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하고 기록을 남기는 첫번째 단계들이 있다. 수첩이나 노트로 시작하는 경우는 한권을 마치는 것이다. 내 수첩, 내 노트가 생기면서 시작이 된다. 정성스레 시간오래걸려 만드는 것도 좋겠지만 첫 권은 빨리 마치는 게 낫다. 얇은 노트, 큰 글씨 그리고 닥치는대로 적는 방법들이 도움된다.
온라인을 통한 기록을 할때는 블로그를 권한다. 블로그 역시 닥치는대로 적어보다보면 ‘이 블로그는 너무 다양한 이야기가 있어서 돌이킬수 없게 망한것 같다’라는 느낌이 들때가 있다. 그리고 만드는 다음 블로그 부터가 시작이 된다. 망한곳에서는 계속 메모를 하고 좀 가꿔진 글들을 새 블로그에 담아가는 것이 괜찮다고 본다.
수첩, 노트던 블로그던 기록으로서 가치는 다시 돌아볼때 있다. 쌓는 것만큼 다시 돌아보는 것이 중요한데 Social 시대를 맞이해서 쓰기만 하고 다시 돌아보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다. 수첩,노트는 나를 마주보며 하는 이야기이며, 블로그의 가장 큰독자는 자기자신이다. 내 블로그의 독자가 되는 방법은 RSS를 구독하는 것인데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겠지만 오히려 모르는 사람도 많아서 간단히 소개한다.
블로그 다시 읽기 RSS
RSS 서비스를 처음 쓰는 경우 Feedly 나 Newsblur 를 권한다. 가입하고 써보면, 그리고 RSS구독에 대해 구글링 해보면 금방 알 수 있다. 구글알리미(alert)에서 주요 Keyword를 설정하면 관련기사가 나올때마다 RSS로 보내주게 설정할 수도 있다. 내 블로그에 대한 독자가 되기도 하면서 필요한 정보들을 받아볼 수 있게 된다. 그래서 Newsblur를 권하는데 무료계정은 64개까지만 구독이 가능해서 적당하게 구독갯수를 제한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간 RSS에 관래 작성했던 글들은 (안 읽어도 되는데 작성하는 김에 참고로 모았다)
- Zero Work 특집 #정보관리
- RSS
- RSS FEED
- cloud.Feedly.com via @feedly
- Widgets 130817
- 정보관리 3단계 – DB, 검색 그리고 쓰기
- 여러개의 소셜채널 관리하기 2014
- nvALT와 글쓰기 루틴 그리고 프로젝트 지식관리
- 블로깅의 의미
- ‘읽기’ 어떻게 할것인가
RSS 연동하기
RSS에 대해 익혔다면 ifttt 활용해서 여러 피드를 한곳에 묶을수 있다. 정보의 Circle 을 만들수 있게되는데, 유의할 점은 편하다고 과용할경우 자동 생성되는 정보 – 기억을 돕지 못하는 – 가 많아진다는 점이다. 자동생성된 정보들에 대해서는 리뷰와 삭제가 정말 중요해진다. 돌아보지 않는 기록은 의미가 없다. 분석을 위한 data 로서의 의미만 남는다.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Ifttt와 관련된 글들도 아래에 목차로 있지만 역시나 안 읽어도 사용하는데는 지장없다.
- 정보관리 w/ @ifttt
- Log Review Tips
- 문서정리 in Cloud Service
- wordpress than evernote (Html url) @IFTTT
- ifttt.com @ifttt
- Archive Web contents efficiently via @jiman_yoon
- 비즈니스용 메신저 Moped.com
- ‘@ifttt 추천채널 및 트위터연동
- 워드프레스 간단 안내서
- 글과 정보 관리하기
페이스북을 통한 메모
페이스북은 아이폰, 맥, 안드로이드폰 그리고 여러 웹사이트에서 기본 공유기능으로 채택하고 있어서 글이나 링크, 사진들을 올리기가 편하다. 하지만 다시 찾아보기 불편한 경우들이 많은데 ifttt를 활용하면 그 글, 링크, 사진을 Dropbox 에 txt 로 모을 수 있다. 에버노트 노트에 쌓이게 설정할 수도 있는데 txt로 작성하면 가볍고 편해서 txt 모으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컴퓨터에서 간단히 검색하기도 편하다.
‘나만보기’로 작성해도 작동한다. 아래 ifttt recipe를 활용하면 day.txt 라는 문서로 쌓인다. 그대로 활용해도 되고, 마크다운 서식으로 되어있어서 그대로 포스팅할수도 있다. ( 3명이 처음으로 만난날을 기념 으로 공개했다)
- 사진 페북으로 메모하기 by ehrok – IFTTT: 페이스북 이미지가 txt 파일로 정리된다.
- 링크 페북으로 메모하기 by ehrok – IFTTT: 링크가 txt 파일로 정리되면서 링크의 앞부분 주요내용도 인용구로 정리된다.
- 글 페북으로 남기면서 메모하기 by ehrok – IFTTT: 페북으로 글을 남기면 txt 문서로 쌓인다.
Tip: 다른 글을 share로 작성하는 경우는 작동이 안된다. 그 글을 링크로 가져와야 한다. 그리고 링크 글을 작성하면 메모글로 인식을 해서 중복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런 경우는 중복부분 삭제가 필요하다.
혹시 마크다운에 대한 글이 필요하다면 여기에
- Markdown syntax
- Postach.io
- Markdown II
- MarkDown Tutorial 기초
- MarkDown 부가기능(Extra)
- Welcome Markdown document
- Hangout
- 마크다운 에디터 중간리뷰
- Gmail 마크다운
- MindMap Meets Markdown
여백
알파고가 바둑을 익히는 것도 데이타에서 부터 시작했고, 그 데이타라는 것도 결국 기록에서 시작된다. 메모하고 돌아보고 불필요한 것을 없애고 내가 아는 바를 다시 내어보는 반복이 내 지능을 발전시킨다.
정보의 홍수속에서는 의미있는 것만 남겨서 주위사람들과 나누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아끼는 사람들에게 점점 더 부족해지는건 정보보다는 여백이다. 각자와 서로의 여백을 만드는데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