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가지

새롭게 시도하는 것들.

  1. 스마트폰을 지참하지 않기로 했다. 퇴근후에는 가방에 박아놓거나, 휴일에는 집에 놓고 손에 자유를 주기로 했다. 2일째인데. 괜찮다. (마시멜로우 실험을 볼때 통제력도 총량이 있다. 통제력을 갉아먹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게 낫다.)
  2. 페이스북은 “연결되어 있다 = 서로 정보를 구독하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기 좋다. 꽤 조심해야 한다. 그 프레임안에 갇히기 쉽다. 페이스북도 다시 정리. 17명으로. unfriend하는 경우는 피드백이 없거나 글의 소재가 다른곳에서 보이는 글의 중첩에 불과한 경우, 서로 연결되어 구독하는 것이 불요한 경우인데. 그냥 만나는게 나을것 같기도 해서.
  3. 소셜서비스를 여러가지 사용하는 대신 구독인원을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페이스북 17명, 트위터 7+38 = 45명, 구글+ 2, 텀블러 2. 총 66명정도. 포스팅을 잘 하지않는 인원이 있으니 50명 수준이다.
  4. 예전에 좋다고 느꼈던 온라인 피드의 글들에서 점점 아쉬움이 느껴진다. 완성도가 부족한, 균형이 치우쳐져있는, 잘못 생각하고 있는, 핵심을 숨기고 여러가지중 한가지만 글감(홍보)로 활용하는… 등등의 느낌인데(내 블로그 글들이 괜찮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완결성과 균형을 생각하면 역시 책이 낫다.
  5. 책도 잘 선택해야 한다. 다독은 좋은 책을 선택하기위한 노력이지 다독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가 약하다. 다독후 비우면서 남는 책들 그 책들이 진짜다. 비우지 못하면(선택하지 못하면) 뼈대가 생기지 못한다.
  6. HHK P2 를 만났다.
  7. 시간, 집중력, 감정은 총량이 있다. 총량을 늘릴수는 없다.(줄어들수는 있다.) 어떻게 배분할지 선택만이 가능하다. 어떻게 우선순위를 배치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