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라인정리 ‘16.3.20

트위터는 휘발성이 강해서 지나가면 대부분 잊혀진다. 잊혀질바엔 사라지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삭제함으로써 더 강한 휘발성을 부여한다. 트윗한 내용중 의미가 퇴색된 내용들, 리트윗 한 내용을 – 리트윗으로 전달 될 사람들에게는 전달 되었을테니 – 블로그에 모아놓는다. 주제별로 그룹핑하면 조금 더 의미가 생긴다.

내 트윗계정 타임라인에는 되돌아보기 적당할 정도의 내용만 남겨놓는다. 글감으로 할 내용을 메모한다고 볼수도 있겠다. 1년정도의 내용들.

{{TOC}}


어떤 전시회(‘15.4.25) 이 수첩과 메모에 있는 내용이 밖으로 나올 그 날을 미리 기념하며 전시모임에 내놓았다. 그 의미를 아는 사람은 없었겠지만.

B

Tableau 15.4.25 수업 메모들

Tableau webex

‘15.3.2 그래서 운동 시작

돌아보기

인간은 역시 망각의 동물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계속 되새기지 않으면 자극에 반응해 원래 하던대로 하기 나름이다. – 3년전 오늘 ‘15.3.1

16년 3월 19일에 다른 의미로 했음.

방향잃은 효율, 왜곡된 열정만큼 위험한 것도 없다. 15.5.3

두번 할 가치가 없는 행동은 한번 할 가치도 없다. 15.8.26

2013년 12월 27일 JUMPING https://dayone.me/2oRizc9 이제 다시 2016 JUMPING 을 위한 ‘이완’

에너지가 있고 첫 행동을 하면 그 다음은 굴러간다. 자신의 스타일을 아는것이 중요하다. 매일을 마무리하기 ‘15.8.31

후기 15.12.28

메세지는 여백에서 완성된다 16.3.3

Real Work

문서에서 슬라이드에서 슬랙으로.

슬라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도움될때가 있다. 아니 많다.

모바일이 우리의 시간을 앗아가고 있다. 시간을 주고 어떤것을 얻고 있는가.

VR

AI

한국

Log

Timeline 정리 2015-1

시간대별 메모를 분류하면 새로운 관점들이 보인다. 그 분류의 키워드 및 태그를 지정하는 것, 그 순서를 정하는 것, 분류내의 우선순위를 배치하는 것 또한 의도와 메세지를 담게된다.

트위터의 글과 리트윗을 없애면서 블로그에 담아놓았었는데 이번에도 해보니 역시 메모는 돌아보고 분류할때 의미를 지니고, 반복할때 내 지식이 된다. 휘발성이 강할때는 더 강하게 아예 없애는것도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타임라인에서는 없애면서 블로그에 아카이빙.

이번에는 명심, 변화, Consilience, 교육, Zero Work 그리고 Log, Humor, Notice로 구분되었다. 변화는 Consilience의 모습으로 나타날것이고, 교육과 Zero Work로 뒤이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록으로 남길것들과 우리의 힘인 웃음등으로 이어진다고 할까.

타임라인을 다이어트하면서 블로그를 살찌우고, 블로그를 다이어트하면서 의미있는 책을 남기는 것이 최종 목표.

명심

좋은 사람은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타인에게 힘이 된다. 할 수 있을까, 될 수 있을까, 그럴 수 있을까 의심하고 주저하는 이들에게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연하게 입증한다. 어디 한번 나도 그렇게 살아보면 어떨까 힘이 솟구치게 한다. 아름다운 감염이다.

— Journey (@atmostbeautiful) August 12, 2015

우물 안 개구리의 자각 “내가 우물안에 있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보다 내가 개구리였다는 게 문제였다.” 짧은 탄식과 함께 나오는 거부할 수 없는 공감이었다오! 넷에서 본 카툰 중에선 처음 느꼈다는… pic.twitter.com/cvirtNPFbU

— bodhian kim (@bodhian1) February 26, 2015

상해에서 일하는 중국인 동문 후배를 2년만에 만났다. 몰라보게 달라져있었는데 광범위한 주제에 막힘없는 식견에 깜짝 놀랐다. 이렇게 똑똑하고 자신감 넘치는 젊은이가 한국보다 훨씬 낮은 임금에 죽도록 일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뭘먹고 살아야하나 무서워졌다.

— 강대권 (@kangdk) September 21, 2015

운동선수들은 커리어하이 이후의 하락세를 완만히 하기 위해 죽을둥살둥 웨이트하고 좋은 거 골라 먹는데, 지적 노동을 하는 사람들이 트레이닝이나 자기관리는커녕 주량 자랑이나 하고 자기 말에 끄덕이는 사람들 하고만 놀면 그 결과는 너무 빤하지 않나.

— 위근우 (@guevara_99) September 22, 2015

<누가 애국자> 한국엔 말로만 떠들고 태극기만 흔드는 애국심이 너무 설친다. 구석에서 조용히 살고 있어도 “본인과 자식 군에 제대로 갔다오고 정해진 세금 국가에 잘 낸 사람”이 내 기준에는 진짜 애국자다

— slow (@slow22c) August 9, 2015

승진하면 만족도도 오를 거라 생각한다. 일반화의 오류. 스트레스도 오르고 술도 는다. 적정선의 멈춤이나 퇴진은 낙오로 보는 관성 탓에 어쩌지도 못한다. 출구는 있다. 그 자리를 남에 대한 봉사의 도구로 삼는 것 http://t.co/yTjbybSgrX

— Journey (@atmostbeautiful) September 7, 2015

ritual은 목적이 있는 반복, routine은 생각 없는 되풀이다. 겉보기엔 같지만 그 끝은 하늘과 땅 차이다.

— Journey (@atmostbeautiful) April 26, 2015

Saying no to everything else: http://t.co/i4KCzy3c5b

— Derek Sivers (@sivers) September 23, 2015

SNS에 누군가가 올린 어떤 즐거운 장소,어떤 맛있는 음식,어떤 좋은 물건의 사진이 멋져 보이고 부럽거든 그 사진을 이리저리 연출해 고쳐 찍고 뭐라도 타이핑 해서 올리는 그 누군가의 자연스럽지 않은 장면을 떠올려 보면 그다지 근사해보이지 않을수 있다.

— 여준영 (@yeojy) June 4, 2015

자신이 멍청이들에게 둘러싸여 있지만, 혼자가 될 바엔 차라리 그들이라도 곁에 두겠다면 할 수 없는 거고.
인파로 뒤덮인 해변에 염증을 느낀 이들 중 오직 일부만이 존재할지도 모르는 아늑한 곳을 찾기 위해 모험을 감행함.
No Risk, No Gain.

— Noori Lee (@noori_lee) June 9, 2015

변화

새로운 물결의 뜨는 하드웨어회사들과 몰락하는 기존 대형 전자회사의 명암을 그대로 보내여주는 것은 핏빗, 고프로 그리고 LG전자의 현재 주가다. 이 세 회사의 시가총액은 각각 11조원, 10조원, 6조7천억이다.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July 25, 2015

일반 회사, 업소에서 손님을 맞을 수 있는 페퍼로봇을 직접 선보이는 손정의회장 http://t.co/9c8BvjlgEB 한달에 5만5천엔에 렌탈한다고. 멀지 않아 빌딩 로비나 가게에서 손님을 맞는 로봇을 자주 볼 수 있게 될 것 같다.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July 31, 2015

소프트뱅크의 전략을 보니 로봇세상이 생각보다 굉장히 빨리 열릴 것 같다는 생각. 간단한 일을 하는 사람은 이제 로봇에 일자리를 빼앗기는 세상이 현실화되는지도. 한달에 50만원이면 불평불만 없이 24시간 일하는 로봇을 둘 수 있다.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July 31, 2015

‘뉴욕타임스’, 머신러닝 기반 자동 태그 시스템 개발 http://t.co/NLU6VLBeSz 뉴욕타임스 연구팀이 기사를 실시간으로 스캔해서 태그를 추천해 주는 편집기 도구를 개발했다고. 기계가 기사본문을 읽어보고 자동 분류하는 시대. #lk

— 서울비 (@seoulrain) August 3, 2015

오늘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인터뷰했는데 인공지능이 작년부터 겁나 빨리 발전중이라서 이제 애들한테 국영수 가르칠 필요없어진다고. 심지어 코딩도 배울 필요 없을지 모른다 하심. 컴이 알아서 빅데이터 분석해서 코딩할 수 있게 되는 날이 오고 있다고.

— indiz (@indiz) August 4, 2015

기술의 발달은 경제의 질문을 바꿔놓을 것. 장차 희소성이 아닌 자아실현에 의해 규정되는 세상에 살게 될 것. 세계가 우리를 결정하기보다 우리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픈지 어떤 삶을 살고픈지 결정할 수 있을 것. http://t.co/KDwImTnKf2

— Journey (@atmostbeautiful) August 4, 2015

인공지능과 로봇이 대체하게 될 제 1순위 직업 10가지. 제조라인 조립, 콜센터, 데이터 입력가, 통역, 패스트푸드 종업원 등을 꼽았네요 – http://t.co/Yq7y3Yt2D3

— 정지훈 Jihoon Jeong (@hiconcep) August 10, 2015

Consilience

존 브록만이 주도하는 지식사이트 http://t.co/px2J57dgww의 리처드 도킨스 인터뷰. 생명이란 무엇인가. 끝없는 자기복제를 추구하는 생명과 그 운반체로 구성된 세상. 다윈의 적자라 불릴 만하다. http://t.co/ZxY9WaV77M

— Journey (@atmostbeautiful) April 30, 2015

과거엔 정부가 사회를 이끌었다. 언제부턴가 인재는 기업이 끌어간다. 사회변화를 못 따라가는 정부조직의 역량 부족이 문제. 오바마가 정부의 디지털기반 혁신 위해 실리콘밸리 테크 고수들 영입해 스텔스팀 소집. 쿨! http://t.co/Ds8nMzrUiB

— Journey (@atmostbeautiful) June 15, 2015

마크 저커버그가 생각하는 미래. 텔레파시+인공지능(AI)+가상현실(VR). 생각을 텔레파시로 바로 전달, 인공지능 이용해 사진이나 영상의 의미를 간파, 폰 다음엔 VR이 컴퓨팅/커뮤니케이션 플랫폼. http://t.co/GeQb2wOTq3

— 광파리_IT 이야기 (@kwang82) July 2, 2015

기자가 되려는 K에게 http://t.co/4soQsT8Dl6 기자지망생에게 보내는 조언. 조선비즈 전병근부장의 글. 내가 아는 가장 훌륭한 기자중 한 분. 마라톤, 관찰력, 공부능력, 영어, 사전가까이하기, 리듬감, 질문하기, 소명의식.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July 13, 2015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먹고 산다. 그리고 데이터를 생산하고 정제하는 건 인간이다. 그리고 그 일을 수행하는 건 고급인력이 아니라 저가의 노동력이다. http://t.co/xRCuz3i8VE 알고리즘 사회, 새로운 사회계약이 필요하다 (강정수)

— Taewook Eom (엄 태욱) (@taewooke) July 14, 2015

건축에 데이터 과학을 접목한 사례입니다. 서른 두 가족의 생활 동선을 데이터화해서 집에서 얼마만큼의 면적이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통계화 Data-Driven Architecture — Medium http://t.co/HX6LH3hlgm

— Jin Young Kim (@lifidea) August 1, 2015

교육

Free SAT test prep from @khanacademy is another way the Internet is making education more equitable: http://t.co/mxDw4p2S8h via @WIRED

— Bill Gates (@BillGates) June 9, 2015

Schoology라는 LMS(학습관리시스템)을 써보다. 전세계 6만개 학교의 학생과 학부모들이 쓰는 시스템이라는데 마치 페이스북 같다. https://t.co/NKVLdbLIbU 학사관리를 위한 페북. pic.twitter.com/bGKLZ1gEW1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September 7, 2015

교사들이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안을 공유하는 티처스페이티처스라는 사이트 https://t.co/1iysKEQjoO PDF문서를 만들어 올리고 마치 전자책을 사듯이 몇불씩 내고 사는 것. 그런데 이 사이트를 통해 억대를 버는 교사들이 속속 등장.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September 7, 2015

지구상의 모든 예술 작품과 문화 유산을 디지털 복제해 고해상도로 감상할 수 있게 한 Google Cultural Institute 파리에 오픈. 온라인으로도 큐레이팅. 어디서나 검색 관람 가능. 한글 서비스. https://t.co/jSPfKk2Oyv

— Journey (@atmostbeautiful) September 13, 2015

미국 공공 도서관들의 고정관념 파괴. 책이 디지털화하면서 물리적 공간은 커뮤니티의 창의력 허브로 활용. 다양한 사물 라이브러리로 변신. 3D프린팅 활용한 공예, 요리, 과학, IT 실험과 학습의 장으로 재탄생 http://t.co/yid871dA6e

— Journey (@atmostbeautiful) September 16, 2015

창의적인 사람들의 6가지 습관: 일찍 일어난다; 규칙적인 운동; 엄격히 짜여진 시간표에 따른 생활. 방만 불허; 생계 위한 일 병행;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노력; 전성기가 따로 없다. 늘 현역이라는 자세. https://t.co/Mi3Vjk6tEr

— Journey (@atmostbeautiful) July 18, 2015

창의력이 고도의 자기 절제와 단련과 학습과 근면에서 비롯한다는 사실은 어찌 보면 직관에 반한다. 묶어두지 않고 느슨하게 충동적으로, 요컨데 자유로워야 뭔가 나오지 않을까. 초점은 모든 규율을 스스로 부과한다는 데 있다. 자율 속의 자유를 아는 것이다.

— Journey (@atmostbeautiful) July 18, 2015

Zero Work

Seth’s Blog: Scientific Management 2.0 http://t.co/jOu2uKl7go

— Seth Godin (@ThisIsSethsBlog) August 28, 2015

Enterprise software used to be about making existing work more efficient. Now, the opportunity for software is to transform the work itself.

— Aaron Levie (@levie) April 10, 2015

You can skip all the parties, all the conferences, all the press, all the tweets. Build a great product and get users and win.

— Sam Altman (@sama) August 10, 2015

일본에서 나온 노트 정리법. 노트를 한 권만 가지고 다닐 때, 요리책을 쓴다 생각하고, 항목을 기입한 후 페이지 끝에 마커를 남김.
마지막장에는 마커와 같은 줄에 목차를 남겨두면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음 pic.twitter.com/rtYTPeXYD0

— 데드캣 (@deadcatssociety) July 15, 2015

A new Google add-on to help you easily save #Gmail to #GoogleDrive
🚀 How-to: http://t.co/SlcVwzhQHD
📺 Tutorial: https://t.co/aowcML3DbA

— Amit Agarwal (@labnol) July 30, 2015


Log

A life is like a garden. Perfect moments can be had, but not preserved, except in memory. LLAP

— Leonard Nimoy (@TheRealNimoy) February 23, 2015

Doing well&in great spirits! Robyn, Sejun, Grigsby & I – deeply moved by the support! Will be back ASAP to advance US-ROK alliance! 같이 갑시다!

— Mark Lippert (@mwlippert) March 5, 2015

“이 글이 이 블로그에 쓰는 마지막 글입니다.” Economics of almost everything: 마지막 글 http://t.co/EMdM1oRckF

— 김동조 (@hubris2015) June 19, 2015

오늘 피터 틸 강연회 내용 트윗 모음입니다. 스타트업 얼라이언스가 정리했습니다. https://t.co/2tgg7N5kaZ #ZeroToOne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February 25, 2015

Wait but Why http://t.co/xuzmmTFV14

— Chang Kim (@chang1) June 24, 2015

#직장학교 by @gaddongyi 초간단 후기 및 참고링크들 https://t.co/xzuXsg4y9r

— Hyungrok (@ehrok) July 10, 2015

인사이드 아웃은 픽사만이 시도할 수 있는 픽사다운 작품. 지적이면서 감성적이고, 아이를 위한 것 같지만 어른을 위한 영화다. 중간에 다소 복잡한 전개나 문화 차이에서 비롯한 간극에도 불구, 보편의 감정을 새 눈으로 보게 한다. 나의 주인공이 누군지도.

— Journey (@atmostbeautiful) July 12, 2015

탈리도마이드 비극을 막은 영웅 프랜시스 올드햄 켈지 여사가 향년 101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명복을 빈다. http://t.co/uGYwpTS7Lk

— 황승식 (@cyberdoc73) August 8, 2015

Sway로 정리한 시원한 겨울여행이야기, 그 마지막 편입니다. ^^ http://t.co/hpSz10O6WM

— Inuit (@inuit_k) August 9, 2015

구글이 Alphabet으로 재탄생. 래리 페이지가 새 이름과 구조조정 계획 발표. 구글 상위의 모기업 알파벳을 두고 브린이 회장, 페이지가 CEO 맡는 형태로. 구글 창업 때보다 사업이 확장된 데 따른 변신. http://t.co/GPuPjtXiig

— Journey (@atmostbeautiful) August 10, 2015

You’ve really made it in life when Google is just 1/26th of the total companies you own.

— Aaron Levie (@levie) August 10, 2015

Automattic is Hiring http://t.co/MFVELMITmG

— Matt Mullenweg (@photomatt) August 18, 2015

“동성애는 개인의 사생활이며, 무신론과 동성애와 싸울 시간이 있으면 세계의 빈곤과 싸우십시오.” “하느님이 위험을 무릅쓰고 우리를 자유로운 사람으로 창조했다면, 지금 그 자유인을 간섭하려는 자는 도대체 누구란 말입니까.”

일부 기부에 대해 할 말 좀 있다. https://t.co/6y04qf6Bxv

— Youngsoo Kim 김 영수 (@YSKimVancouver) July 6, 2015

시리아 난민과 유럽 난민 유입 사태 라운드업 http://t.co/A2AjTFraBG 세살배기 어린아이 아일란 쿠르디의 사진으로 더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난민 문제에 대해 시간순으로 깔끔하게 정리한 글. 너무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 윤지만 (@jiman_yoon) September 8, 2015

South Korea

망해가고 있는 코엑스의 과거 현재 비교.jpg http://t.co/93dJhakrCz 코엑스몰의 3천억변신? 이란 보도를 MBC가 한 모양. 보고나니 답답… 무역협회는 문제를 인정하고 대책을 세워야 할 듯.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August 16, 2015

사법 불신, 판례 정보 공개가 해법이다 http://t.co/Sy7WucnVtA 정상조 서울대 법대 교수. 동감. 판례를 인터넷으로 쉽게 검색하고 관련 분석, 통계가 쏟아져 나오도록 해야 함. 사법제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관련서비스산업활성화도 가능

— 임정욱 / Jungwook Lim (@estima7) August 17, 2015

Humor

사람을 알면 알수록 개가 좋아진다; 양심이 깨끗하다는 건 그만큼 기억이 흐려졌다는 얘기; 멀쩡한 정신과 행복은 불가능한 조합이다; 나는 학교가 내 교육을 간섭 못하게 했다; 인류에겐 아주 효과적인 무기가 있다. 웃음이다. /마크 트웨인 아..

— Journey (@atmostbeautiful) June 23, 2015

한국에서 가장 흉측한 건물 가운데 하나가 결혼식 전용건물이다. 시골집 마당에서 식을 올리던 사람들이 그게 불가능해지자 그 대신 서양귀족의 가짜 성을 만들어 놓고 결혼을 하는 것일까. 아무튼 현재의 결혼 문화는 우리의 빈약한 상상력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 황현산 (@septuor1) July 23, 2015

샌애기때 학교 매점에서 생리대 계산하는데 사람들이 많아서 쭈뼛거리니까 매점 아줌마가 한마디 했다. 편하게 사라고 포장지도 제일 예쁜걸로 갖다놓은 거니까 숨기지 말라고. 멍청한 남자는 그게 뭔지도 모르고 똑똑한 남자는 그런걸로 놀리지 않는다고도 했다.

— 네모박스 (@nemo_boxx) July 27, 2015

저번에 텀블런가 어딘가에서
“한달전까지 화장실 가는 것조차 허락을 받아야했던 아이들에게 ‘이제 스무살이 됐으니 앞으로의 직업, 경제적 계획, 인생 전반에 대해 결정하라’고 하는 것은 얼마나 웃긴가”
라는 말을 본 적이 있는데 격공감했음

— 김싱지 (@tldwl) December 27, 2014

신혼인 후배가 남편이랑 싸웠다고 한숨을 내쉬며, 물 마시고 입 한 번 댄 유리컵을 라면 국물 든 냄비에 담가놨더라고. 그런 건 설거지 안 해본 사람은 모르는 것.

— Jiyoung Lee (@zizizi99) July 2, 2015

가난의 실체는 사실, 벌레 나오는 좁고 오래된 집, 낡은 옷 같은 게 아니다. 그것은 잠을 깨우는 카드값 독촉전화부터 이가 아플때 치과에 못가는 것, 사랑하는 사람한테 못해주는 죄책감, 지인에게 돈 얘길 꺼내야 하는 비루함과 두려움 같은 거다.

— 선한분노_봇 (@bot_goodwill) May 16, 2015

돌직구는 존나 시원하고 아름답게 스트라이크존 한복판에 퍽하고 꽂히는 그런건데 어느 순간부터 사람들이 빈볼을 돌직구라고 포장하기 시작했다. 막말은 돌직구가 아니라 빈볼이야 너 시발 지금 사람 친거라고 개새기야

— 김싱지 (@tldwl) May 1, 2015

그러고보니 ‘꼰대 6하원칙’이란 게 있었지.
Who-내가 누군 줄 알아
When-우리 때는 말야
Where-어딜 감히
What-네놈이 뭔데
Why-내가 그걸 왜
How-어떻게 나한테

— 성우 권창욱 ♪(´ε` ) (@KwonCW84) July 28, 2015

Notice

이것저것링크 시즌5 안내 http://t.co/OmHd1rHEd2 △ 이메일 발행 완전 중단 △ 에버노트 공유노트북 공유 중지 △ 텔레그램 채널 서비스 시작 http://t.co/CqK9uZnDdF #lk

— 서울비 (@seoulrain) September 24, 2015

워싱턴포스트도 페이스북 뉴스 스탠드에 기사 서비스. 인스턴트 아티클에 콘텐츠 100% 올려 링크 이동 없이 페북에서 곧바로 쉽고 빠르고 보기 좋게 읽고 공유하고 댓글도 달 수 있게. https://t.co/0zx0LLSkdb

— Journey (@atmostbeautiful) September 22, 2015

Are you in Korea? The @nytimes is now on KakaoStory. Follow us:
한국에 계십니까? 뉴욕타임즈를 이제 카카오스토리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해보세요: http://t.co/dADAQLmtqW

— New York Times World (@nytimesworld) September 21, 2015

도도한 흐름

삶의 고비마다 어떤 터닝 포인트가 있더라. 그때는 그게 중요한 줄도 몰랐다. 고마운 줄도 몰랐다. 어떤 흐름이 있더라. 삶을 관통하는 도도한 흐름이 있더라.

“마흔다섯이 되던 정월 초하루였다. 갑자기 ‘야~, 앞으로 내가 살 시간이 살아온 것보다 짧겠구나’ 싶었다. 고민이 되더라. 앞으로 어떻게 살 건가. 그래서 나의 시간축을 살펴봤다. 지나온 삶을 차분하게 복기(復棋)해 봤다.”

  • 복기를 했더니 어땠나.

“당시에는 몰랐다. 삶의 고비마다 어떤 터닝 포인트가 있더라. 거기서 삶이 이쪽으로 꺾어지고, 저쪽으로 꺾어지고 했더라. 그런데 그때마다 내가 도저히 기대도 안 했고, 상상도 안 했던 인물이 나타나 결정적인 기여를 해줬더라. 그때는 그게 중요한 줄도 몰랐다. 고마운 줄도 몰랐다. 이 사건이 왜 나한테 터졌나 그 고민만 했다. 그런데 복기를 해보니 알겠더라. 거기에는 어떤 흐름이 있더라. 삶을 관통하는 도도한 흐름이 있더라. 그런데 이 우주에도 그런 도도한 흐름이 있다.”

via 홍승수(69·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원장 : 우리 안에 쌓인 138억 년 우주 나이테 … 매 순간이 귀하지 않나 130925.

전문가란

“전문가의 요건은 첫째, 그 분야의 용어를 알아야 하고 둘째, 생각한 바를 손으로 그려낼 줄 알아야 하며 셋째, 다양한 케이스를 겪어본 사람입니다. 두번째 건 말하면서 떠올랐네. 대화하다 보면 없던 생각이 새롭게 생겨나요.” via 2013.12.23일부터 2014.1.1일까지 사람들과 나눈 말들. | Hortensia Journal. 1


  1. Hortensia Journal 저자글모음 : What I published in 2013. | Hortensia Journal

Quote 1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