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라인을 포스팅하는 새로운 방법. 아래 내용은 오늘 fav 한 내용들. 목차도 가능1
건설업 협업 플랫폼 by Google X
산업 중에 가장 많은 자원/에너지를 소비하고 폐기물을 배출하는 건설업을 대상으로 30-50% 효율화(연 $1200억 가치)시키기위해 구글 계열사 Genie는 클라우드방식의 협업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어 http://t.co/QdAgVcq1Iz 변지석(Pyun, Jisurk) (@jpyun) October 18, 2013
구글실적
구글의 실적발표내용을 자세히 보지 못했는데 지금 보니 구글주가가 사상최초로 1천불을 넘어섰다. 얼마나 실적이 좋았길래… Jungwook Lim (@estima7) October 18, 2013 현재 20% 정도의 달러가 남은 상태라 코카콜라와 GM과 구글 중에 무엇을 살 것이냐 고민중. 구글은 사놓고 5년 뒤 쯤 꺼내보면 박살나 있거나 대박나 있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 pic.twitter.com/OFq69AmaUB Hubris (@hubris2015) October 18, 2013 너무 늦게 알았고 너무 빨리 진행된 걸로 알고 있어요. 제 베스트 프렌드의 베스트 프렌드였고 시장에서 탁월한 세일즈로 유명한 분이었어요. 안타까울 뿐입니다. @mycheez Hubris (@hubris2015) October 18, 2013
투자
저는 파생상품을 주로 트레이딩하는지라 주식은 지수를 이길 수 있을 정도면 됩니다. 파생에서 생기는 이익으로 어느 정도의 변동성은 커버하지만 너무 불확실성이 큰 종목은 제외합니다. AMZN의 미래는 낙관하는데 싼지는 잘 모르겠어요. @JongheeJo Hubris (@hubris2015) October 18, 2013 오늘 주식(채권)이 왜 올랐나요?라는 질문에 외국인이 순매수라서요라고 대답하는 애널리스트이 꽤 많았다. 정말 바보 같다고 생각하다가 2006년 내가 애널리스트가 되었는데 첫 보고서에서 이렇게 썼다. 시장의 수급은 펀더멘탈의 일부일 뿐이다. Hubris (@hubris2015) October 18, 2013
etc
장자는 저렇게 잘 생긴 얼굴로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일갈했는데 이 시대 잘 생긴 남자는 연예인으로 잘 먹고 잘 살고 있다. 한비자는 말을 더듬어 중용되지 못했는데 김성주, 김제동, 김구라는 세 치 혀로 이 시대의 데마고그가 되었다. Hubris (@hubris2015) October 18, 2013 요즘 바빠서 별 생각이 없었는데 타임라인과 언론기사를 읽으니 아무래도 3D로 그래비티를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Jungwook Lim (@estima7) October 18, 2013 힐링 책 사진만 줄창 올리는 분들이 있다. 콜라 마시면 잠시 시원하지만 콜라만 매일 마시면 비만 걸린다. 고전(古典)과 실용서적 혹은 사회 개혁을 위한 비평서적은 영혼의 근육을 단단케 할터인데, 콜라만 줄창 마시며 이빨 썩는 사람들이 있다 KIM EUNG GYO (@Sinenmul) October 18, 2013 최근 언론은 사건을 제대로 다루지 않는다. 대신 사건에 대한 논란을 다루고 마감한다. 언제부턴가 그게 보도 패턴이 되고 말았다.— Won, Yong-jin (@wooam) October 18, 2013
😐 목차를 주석으로 표시하고 싶었는데 그건 안됨.
- 목차- 주요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