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pational Activist

이 글은 요약글 입니다.

” 대뇌(정확히 대뇌겉질)는 우리가 의식하는 감각·지각·운동·수행과 관련된 이성을 맡고, 변연계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가 위험한지 아니면 먹잇감인지 감지하며, 이에 대해 감정(정서) 반응을 하고 기억하는 구실을 맡는다. 즉 대뇌는 이성을, 변연계는 감정을 맡아 팀플레이를 이룬다.

변연계 = 대상회(띠이랑, 분홍색) + 해마(연두색) + 편도체(파란색) + 뇌궁(연한 갈색) ; 변연계통, 가장자리계통 (출처: 시사인 – 막장 드라마 욕하면서 보게되는 ‘과학적이유’ )

막장 드라마에는 분노·우울·불안·우월·흥분과 같은 감정이 즐비하다. 비유하자면 변연계의 전시장 같다.  대중의 변연계를 자극하듯 독하게 막장으로 치닫는다. 대중은 이에 변연계로 반응하며 시청률로 응답한다. 이때 시청률이 우리의 변연계 활동수치쯤 될까? 아마 시청률이 가장 높을 때 가장 변연계적인 장면이 등장할 것이다. 누군가 공격하거나 공격당하거나, 도망가거나 굴복하는 그런 장면 말이다. 사람들은 보고 나서 드라마를 욕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욕하면서도 변연계의 자극을 즐긴다. 공포영화를 무서워하지만 찾아서 보는 것처럼. ” via 막장 드라마 욕하면서 보게 되는 ‘과학적 이유’ – 시사IN, 시사인.

후기

” 제게 과학자라는 호칭이 붙게 된다면 우선은 \’작업과학자\’이며, 신경과학의 경우는 신경과학을 작업과학을 위해 응용하고 추론하는 목적으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뇌과학자이기보다는 \’뇌(신경)과학 응용가\’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큰 의미에서는 \’-er\’의 직업인이기보다는 \’-st\’의 현장가로 여겨지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저는 작업치료사이며, 작업 행동가일수도 있겠습니다. Occupational Activist 정도가 될까요.” via 작업으로 바라보는 세상: 변연계에 흔들리고 변연계를 좌우하는 사람과 사회.

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란 fromsensorytosociety.blogspot.com/p/blog-page.ht…

감각통합과 작업치료로 바라보는 세상: 작업치료 용어 틀정리: UT에서 Framework-2까지. ICF간략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