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를 돌아보며

세월호 사건이 4/16 발생하고 6/4 선거도 마쳤다. 종편 채널에서 유병언에 대해서 이야기는 계속 나오고 있고, 월드컵은 시작되었다. 2014년 말 우리는 어떤 것을 기억할 것인가. 2024년 4월 우리는 어떤 것을 떠올릴 것인가. 2015년의 4월은 어떤 모습일까. 처음에는 노이즈가 너무 많아 나도 더하고 싶지 않았지만 이제는 써도 될것 같다.

Forever 4.16

각자 가진 관점으로 이 사건을 풀어보고, 도와주고, 기억하려 한다. 나도 내 방식으로 이 일을 기억하고자 한다. 내 방식이란 한개 한개의 요소를 대치해 보는 것이다. 그 요소는 선장, 회사, 국가다.

선장

선장이 제대로 된 사람이었다면 어땠을까? 사고를 발생하지 않게 할 수는 없었겠지만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장소장, 현장의 리더란 그런 자리다.

4/16 저녁 마음이 너무 답답해서 바다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지인에게 연락을 했다. 이게 이렇게 될 수가 있는거냐고 . “초기 판단을 잘못 한것 같더라” 배에서 움직이지 않아야 할 때도 있는건데 이건 그런 상황은 아니었다는. “어설프게 잘못알고 있는거지” 그리고 그 나이가 되도록 2등항해사라는 것도 좀 이상해. 나이에 비해 실 경력은 짧거나 아니면 어떤 결격 사유가 있는거겠지.

안타깝고 안타깝고 안타깝다.

사장

청해진 해운의 사장이 TV에 나왔다. 울먹이는 얼굴로 “죄송합니다”라고 했다. 하지만 이상했다. 병원 침실에 입원해서 인터뷰 하는 모습도 (청해진해운 김한식 대표 단독 인터뷰 “새 배는 비싸 낡은 배 운용” 4.29 – 시사IN, 시사인) 볼 수 있었지만 이상했다. 혹자는 다른 이와의 인상을 비교하면서 진정성 있는 표정이란 저런 것이라고 이야기 하기도 했다. 결국 (나중이지만) 이런 기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지난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인 진도로 향하다 쇼크로 쓰러져 경기 분당의 한 대형병원에 입원했던 것으로 알려진 김한식(72) 청해진해운 대표가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받기 직전 서울 송파구의 한 병원에서 위절제술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김 씨의 당시 상태가 수술이 필요치 않았던 것 via 김한식, 병원서 “입원 필요없다” 하자 다른 병원서 胃절제 – 4.30 munhwa.com

다른 일들은 물어 뭐하겠나. 그런 사람들이다.

구원파, 유병언

배는 모르면서 돈만 밝힌 인물이 진짜 살인범이다 [이철호의 시시각각] ”세월호 진짜 살인범은 따로 있다” – 사설컬럼 – 중앙일보 오피니언.

어떤 사람들은 구원파가 무슨 상관이 있냐고 한다. 그런 이들의 무감각이 사회에 만연한 병을 더욱 키운다. 하지만 이 요소를 대치하면 사건이 안날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암이 발견되어 수술하러 갔는데 알고 보니 여기저기에 전이 되어 있는 느낌이 이럴까.

안에 있을때는 보이지 않는다. 밖으로 나와야 제대로 보인다.

국가

예방하고 대처하는데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게되었다. 어떻게 이 일을 풀어나갈지. 잡는 건 잘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지금의 모습을 보면 그도 어려운 것 같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면 제대로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국가에 대한 그런 진단은 언론이 한다고 생각한다. 잘못된 진단결과를 가지고 병을 치료하는 모습이랄까.

사람들

가장 놀랐던 부분은 시작부터 지금까지 일련의 과정들이 이어오면서 도우려는 사람도 많았지만 그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더 많았다는 사실이다. 내가 이렇게 이야기하면 “뭘 새삼스럽게 그래?”라는 답변을 들을 것 같다. 새삼스럽다. 그간 남겼던 관련 링크를 모으고 앞으로도 계속 직시하고자 한다.

Social 에서는 너도나도 목소리를 낸다. 때론 정보를 쏟아내지 않는 것도 돕는 것이다. 그리고 잘못된 것으로 판명된 정보는 지워야 한다. 그렇게 하는 사람들과 하지 않는 사람들을 분별해서 듣고 보아야 할 것 이다. 내가 남긴 정보에서도 잘못된 부분은 정정해야 한다. 그것이 현 시대에서 글을 남기는 사람으로서의 책임이다.

2014년의 단어

한해를 대표하는 단어를 선택해본다. 2012년부터1 정기적으로 해오던 일인데 어떤 이정표를 세운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관점을 선사한다. 연초에 선택한 단어와 한해가 지나고 난 후에 달라지는 단어가 있을때도 있지만2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기 때문에 좋은 마일스톤들이 된다.

  • 2010 배움
  • 2011 실천과 배려
  • 2012 상호작용
  • 2013 반복

2014년은  선택이 적당하겠다 생각했는데 스티브잡스, 월터아이작슨, 폴 그레이험의 영상3을 보던 중간에 Count가 더 낫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선택한다는 것, 선택한 것에 집중한다는 것은 그 일을 숫자로 셀수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014 COUNT


  1. 비움을 위해 아침 차한잔, “쓸데없는 짓이야”라고 말하기, 순간에 충실하기등을 다짐했었다. e blogspot: 2012년의 결심 11.12.31. 
  2. 결심할때는 비움이었는데 한해를 마치고 나니 상호작용이 적당했다.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 어색한 단어이긴하지만. Interactive 라고 하면 좀 나아보이나.  2013 單語 | #eWord 13.01.03. 
  3.  Mikey Lee – YouTube. Inspiration 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24편의 영상이 있다. 지인들에게 추천하다가 내가 다 보게되었다. 돕고자 하는 마음이 또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 

2013 in review

글의 의미는 두가지에서 나온다. 내용. 그 , 순간을 남길 수 있게 해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내용을 전달 할 수 있게 해주는데 있다. 라는 독자를 포함해서.

순간이라는 시간속성을 위해서는 그 시점을 지켜야 하는 것이고, 내용이라는 관점에서는 시기가 늦어지더라도 내용을 알차게 해서 내놓아야 한다. 그간 그 시기에 내가 그런 생각을 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부족하더라도 단어 몇개만으로도 글을 발행했었다. 부족하더라도 퇴고라는 단계가 있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했었다.

다시 돌아본 글들

다시 돌아본 글들은 내가 보기에도 다시 보기 불편함이 있었고, 오히려 신경을 쓴 포스팅 마저도 그 글들 사이에 있기 때문에 스쳐 지나가게 만들었다.

그런 부족함이 있는 반면에, 부족하더라도 발행된 글들이 발행되지 않고 잠자고 있는 글들보다 훨씬 나았다. 다시 사용될 수 있는 생명력이 있기 때문이다. 나중에 완성도가 높아진다 해도, 그때 그 시점에 발행하지 않으면 왠지 계속 Draft상태에 머무르는게 블로그 글의 속성인듯 싶다.

그래서 2014년에는 어떤 글을 쓸것인가.  읽히지 않는 글은 생명력 없는 글이다. 생명력 있고 의미있는 글을 쓰겠다 다짐해본다.

 2013 Views

작년 한해 2만번의 View가 있었는데, 이는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7회 전석 매진과 같은 숫자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보여지는 순위는 글의 내용보다 추천이 되었는지 여부가 조회수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The Books는 책의 미래에 대해 글을 나중에 쓰려다 미리 안내가 되는바람에 1위의 영예를 얻었는데 그 내용이라는게 민망하기 그지 없다.  (책의 미래에 대해서는 다시 글을 쓸 예정이다.)

2014는 새로운 맥북과 함께 블로깅을 할 예정이고, 스타일도 꽤 달라질 것 같다. 생명력이라는 스타일을 입을 수 있도록 걸어갈 예정이다.

Continue reading 2013 in review

進撃の巨人

진격의 거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SS

Pontifex

d33cd3cca57e8ad64f8dd9485c404977_normal.jpeg Pontifex (@Pontifex)
13. 3. 14. 오전 4:33
HABEMUS PAPAM FRANCISC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