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월 9일, 잡스가 아이폰을 얘기하기 시작했을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오늘은 제가 2년 반 동안 꿈꿔 왔던 날입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소비자들이 어째서 자기 휴대폰을 싫어하는지 잔뜩 이야기를 들려 줬다. 그리고는 자기가 그 모든 문제를, 분명히 풀어냈다고 말했다. via 스티브께서 가라사대, “아이폰이 있으라” | Albireo’s PowerBook.
하지만 그 뒷면에는 그 결과과 나오기까지의 과정들이 있다. 아래 문장들은 시간의 역순.
“잡스의 시한을 맞춰야 한다는 압박은 너무나 강해서 평범한 토의도 이내 싸움박질로 변하기 일쑤였다. 기진맥진한 엔지니어들은 일을 그만 뒀다가 잠 좀 자고 며칠 후에 다시 출근하곤 했다.
아이폰 프로젝트는 너무나 복잡해서 애플 전체에 위협을 가할 때도 종종 있었다. 애플 내 수석 엔지니어들이 아이폰 프로젝트에 너무 매몰된 나머지 다른 일의 시한을 늦춰야 할 때가 발생해서였다. 아이폰이 애플을 다 덜어내느냐, 아니냐의 문제였다.
잡스는 아이폰에 수정된 버전의 오에스텐(모든 맥에 탑재돼 있다)이 들어가기 바랬다. 그렇지만 아무도 오에스텐과 같은 거대한 프로그램을 휴대폰 칩에 올려 놓을 시도를 하지 않았었다. 오에스텐을 거의 1/10로 줄여야 했기 때문이다. 코드 수 백만 줄을 없애거나 다시 작성해야 했으며, 칩이 2006년에나 나왔기에 엔지니어들은 칩 속도와 배터리 수명을 시뮬레이션하여 작업할 수 밖에 없었다.”
😐
나는 항상 모든일의 진정한 배경과 원인이 궁금하다. 기업의 문화와 경쟁력이라는 것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문화와 경쟁력을 정의하는 진정한 배경과 원인은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사례를 보면 항상 여러생각이 든다.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나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 오늘 눈에 띈 팀쿡의 트윗 (‘13.10.06 현재 RT 9000, FAV 4800 이다.)
Second anniversary of Steve’s death. Going on a long hike today and reflecting on his friendship and all the dents he made in the universe.
— Tim Cook (@tim_cook) October 5, 2013
이 트윗을 보고 울컥한 마음이 들어 한동안 쏟아냈다. 방심한 마음에 허를 찔린 느낌이었다. 2년전 아이폰4s가 나오고 나는 아이폰4를 사용한지 1년이 되는 시점이었다. 1년간 휴대폰 배경사진은 기본사진이었으며, 잡스를 기리는 마음에 잡스의 사진을 배경사진으로 지정했다. 동생이 그 화면을 보고 싫어하기전까지.
왜 영정사진을 배경사진으로 해놓는거야.
동생은 자신이 폐암이라는 사실을 알고 항암치료를 받는 중이었다. 어떤 기분이었을까. 우리는 한동안 잡스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두달전 병원에서 동생에게 젊은 잡스의 영상을 보여줬다. 이사람 이때 벌써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고, 그게 앞으로 한국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이야기해주고 싶었다.
야~ 스티브 잡스를 여기서 이렇게 다시 보게될지 몰랐네.
의사는 동생에게 여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려주었고, 동생도 그 사실을 알고 있었을 때였다. 그리고 이야기했다. “아쉽다. 나도 잘할 수 있는데. 형이 이런저런 일 벌려놓고, 내가 뒤에서 챙겨주고. 그럼 환상의 콤비가 될텐데. 아쉽다.” 그림그리기를 좋아하고 손이 깔끔한 동생이었다. 나도 우리가 충분히 그런 팀이 될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예전에 했었다. 동생이 아프기 전부터.
팀쿡은 사이클링을 하면서 잡스가 이루어낸 것들을 회상했다. 나는 오늘 코딩을 배우러 간다. 코드 수백만줄을 없애는게 어떤 의미인지 알수 있을 것같다. 그리고 돌아와서는 뛰어야겠다. 뛰면 내면을 마주 할 수 있다. 내면에 있는 동생의 말과 생각들을 마주할수도 있다. 있다가 보자.
+ 아이폰이 없었다면?
이런 상상을 초월하는 난관을 뚫고 애플의 엔지니어들을 지휘해 초인적인 독재자, 스티브 잡스는 2007년 1월 맥월드에서 아이폰을 발표했다. (애플의 혁신에는 인간이 머신과 어떻게 감응하는가에 대해 다시 생각했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가 단순히 마우스 대신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만이 아니다. 특히 스마트폰은 우리 두뇌의 확장이다. 근본적으로 사람들이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방식을 바꿨기 때문이다. 책과 신문, 전화기, 라디오, 테이프 녹음기,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나침반, 텔레비전, 비디오, DVD,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비디오 게임, 아이포드에 끼친 영향력을 생각해 보시라. 스마트폰은 이들 모두를 주머니 안에 집어 넣었다. 게다가 우리가 학교에서 공부하는 방식, 의사가 환자들을 다루는 방식, 우리가 여행하고 탐색하는 방식을 스마트폰이 바꿔버렸다. 오락과 미디어 접근과 경험 또한 완전히 새롭게 변화됐다.) 과연 이때 아이폰이 나오지 않았다면, 애플이 아이폰을 만들어내는데 결국 실패했다면, 우리는 지금 …?
2007년초 마이크 라자리디스(블랙베리)는 러닝머신에서 운동하면서 TV를 보다가 처음으로 애플 아이폰을 접하게 되었다. 그해 여름, 그는 아이폰을 분해해서 내부를 들여다보고 충격을 받았다. “이것은 마치 애플이 맥컴퓨터를 휴대폰안에 구겨넣은 것 같잖아(It was like Apple had stuffed a Mac computer into a cellphone)” via 스티브 잡스 서거 2주기에 읽는 아이폰 탄생 비화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