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sai ni naru shunkan by ehrok May 17, 2013 at 10:56PM
“혼신”을 다해 ‘바늘 한점’에 집중할 때 도약할 수 있다.
도약의 순간 – 사이토 다카시 2005
악마처럼 세심하고, 천사처럼 대담하게. 디테일은 기억에서 나오고 기억은 메모가 돕는다. – 구로사와 아키라
전쟁에 살아남았다. 소중한 하루하루를 흘려보내지 않는 다. 그리고 또 그린다. 나는 평가위원이 아니다 나도 현장에 있다. 항상 같은 선상에서 평가해 달라. – 데스카 오사쿠.
빌게이츠 조차도 불안감에 휩싸였었다. ‘네가 할 수 있어?’ 라는 조롱을 ‘할 수 있어!’의 에너지로 보여준다.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운명의 먹이; 교황님이 슈퍼 갑)
니체의 자부심과 고독 (Ecco Home: 나를 보라)
기타노다케시(개구쟁이의 감성, 자신이 이기는 룰을 만들기)
– 톨스토이(일기, ‘규칙을 글로 쓸 것’이라고 까지 했는데 실제 초기 삶은 지키지 못함의 연속. 일기를 통해 초조감을 문체훈련, 번역으로 전환했다. 프랭클린 13덕목도 영향을 주었다) “외부의 강제가 없을 수록 자신을 다스리는 정신적인 힘이 요구된다.”
– 오귀스트 로뎅(벨기에) 50세까지 빈고의 고통을 겪었다. 데생, 색채감각, 해부학과 같은 기초도 없이 어떻게 조각가가 될 생각을 하는지.
– 빈센트 반고흐(네델란드) 살아생전 그림한장 팔림. “새장에 있는 새는 다른 새를보고 안타까워하나 결국 새장에 부딪힐 뿐” 이라는 안타까운 상황이었으나 결국 “자신의 스타일” 을 구축함.
– 요한볼프강 폰 괴테: 20대 정치가. 37세 모든걸 버리고 이탈리아로. 2년동안 사람들 만남. “배경버리는 것과 환경 바꾸는 것은 다른 문제”
– 폴 고갱 – 주식중개인 33세 화가시작. 배수의 진.
– 미야자키 하야오 – 2마력”전혀 다른 스타일의 두 명이 커뮤니케이션. 서로 자극이 된다” “동경하는 대상은 자신의 발전에 한계가 되기도 한다.” 신체감각을 계속 살린다. 코난의 발가락.
“아이디어를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자기경험과 사고속에서 만들어내는 것이 천재들의 능력인 것이다.동경하는우상을 뒤따라가기만 해서는 그를 추월하기 힘들다. 추월한다해도 “아류”라는 소리를 듣는것이 고작이다.
“모든 것을 힌트로 삼는 열정을 유지하고, 자기만의 표현 스타일을 추구하며 움직인다. 이를 자기분야에서 실천할 수 있을때 바로 도약으로 향하는 첫발을 내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