에.

씨앗

현장정보 현황판을 전사적으로 도입하고 외주구매팀의 혁신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다. 두가지다 매듭을 위한 시작이었지만 씨앗에 남아있었다. 전사적현황판은 연초에 적용되어 지금도 굴러가는중이고, 외주구매팀의 혁신은 드라이드를 걸기위해 화두를 던졌는데 바로 그 날 현장발령이야기를 들었다. – 현장가는걸 알고 준비한 마냥 –

데이터기반 구매관리 및 경영정보는 데이터 연결에서 서버단으로 연결에 성공하면서 무언가 나올듯했지만 이또한 현상황에서 마무리. 매듭이 아닌 씨앗. 기존 지식관리위키와 연결되었을때, 액세스와 연결되었을때 또 다른 퍼포먼스가 나올것으로 예상된다. 그 언젠가가 올지는 모르겠지만 이 또한 흘러가는대로 기다려보는것으로. 오히려 부동산 및 마케팅에 연결되는 조짐이 보인다. 그 또한 필요한 부분들이긴 했다.

르꼬르뷔제 전시회, 대통령선거, 일본여행이 있었던 해다. 일본여행은 일본건설업계의 원로분들을 만나뵈며 좋은 이야기와 건물들을 만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도 이어지는 순간들.

대만여행, 라이프전시회, 루프탑등의 작당도 추억이 되었던 2017

2018의 단어

9월말부터 시작된 새 현장과 새로운 세팅을 하며 종종이야기하는 것이 있다. 이 회사라서 알게 되는것도 있겠지만 이 현장이라서 적용되고 있는 것들이 있다고. 무르익어가고 영글어가고 있다. 결국 함께 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고, 신날수 있다. 결국 사람.

문득 나도 회사를 마치는 시기가 어느순간 올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당연한 일인데 왜 이런 생각을 안하고 지냈던지 – 그러면 무엇을 할까 하다가 운동,영어,요리의 수준을 높이고 책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 이게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구나

하고나면 기분좋아지는 것들. 내가 어떤것을 좋아하고 원하는지 모르고 생을 마치는 사람도 많다. 하감사.

2018의 단어는 ‘하심’으로 정했다. 예전에 화두로 선생님께 받았던 단어인데 다가오는 새해에 필요한 단어라고 직감이 이야기 나눠주었다.

나의 노력은 언제나 목표한바에 부족하겠지만 그 과정을 통해 가깝게 가고 있음을 느낀다. 꾸준히 노력할수 있음을 허락하는 그 때까지. 성취의 정도를 허락할 그때까지 꾸준히 제대로.

한해의 단어 2016

매년 중심이 되는 한해의 단어를 선정해본다. 한 해가 마무리 될때부터 계속 어떤 단어가 좋을지 생각해보고, 곁에서 주어지는 메세지를 이어보기도 한다. 때론 연초에 선정했던 단어가 마칠때 바뀌기도 하지만 내가 지닌 단어라는 것은 정답이 아닌 기준이 되는 돌멩이일뿐이니 맞고 틀리고의 문제가 아니라, 품고 있는가 버려놓고 있는가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한해의 단어들(연초 선정단어)

2015 않기
2014 Reset (Count)
2013 반복
2012 상호작용 (비움)
2011 실천과 배려
2010 배움

(2010년부터 하나씩 쌓아올린 탑과도 같다)

2016의 단어

후보 단어들은 ‘Flow’, ‘플로우’, ‘정렬’ 등이 있었는데 부분적이거나 시기가 무르익지 않은 부분들이 있어서 다른 단어를 선택하게 되었다.

2016 품고갈 단어는 ‘이완’이다.

극도의 이완이 있어야 궁극의 폭발이 가능하다. 이완이 있어야 흘러갈 수 있다. 대가들의 모습을 보면 불필요한 행동이 없다. 해야 할 것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모든 것에 이완할 수 있어야 한다.

2015년의 마무리

나쁜 관계는 노력해도 좀처럼 좋은 관계가 되기 어려운데, 좋은 관계는 작은 실수로도 쉽게 나쁜 관계로 바뀐다. 그래서 나는 조금 외롭더라도 “관계없음”을 지향한다. – 여준영 ‘12.11.27

img_1289

12월을 마무리 하는 ‘12 Wall‘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왠지 이런 12월은 다시 오지 않을것만 같아서 최선을 다해 만나고 이야기했다. 다시 못보더라도 아쉬움 없을 정도로. 다행히 잘 마치고, 예상 못했던 사건으로 마쳐진 일들도 있었다. 기본 마음은 개운함이다.

감과 직관만으로 남보다 쉽게 일해왔다. 사실 그 감과 직관을 키우는데 내 일상 대부분의 시간을 쓰고 있다. (비결은 폴스미스의 모토로 대신 “Inspiration is all around us “). – 여준영 ‘12.12.28

img_1415

이 또한 흘러가는 대로. 흘러가는 기운을 온전하게 느끼기 위한 극도의 ‘이완’. 이것이 내가 2016에 품고 갈 단어다.

 

한해의 단어(2015)

2014년을 계획했던 단어는 Count였다.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그 숫자를 셀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였는데 그 목표는 커녕 여러 사건들에 휩쓸린 한해였다. 2014년의 마지막 달에 생각했던 올해의 단어는 Reset이었고 그에 호응하듯 12월 31일은 대미를 장식했었다.

웹상에 메모를 남기기 시작한지 2012년이 3년째였다. 그 당시 메모들을 돌아보니 한해의 이정표로 단어라는 돌을 한개씩 심어놓는것도 좋겠다 싶어 정리해봤고, 그렇게 지금까지의 놓인 돌들은 배움, 실천과 배려, 상호작용, 반복이었고, Reset 이다.

2015년 품고 갈 돌멩이는 ‘않기’다. 목표로 하는 일을 하기 위한 첫번째는 불요한 일에 대한 스위치를 내리는 것이다. 중요한 한가지 외의 일을 끄는것이다. ‘안함’이 어울릴지 ‘않기’가 어울릴지 고민을 했지만 ‘안함’은 전체를 하지 않는 의미가 강해 ‘않기’로 했다. ‘않기’는 무의식에 자리잡은 군살을 없애야 하는 꽤 적극적인 행위다.

부언

Q. 그런데 목표는 무엇인가.
경쟁력있는 주5일 현장의 체계를 지속할 수 있는 기업을 구현하고 싶다.
Q. 말만 거창한 것 아닌가.
그래야 비슷한 생각이 있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할 바에 충실히 하다 운이 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선의만으로 할 수 없고, 혼자힘으로는 절대 불가능하다. 운이 중요하다. 그렇기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안되면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주춧돌은 놓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그 주춧돌 위에 누군가 더 얹겠지.
Q.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가?
Information, 과학, Managment 이 세가지로 된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나도 계속 시행착오를 거치며 찾는 중이다. iPhone과 구글이 세상에 나타난후 기술의 변화에 비하면 건설업은 아직 시작도 안했다.
Q. 다른 목표는 없나?
가끔 인생의 목표를 다시 돌아보고 수정해보는데 지금은 건강한 죽음, 경쟁력 있는 주5일 현장 기업 그리고 또 한가지가 있다. 비밀도 있어야지. ‘건강한’은 다양한 범위를 포용한다.
Q. 무엇부터 할 것인가?
계속 달려가던 가속도가 없어진 Reset된 상태에서 다시 앞으로 뛰어가려니 쉽사리 움직여지지 않았다. 내가 무엇을 위해 그런 노력을 하나, 과연 할 수 있는 건가와 같은 본질적인 질문도 앞에 놓인 바위였다. 그래서 이 글도 1월 말인 지금에서야 쓰여졌다. 우선은 지금 내가 속해있는 회사가 기업회생을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 상반기 그 일정이 내가 그 목표를 이룰수 있을지를 단기간에 테스트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임할 예정이다. 그리고 계속 글을 쓰며 익힐 것이다. 작은 성공을 굴려야한다.

할수 ‘있다 vs 있나’ 어느 쪽이 이길까. 내가 꾸준하게 먹이를 주는 쪽이 이기겠지. 이렇게 글을 쓰는 것도 내 자신에게 먹이를 주는것이다. Feed를 주고, Feedback을 받고.

2014년의 단어

한해를 대표하는 단어를 선택해본다. 2012년부터1 정기적으로 해오던 일인데 어떤 이정표를 세운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관점을 선사한다. 연초에 선택한 단어와 한해가 지나고 난 후에 달라지는 단어가 있을때도 있지만2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기 때문에 좋은 마일스톤들이 된다.

  • 2010 배움
  • 2011 실천과 배려
  • 2012 상호작용
  • 2013 반복

2014년은  선택이 적당하겠다 생각했는데 스티브잡스, 월터아이작슨, 폴 그레이험의 영상3을 보던 중간에 Count가 더 낫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선택한다는 것, 선택한 것에 집중한다는 것은 그 일을 숫자로 셀수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014 COUNT


  1. 비움을 위해 아침 차한잔, “쓸데없는 짓이야”라고 말하기, 순간에 충실하기등을 다짐했었다. e blogspot: 2012년의 결심 11.12.31. 
  2. 결심할때는 비움이었는데 한해를 마치고 나니 상호작용이 적당했다.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 어색한 단어이긴하지만. Interactive 라고 하면 좀 나아보이나.  2013 單語 | #eWord 13.01.03. 
  3.  Mikey Lee – YouTube. Inspiration 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24편의 영상이 있다. 지인들에게 추천하다가 내가 다 보게되었다. 돕고자 하는 마음이 또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