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1 Style

언젠가 블로그 글들중 공감가는 내용을 공유한 적도 있지만 chang1 120816| #eWord. 좋은 글이 많은 블로그라  Diigo로 정리를 해보았다. My Library tagged @chang1.

Diigo 에서는 Tag를 Tree구조로 찾아볼 수 있다
Diigo 에서는 Tag를 Tree구조로 찾아볼 수 있다

▶ 처음처럼

  • 나이가 들면서 가장 불행한 일 중 하나는, 열정 하나로 하얗게 밤을 지새울수 있는 짜릿한 경험의 수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걸 해도 다 얼추 해본거라서 시큰둥해지는 것. 누군가 말하길, 나이들면서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이 그거

  • 그런 이유로, 우리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전략적으로 “인생 첫경험”들을 군데군데에 배치해 놔야 한다. 새 경험에 대한 동경과 영민함을 유지하는것, 생각보다 쉽지 않다

▶ 리더십의 요건?

  • 리더십의 근본적인 요인중 하나가 이게 아닌가 한다.  사람에 대한 근본적인 관심과 사랑.

  • 고백컨대, 나는 그게 부족하다. (불확실한) 사람보다 (확실한) 사물이 좋고 편할때가 있다. 저 사람은 요새 무슨 생각 하고 살고, 그의 고민이 무엇이고 내가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이런게 별로 궁금하지 않을 때도 많다. 그냥 그는 “이런 일 하는 사람”으로 먼저 인지되는 것이다. 사람 중심이기 이전에 철저히 일 중심인 셈

  • 여전히 너무 부족하고 모자르다. 비단 바빠서가 아니라, 이런 이유때문에 말이 적어지고 글이 짧아지는 요즘

▶ 기술 중심 스타트업

  • 기술 중심 스타트업

  • 인간과 컴퓨터가 같이 협력하는 팀이

  • 어차피 사람이 가장 잘 할수 있는 일은 언제나 존재할 것이며, 이렇게 사람들이 하는 일을 클라우드와 모바일 기반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할수 있게 해주는 비즈니스에도 기회가 많을것 같다.

▶ 새해 목표: 결과? 과정?

  • 마크 큐반의 책에도 나오다시피, 우리가 컨트롤할 수 있는 유일한 대상은 우리의 노력이다.

▶ 실행과 살아남기

  • “인터넷 서비스에서 정말 좋은 아이디어라는 것은 몇개 안되고, 정말 실행에 달려 있다. 페이스북도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었지만 아이디어의 실행을 잘한거고 서비스의 품질과 빠른 확장성으로 인해 성공한 것.” (“There are not that many ideas for internet products that will be really good. It is really all about execution. Facebook too wasn’t a new idea but I think we took the idea and we focused on execution, focused on quality and getting to scale.”)

  • “장기적으로 생각하고, 항상 단기 목표가 아니라 회사의 성장을 위해 무엇이 옳은지에 근거해서 결정을 내릴것. 그리고 살아 남을것.” (“Focus on the long term, and always do what’s right to grow the company and not make short-term decisions. And outlast everyone one.”)

▶ 당신이 새해에 블로깅을 시작해야 하는 이유

  1. 재미있다. 믿기 힘들면 한달만 해보시길

  2. 정보를 전달해서 세상에 공헌할 수 있다

  3. 자신의 브랜드를 가질수 있다

  4. 지인들에게 자기가 무슨 생각 하고 사는지를 공유할 수 있다

  5. 굳이 안써도 되면 안쓴다. 바빠도 안쓴다.

  6. 쓰게 되면 간단한 메일 하나 쓰듯이 가볍게. 부담이 없어야 블로깅  오래, 길게 할수 있다는 생각. 어차피 시간도 없고.

  7. 아침 또는 새벽에 일어나서 간략히

  8. 생각”보다는 “정보”

  9. 떠오르는 생각들 중에 공유하고 싶은게 있으면 수필처럼

  10. 여유가 좀 생기면… 가끔 제대로 된 글 써서 매체에 기고

▶ 행복은 만드는게 아니라 의미있는 일을 할때 얻어지는것

  • 하루동안 의미있는 일을 해보라

▶ 블로그 > 페이스북

  • 블로그는 페이스북에 비해서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검색에 나오는, 어느정도 수명 있는 (”Shelf life”가 있는), 또 어느정도 특정 토픽과 테마의 일관성을 띈 컨텐츠를 생산함으로써 자신의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갈수 있는 것

  • 나는 지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는지 궁금했고, 따라서 온라인 상에서 그들을 따라다니기 시작했다. 근데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너무 힘들었다.

  • (상당수 내가 이미 봤던) 뉴스링크 공유나 웃긴사진 공유 등

  • 지인들이 가끔 그들의 진솔한 생각들과 좋은 정보들을 자기 블로그에 정제된 좋은 글로 올려줬으면 좋겠다. 그보다 더 나은 서비스가 나올때까지 말이다.

▶ 소개 에너지 단상

  • 비즈니스 하다보면 정말 많은 시간을 “소개”에 할애하고, 적합한 사람을 소개받는 일이 어떤 일보다 중요한 일중 하나고, 또한 심지어 그렇게 적합한 사람들끼리 소개해주는 데서 오는 기쁨 에너지도 꽤 큰 편이다 (중매업이 돌아가는 동인중 하나

  •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그 프로세스가 아주 효율적인것 같지 않다.

▶ 좋은 TED 토크 소개

  • 지구 온난화

▶ 높은 생산성 유지하기

  •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야 할 100가지 일에 신경쓰는 경향이 있고 그러다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일들은 이루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나는 꼭 해야 하는 3-5가지의 일들에 정말 집중하려고 노력한다. 나머지 회사의 성공에 궁극적으로 기여하지 못하는 중요하지 않은 97가지 다른 일들 때문에 그러한 중요한 일들이 방해받지 않도록 노력한다.”

  • 아침에 일어나서 자기가 그날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대여섯가지를 암기 카드에 써놓고 하루종일 그것만 집중해서 했다 – 마크 앤드리슨

  • “Productivity is never an accident. It is always the result of a commitment to excellence, intelligent planning, and focused effort.”-–Paul J. Meyer.

▶ 리더 8단, 리더 9단

  • 리더 8단: 상대방이 꼼짝 못하게 설득당하도록 하는 사람 리더 9단: 자신이 원하는 의도대로 상대방을 이끌어 간다손 치더라도, 그가 스스로를 합리적으로 설득할 수 있도록 하는 여지와 이유를 만들어 주는 사람.

▶ 킨들 노트 블로깅

  • e-book의 좋은점 중의 하나는 하이라이트 된 내용도 디지털 형태로 저장된다는 것. 따라서 나중에 검색하기도, 카피/페이스트를 통해 다른 채널에 공유하기도 쉽다. kindle.amazon.com 에 가서 로그인을 하면, 자신의 킨들 하이라이트 내용을 모두 볼수 있다. 물론  인터페이스는 너무 간단하고 (책별로 검색이 되지도 않고, 하이라이트가 된 최근 순서대로 그냥 보여줌) 개선의 여지가 많다.

  • 킨들 블로깅도 할만 하겠다.

▶ 구성원 한사람 한사람에게 편지쓰기

  • “우리 회사 구성원들은 지금 이시간, 내일 아침에 회사가기가 싫을까, 좋을까?”

▶ 프로덕트 매니저 (PM) 의 자질 – 1

  • 프로덕트 매니저는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사람

  • Product manager = 제품기획(시장동향,판로,가격포함) + Project Manager + 제품교육(세일즈,운영자 대상)

  • 정치를 잘 해야 한다

▶ 프로덕트 매니저 (PM) 의 자질 – 2

  • 방 안에서 가장 많이 알고있는 사람

  • 말과 글에 능해야 한다

  • 덕을 갖춘 사람

▶ 이메일 팁 몇개

  1. 블로그 쓰고싶은 사람은 메일로 쓰기

  2. 메일 하나 쓰는 정도로 가볍게

  3. 받은 편지함보다 보낸 편지함을

  4. 나는 종종 내가 보낸 메일에 star를 하고 하나의 starred item만 체크

  5. 절대 절대 상대방이 모든 메일을 읽을거라고 가정하지 말것

  6. 메일을 안 읽은 상태 (unread) 로 돌리지 말것

  7. 휴대폰으로 메일을 주욱 읽어 나가면서 필요한 것만 star를 해놓는다. 대신 모든 이메일을 읽은 상태로 해놓는 것을 좋아한다.

▶ 이메일 낭비 제거

  1. 어떤 메일을 보면 수신: 홍길동, 참조: 마케팅팀 이렇게 텍스트로 설명

  2. 두줄 이상의 인사말

  3. 5메가 이상의 첨부 파일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4. 종종 이메일 signature로 굉장히 긴 confidential statement를 모든 메일마다 끝에 달아서 보내는 경우 그거 붙인다고 해서 받는 사람이 confidentiality에 대해서 갑자기 신경 쓸것도 아니고 (오히려 메일의 일부로 여겨서 더 둔감해질 가능성이 큼)

  5. 굉장히 긴 링크를 그대로 삽입

  6. 수십통의 이메일을 몰아닥쳐서 한꺼번에 보내기

  7. 이메일은 “반사” 내지는 “튕겨내기” 게임이 아니고, 커뮤니케이션

  8. 아이폰의 경우 한글 auto correct가 너무 안좋아서 아이폰에서 한글로 이메일을 쓰는것만큼 정신적 스트레스가 없고, 게다가 운전중에 보이스로 이메일을 쓰는 일도 가끔 있다보니, 한국 분들께 이메일을 보낼때도 영어로”만” 보낼 때가 있다. 그러면서 가끔 “한글로 쓰지 못해서 죄송하다”라고 사족을 붙이게 되는데, 이것 또한 낭비

  9. 이메일 뒤에 붙이는 signature는 간략한 연락처 정도면 좋을것 같다. 심지어 Digg 창업자이자 현재 구글 벤처스에서 일하는 케빈 로즈의 경우 데스크탑 이메일에서도 “Sent from my iPad” 라는 시그너쳐를 일부러

  10. A 라는 사람에게 보낸 메일을 B 라는 사람에게 조금만 바꾸어서 보낼때 – HTML 에디터에서 작성한 글을 다른 HTML 에디터에 copy/paste 하면 온갖 이상한 포매팅이 섞여버린다

  11. 메모장에 파일을 텍스트 –  크롬 브라우저의 경우 ctrl + shift + v를 통해서 서식 없이 붙이기

▶ [실리콘밸리] 추천 비디오

  • 뉴스 사이트인 판도데일리에서, 한달에 한번씩 미국 인터넷 업계에서 유명한 사람들을 초청해서 Pandomonthly 라는 Fireside chat 형식의 대담(?)

  • 사람들 앞에서 한두시간을 쭉 이야기 하다보면 정말 그 사람이 누구인지가 드러날 수밖에 없음.  그런 면에서 실리콘밸리의 유명한 IT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흔치 않은 비디오 사이트인것 같다. 비디오는 이곳에서 볼수 있고

▶ 커리어와 최적화

  • 가족과 여유있는 삶 ?

  • 돈을 많이 ?

  • “배움”에 최적화 –  나는 이번에 스타트업을 하면서 “재미”와 “새로운 경험”에 커리어를 최적화하기로 했다

▶ 실리콘밸리 따라잡기 – 방법 하나

  • 실리콘밸리 바깥에서도 실리콘밸리에 사는 사람들보다 더 훤하게 이쪽동네 정보를 알수 있는 방법중 하나. Techcrunch 등의 뉴스 소스를 구독하는 것도 당연히 도움이 되겠지만, 또하나 좋은 방법은 실리콘밸리를 이끄는 VC들의 동향을 살피는 것. 이들이 어떤 회사에 투자를 하고, 앞으로 어떤 회사들에 투자할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트렌드 파악에 도움이 되는 듯하다. 개인적으로 요새는 더이상 Techcurnch 등의 피드는 전혀 못 보고, 인사이트있는 개인블로그만 팔로우 하면서 읽는데, 이중 상당수가 VC들의 블로그다

  • Andreesen Horowitz Sequoia Capital Greylock Partners Benchmark Capital Kleiner Perkins Accel Partners

Chang1 – Google Drive.

😐 트위터는 평소에는 만나기 힘든사람들을 만날수 있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WordPress.com vs Blogspot.com | #eWord.  물론 쓰기 나름이지만.

One thought on “.@chang1 Styl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