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놀이도구들

글쓰기 도구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계속 노력했었고 어느정도 패턴이 정해지게 되었다. 모든 도구를 매번 활용하는 것은 아니고, 어떤 도구에 종속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펜과 종이만 있어도 글쓰기는 가능하다. 하지만 최적화된 도구는 적합한 습관을 길들이거나 잘못된 습성을 교정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정리를 해놓고 – 역시 별거 없구나 – 볼때 그 다음으로 갈수 있는 부분들이 있어 정리한다.

메모하기

스마트폰에 있는 기본메모장이면된다. 아이폰의 경우는 기본메모장을 icloud로 설정하면 윈도우컴퓨터에서도 icloud.com 에 접속하는 것으로 메모장을 볼 수 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클라우드 설정이 가능하면 가장 좋다. 가능하지 않다면 주기적으로 메모장을 이메일 발송을 통해 이메일 계정에 메모를 보관하고 메모장을 비워놓는 상태로 두는 것도 방법이다. 비우는 원칙을 세우지 않으면 많은 메모로 서로 혼란이 온다.

img_3380

에버노트도 좋은 메모도구이긴 하지만 왠지 잘 안쓰게 된다. 한개의 도구에 종속되기를 원치 않기 때문인듯하다.

구글킵도 좋긴한데 아이폰5S를 써서인지 잘 안쓰게 된다. 안드로이드폰에서는 사용성이 좋지 않을까 싶다.

Drafts 는 가장 많이쓰는 메모장이다.

구글계정을 두개 가지고 있다면 행아웃에서 메모하듯 보내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글쓰기

가장 많이 쓰는건 Byword 다. 마크다운을 지원하고 간편하다.

Tumblr는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모습을 보여줄수 있고 무언가 완성되지 않은 글도 쓰기 편해서 온라인 메모장으로 쓴다.

img_3381

전체목차와 위계가 필요한 글이라면 마인드맵으로 구성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컴퓨터에서 scapple, x-mind 를 쓴다. iThoughts 는 모바일에서 볼수 있다 정도지 메인작업은 컴퓨터로 한다.

마인드 맵에서 아이디어를 모으로 그룹핑을 했다면 Opml 파일로 목차와 위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맥에서 OmniOutliner를 많이쓰신다고 하는데 그 기능에 비해 너무 고가로 보여서 구매하지 않았다. 모바일앱은 구매했는데 사용성이 좀 떨어진다. 그래서 Scrivener 에서 – 맥, 윈도우 각각 버젼을 구매했다 – 바로 작업을 한다. Opml 파일은 Workflowy 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Workflowy 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생각하기에 따라서.

목적에 따른 쓰기

함께 작업을 하는 경우는 구글문서로 작업한다. 컴퓨터에서 구글크롬브라우저를 활용하면 음성인식이 되고, 계속 기능이 업데이트 되고 있어서 왠만한 글쓰기는 그냥 구글문서만 가지고 해도 된다.

img_3323

Simplenote는 nvalt 와 연동이 되어서 Drafts 로 메모했던 모든 내용의 검색이 가능하다.

img_3382

iA writer는 영어 품사에 따른 색상표시가 가능해서 영문작성 및 독해서 활용한다.

Textilus는 Word 문서나 rtf 문서를 편집할수 있는 에디터인데 Scrivener 파일을 rtf 파일로 연동하고 그 파일을 클라우드로 연결해서 Scrivener 문서의 모바일 연동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Sciverner는 txt 파일로 연동해서 다른 앱으로 편집해도되고, 모바일 버젼이 곧 나온다고 하니 그 품질을 보고 구매를 결정해도 될것같다.

웹에 꺼내놓기

WordPress 앱을 쓰면 사진의 해상도를 낮춰서 업로드 가능하다. 글쓰기를 돕는 이미지 사진이라면 용량이 크지 않아도 되니 해상도 낮게 사용을 한다. 컴퓨터에서 해상도를 낮춰 업로드하는 것보다 덜 번거롭다고 생각한다.

Social Media에 공유하는건 Safari 나 인터넷(안드로이드폰)에서 제공하는 기본공유기능을 활용한다.

img_3383

블로그에 발행된 글은 RSS 를 활용해서 다시 읽어보고, 그 링크를 각각 분류해서 정리한다. 모바일에서 읽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컴퓨터에서 주로 읽고 분류하는데 모바일에서 사용할때는 Unread 나 Pocket을 활용한다. 분류된 글 다시보기는 Pushpin을 쓰는데 가끔 한글 타자가 안나타나는 버그가 있다. 링크의 분류는 Delicious를 처음 써보기를 권한다.

도구를 선택하고 써볼때마다 느끼는 점이지만 글쓰기 도구를 익혔다고 할 수 있는 시점은 그 도구가 필요없어도 그 기능을 구현할수 있을때다. 모든것을 기억하고 논리가 술술 나오면서 그 글들을 쭈욱 적어나갈수 있는 상태가 가장 좋은 상태라고 생각한다. 윗 도구들은 그냥 글쓰기 놀이용 도구라 생각해도 될것 같다. 얕은 정보들을 쑥쑥 생산하기는 좋다. 깊은 생각으로 발전시키려면 깊은 사유가 필요하다. 기억하고 꺼집어내고 사유하는 사이클의 반복을 위한 놀이 도구들이 재미있을때가 있다.

Boards

[크롬앱] Mural.ly bit.ly/13TaF46 벽에다가 글, 사진, 영상 등을 붙이면서 브레인스토밍. 기본 마인드맵 도구로도 훌륭하고 각종 파일과 웹 상의 자료를 동시에 늘어놓으면서 큰 숲을 조망할 수 있어 정말 좋네요.  via 서울비 블로그 :: 이것저것 링크(2013년 04월 24일).

보드판(개인 / 팀)은 Lino가 모바일도 그렇고 낫다고 생각했는데 Mural.ly는 Google Docs와의 연동, 사안/팀별 과제중심으로 보기에 좋다. 이력관리도 그렇고 알람도 그렇고. lino는 일정(개인/팀)중심의 보드판으로 생각하면 된다. Chrome Web Store – lino.

p.s Prezi 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