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s Search for Meaning


Man’s Search for Meaning by ehrok June 09, 2013 at 10:10PM

“극한 상황에 이르면 사람은 두가지 모습을 가진다. 돼지 또는 성인.”

삶의 최종적인 의미 역시 임종의 순간에 드러나는 것은 아닐까?

“인생을 두번째로 살고 있는 것처럼 살아라. 그리고 지금 당신이 막 하려고 하는 행동이 첫번째 인생에서 이미 그릇되게 했던 바로 그 행동 이라고 생각하라.” 이 말처럼 인간의 책임감을 자극하기에 좋은 말도 없다. 이런 교훈은 인간으로 하여금 삶의 ‘유한성’은 물론 성과의 ‘궁극성’과도 대면하게 만든다. 로고테라피는 환자가 그 자신이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깨닫도록 하기위해 노력한다. 화가보다는 아노가의사가 하는 일에 가깝다. 있는 그대로 볼 수있도록 해주려고 노력한다. 환자의 시야를 넓히고 확장한다. Logotherapy 는 의미(Logos)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나왔다. 로도테라피 이론에서는 인간이 자신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찾고자 하는 노력을 인간의 원초적 동력으로 보고 있다. 프로이트 학파가 중점을 두고 있는 쾌락의 원칙이나, 아드리안 학파에서 ‘우월하려는 욕구’로 불리는 권력에의 추구와 대비시켜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라고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살아야 한다는 의미는 내가 아니면 안되는 의미를 찾는 것이다. 아이나 가족을 돌보는 일이나, 어떤 글을 쓰는 일 등이 그런 일들을 예로 들고 있다.

행복은 얻으려고 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행복해야 할 이유’를 가지고 있으면, 그 이유를 찾으면 인간은 저절로 행복해 진다. 웃게 하려면 웃을수 있는 이유를 제공하면 된다. 웃음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과잉의도(hyper-intention)도 그런 행동 패턴중 일부를 나타낸다. 불감증, 발기부전등 신경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쾌락을 얻어야 한다는 원칙’이 즐거움을 망쳐버리는 것이다. … ‘체념상태’ 모든 것을 거부하고 막사에 남기를 고집한다. 그런 다음에 아주 전형적인 행동을 한다. 주머니 깊숙이 감추어 두었던담배를 꺼낸 다음 그것을 피기 시작하는 것이다. 바로 그 순간에 우리는 그가 앞으로 48시간 안에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예감한다.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가 없어지고, 순간적인 쾌락의 추구가 뒤를 잇는 것이다.

😐 어떤 사람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배울점을 찾아낸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