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re. 형H과 형호Ho가 시작하는 이야기. via #reHHo | #eWord 130831″ 에 있는 두개의 편지를 지인에게 보냈다. 다시 공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받은 답장들.
“나도 너처럼 가족을 보내고 썼던 글이 있어. 지금 읽어도 그때의 아픔이 그대로 전해지는. 누군가를 보낸다는 건 너무나 긴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 그 순간 괜찮은척 이겨내는 척 하지만 일상에서 툭툭 아픔이 튀어나와 무너져버리지. 그렇게 나도 보냈던것같아. 일년을 울면서 그다음일년은 가슴에 묻으면서 이렇게 서로 작은 마음이지만 다들 공유할 수 있고 토닥일 수 있어 좋네. 이게 사는 건가보다.”
“삶의 흔적들. 걸어가는 길 함께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 또 함께 공유하고 나눌 얘기들이 있다는 것. 그게 삶이고 행복인거지”
“우리 작년 송년회때 약속 장소 가면서 네 모습 잠시 떠올리며 마음 한구석 아팠는데 ….막상 편안한 네 표정 보면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더랬다… 글들을 읽으며 형제의 따뜻한 이별에 마음이 많이 저렸어 … 아픔과 슬픔 그리움도 우리인생의 한부분이기에 또 앞으로 우리에겐 이런 부분들이 더 많이 있을거기에 오늘도 편안해 보이던 표정을 떠올리며 .. 내가 아는 너보다 더 많이 알게 되어가는거 같아 고맙다.”
“죽은 사람의 말이 산사람의 껍질을 벗겨주고 간다면 그말은 죽은 말이 아닐겁니다 좋은영상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어리지만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보세요 라는군요.”
“너의 글을 이해할 수 있는 인간보다는 훨씬 더 우매하고 이기적인, 배려는 모르는 인간들이 더 많단다.”
모두들 감사합니다. 글이라는게 그때가 아니면 안써지는 글이 있더군요. 가장 크게 느낀건 웃을 때 더 웃고, 그 때에 할 수 있는 것 더 하고. 뭐 그런것들. 건강하고 지금 곁에 있는 사람들과 더 재미있게 지냅시다.
😐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야겠다. 아래 글을 쓸때만 해도 전혀 몰랐던 일들이 일어났다.
“동생의 웃는 모습이 사라졌다. 몇몇 영상이 있지만 둘이 장난치면서 웃는 영상은 그 영상이 유일했는데. 동생을 보며 웃는 내 모습도 사라진 것이구나. via 사라진 영상 | #eWord 130920″
이상하다 싶었던 것들은 과연 이상했다. 이유가 있었다. 더 웃고, 더 재미있게 지내겠지만 한가지는 다짐한다. 말은 듣기는 하되 믿지는 않겠다. 글도 약하다. 보이는 행동을 믿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