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to Get Control of Your Time and Your Life **(1973) – Alan Lakein
[# 원칙]
- Control – Balance – Freedom 덤으로 자유를 얻게 된다.
- 외부요인도 많지만 컨트롤 할 수 있는 부분도 잘 하고 있지 못하다.
- Planning에서 시작한다. 계획은 생각이 아니라 쓰기다. 가치: A,B,C로 구분, 긴급성: 1,2,3을 붙인다.
[# 방법]
## Really Want: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아래 질문에 2분간 마구적는다. 1분간 쉬었다가 부족한것 다시 적는다.
- “What are your lifetime Goals?”
- “How would you like to spend the next Three years?”
- “What if you knew you’d be struck dead by car accident in Six Months?”
아직 작성 안했다면 더 이상 글을 읽을 필요는 없다. 각각 3개 총 9개의 A Goals를 뽑는다. 그중 장기간 3가지를 뽑아서 인생선언문을 만든다. 2주정도 몇번 연속적인 시도를 하는게 좋다.
- ## Goals: A Goals를 위한 A Activity를 만든다. “앞으로 7일간 5분씩 투자할만한 행동인가?” 질문에 통과한 의미있는행동 4가지를 뽑는다. 3*4=12가지가 주간목표 Big Rocks다. 우선순위를 정한다. 캘린더에 어떤날 언제시작할지 적는다.
- ## Schedule: 항상 시간을 계획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아침 저녁으로. 저녁, 전주에 계획을 잡으면 아침, 월요일에는 확인 조정만 하면된다. 일과 마무리시 인생선언문, A-Goals 를 보고 구체적인 A-Activity를 정한다. A를 위한 시간을 정해놓는다. 에너지는 습관에서 발생한다.(습관이 에너지를 만들기도 하고 보존하기도한다) 예정된 일은 Prime시간에 하고 급작스런일을 위해 Buffer 시간도 계획한다. 예정된 시간과 급작스런 일에 대한 균형안에서 놀라는 일이 줄어들고 인생이 순조로워질 수 있다. Tip: 시간에 대한 관점을 다르게 본다. 시간을 재배치 하면서 뭉텅이 시간을 찾는다.(휴식, 명상, 주부자유시간+예측하기, 전환시간늘리기, 출퇴근시간, 휴식시간relax, 점심시간, 기다리는시간, 5분의 조각, 파킨슨의법칙은 야근을 없애서(마감시간) 깨트린다)
- ## Todo Lists(Tasks) – 할일목록(A Act 와 C Act가 섞인). <— GTD 는 여기서 시작한다.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사항만 한곳에 적는다(적고나서 한곳에 모으거나). A,B,C Grouping해서 적거나 Context별로 기능별, 사안별 모으는게 도움이 된다. Workpackage가 되는 것이 중요하고 Loop로 완결 되는것이 중요하다. C는 80/20, C서랍, 주부서랍 필요하다. 실행/정보/연기 구분. 한번에 처리. 읽는것도 시간이 필요하다. 무엇을 읽을지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 People: 빨리 해주기를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족과는 ABC를 서로 조율해야 한다. VUP,갑작스런 요구들, Quiet Time을 위해서는 주위의 협조 내 협조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책을 소리내어 읽는 것은 비효율적이지만 가족과 같이 시간을 보내기에는 좋다.
- ## 이것 저것 다안될때는 “What is the best use of my time right now? – Alan Lakein‘s Question” 첫번째 답이 답이다. 첫번째 답을 놓고 Pass or Stop 정한다. 80%의 가치가 20%로 완성되는 경우(대부분 가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완벽주의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타이머를 활용해서 불필요한 시간이 계속 더해지는 것을 막는다.
[# A Goal 조금 더 하기]
- ## 쪼개기: Swiss Cheese(먹을 수 있게)
- ## 발담그기: Instant Task(신체 감각을 유도한다. Cue를 만든다) – 결정의 시간 5분. 5분동안 적어만 볼까. 만약 한다면 어떤걸 하겠지? 다른사람이 한다면 어떻게 계획을 잡을까. 정보를 모아볼까. 그 행동을 하기위한 도구를 주위에, 항상눈에 띄게 놓는다. 할수없다고 생각하면서 쓰기, 녹음하기라도 해본다. A1 과 관련된 사람을 만나본다. **어쨌든 A1과 관련된 일을 해야한다** 할수있다고 스스로 격려한다. 약속을 해버린다. 마감시간을 잡거나 회의를 잡는다.
- ## 몰입하기: Leading Task (Next 정의한다. 및 지루하지 않게 자극변화하기. 수집>정리>실행, 정리>보관>요약>버리고>조직하기. 사용하거나 새롭게 반응되거나. 리듬, 장소, 방법의 변화)
- ## 때로는 느리게: 장소가 바뀌면 바로 시작하지 않고 Breathe 한다. (불쾌한기분 없애기. 미루면? 열정도 창조해야)
- ## 두려움이 끼어들면 : 소멸,참기,柔道, 부풀려서 터트려보기.
- ## 미룸의 비용: The Price of Delay 해야 할일은 시간이 지날수록 군살이 붙기마련이다. 특히 대상이 있는 경우는 더더욱.
- ## 이익을 강조: 작은성공과 보상, 비행기표 미리 예약하기, Game으로 만들어보기(같은시간을 놓고 Game처럼 해보기)
- ## 벗어난후 돌아오기: 인생의 가치는 빈둥대는데 있지만 A를 할때 가치있음. 인정한다. “시간낭비야” 말!하며 인정한다. 항상 성공하지는 않지만 언제 낭비하는가를 알면 도움이 된다.
- ## Will Power 의지력은 매일 야생마를 타면서 익숙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ex) TV를 없앨때 하나씩 없애는 것: 처음에는 소리를 없애고. 특정광고가 나올때 끄고. 그 광고종류를 늘리고 결국 없앨 수 있음(소리, 화면을 기제CUE로 만듬. 모두 감각과 연관된다), 조금씩 더하는 것이 의지력을 만들어낸다. A는 조금씩 더하고 C는 조금씩 덜하고.
[#최선을 다하면 성공]
시도해야 모든것이 가능하다. 실수는 성공에 가까워지게 한다. 단, 같은 실수를 반복하면 안된다.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잘못될까 걱정하는 낭비를 없애라. 습관은 시간이 걸린다. 할까 말까. 맞나? 진짜 맞나? 망설이다 시간 다지나 간다.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 George Bernard Shaw
관련글 : ZTD via @zen_habits | #eWord.
😐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가 오역이라는 의견이 있군요. 그래도 우물쭈물로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은 앨런라킨의 책에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각색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