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는 것은 정보를 전달하고, 어느 순간의 나를 남기기 위함이다. 정보전달에는 두가지 모습이 있다. 다른 이에게 전달되거나 내 눈앞으로 다시 보여지는 것이다. 타인의 행동,감정을 만들거나 나의 뇌를 재구성하게 된다. 타인의 움직이거나 나를 만드는 것이 글이다. 그렇다면 그 글이라는 것을 어디에 쓸 것인가.
Blog의 본질
과거의 글들은 암석, 나무, 종이위에 쓰여졌다. 암석은 움직이기 어려웠으며 종이는 이동이 가능하나 보관과 전달에 한계가 있었다. 현대는 웹이라는 공간과 다양한 플랫폼에서 수많은 글들이 쓰여진다. 그 중 블로그라는 플랫폼에서 우리는 블로깅을 한다.
블로그(Blog = Web + Log)가 가지는 본질속성은 웹(Web) 과 기록(Log)다. Web은 Link, RSS를 가능하게 하고 기록은 각 글이 남겨진 시간과 분류(Tag)를 가진다.
Web(Link, RSS) + Log(Time, Tag)
그 본질에 가장 어울리는 블로그 플랫폼들은 Blogspot, Tumblr, Medium, Jekyll, WordPress 등이 있다.(네이버나 다음 블로그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네이버는 블로그라기 보다는 페이스북에 가깝다. 글 펌을 장려하고 원문을 찾기 어렵게 되어있기 때문이다.)
Blogging
웹에 글을 써놓으면 타인이 원하는 단어에 걸맞는 글이 검색된다. 예상치 못한 움직임이 생긴다.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글을 써 놓으면 내가 검색해서 복습(과거의 나를 마주하게도 된다)하거나, 그 링크를 타인에게 전달한다.(내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이다) MAC에서 alfred를 사용해서 내 블로그를 검색하는 단축키를 만들어 놓는것도 시간절약에 도움이 된다.
세상 많은 일들이 그렇지만 블로깅이야 말로 직접, 계속 해봐야 안다. (글을 남기고 1년에 한번만 돌아본다 해도 (잊지 않고 돌아보는게 어디인가 😎 ) 알게 되는 것이 있다. 그래서 꾸준히가 아닌 계속이라는 단어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