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
스크리브너파일을 연도별로 관리한다면 블로깅 시스템으로도 운영할 수 있다. 월별 폴더를 두고, 각 문서를 포스팅으로 놓으면 된다.
Each Project is a Year, Each Month is a Folder, Each Document is a Post via Writing: Scrivener as a complete Blogging System | THADDEUS HUNT.
문서를 작성할때는 마크다운으로 작성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다. Dropbox와 Sync하고 어디서든지 수정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MultiMarkdown -> Web Page (.html)” option is all you need. Click that and then click the “Compile” button. Again, I like to save the exported .html doc to my desktop to find it easily via Tips: Setting up Scrivener to Compile MultiMarkdown | THADDEUS HUNT.
매년 마무리할때 각 세팅을 반복적으로 활용하려면 템플릿으로 저장해서 새파일을 만들면 된다.
File > Save As Template via Writing and Tips: Creating a Custom Project Template in Scrivener | THADDEUS HUNT.
Routine
위와 같은 세팅이 된다면 Routine을 만들 수도 있다.
- Drafts 로 메모한다. 모든 파일은 txt 문서로 Dropbox에 저장된다.
- Markdown Editor 를 이용해서 단어를 문장으로 문장을 문단으로 발전시킨다.
- Scrivener로 불러와서 배치한다. (Scrivener로 넘어온 txt 파일들은 Gmail에서 Evernote 로 보내서 백업한다. 에버노트의 노트글로 자동변환된다)
- Scrivener에 있는 파일은 Simplenote 나 Dropbox로 External Sync 되기 때문에 수시로 퇴고가 가능하다.
- 폴더는 Subject 1,2,3 , Archive, Inbox 분류도 적당하다.
- 위와같이 글별 html 발행을 하거나 별도의 epub으로 관리한다.
- 글로 발행된 내용은 Devonthink로 들어와서 Scrivener 의 글감이 된다.
아쉬운점(언젠가 되겠지)
- 스크리브너는 마크다운 뷰어가 안된다. 변환해야 결과를 안다.
- Drafts는 쓰기나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