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기 위한 웹상의 공간은 블로그에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질문과 피드백을 주고받는 공간은 어디에 만들 수 있을까. 댓글을 통해 글마다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고, 트랙백을 통해 긴 글을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할수도 있다. ‘무라카미씨가 있는 곳’과 같이 별도 사이트를 만들거나 Ask.fm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수도 있다.
록 씨가 있는 곳
구글폼을 이용해서 접수를 받고 아래와 같이 같은 페이지에서 답변을 바로 보여 줄 수 있다. (질문을 걸러내기 위해서 별도 답변 페이지를 운영할 수도 있다)
‘무라카이씨가 있는 곳‘을 따라하려면 ‘이씨가 있는 곳’이 되어야 하겠지만 그건 너무 평이해 보여서. 😎
위와같이 질문의 장소와 답변의 장소를 같이 하는것은 어떤 행사나 학습을 위해 Q&A페이지를 이용하는데 응용할 수도 있다.
있는 곳
몸이 있는 곳과 정신이 있는 곳중 어느 곳이 있는 곳인지 궁금할때가 있다. 회사에 있지만 정신은 다른곳에 있을때는 일을 하는 것인가? 외부에 있거나 휴일이지만 회사일을 생각하고 있다면 쉬는 것인가 일하는 것인가?
집에 있지만 페이스북을 하고 있다면 집이라는 공간에 있는 것인가? 페이스북이라는 공간에 있는것인가? 웹은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물리적인 한계를 많은 부분 벗어나고 있다.
정신과 육신 어느쪽이든 내가 있는 곳은 ‘지금 여기’다.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어떤 것을 보고 있는가? 몸을 움직이고 그리 집중한다면 여기가 그곳이고, 내가 다른 것을 보고 있다면 그곳에 있는 것이다. 그런 ‘지금 여기’다.
씨가 있는 곳
“지금 이 일을 안하면 무슨 문제가 있지?” 라는 질문에 대해 “문제가 없다”가 나온다면 하지 않는 것이 맞고, 그렇게 지내왔다고 생각했으나 조금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꽤 상관없는 일들을 열심히 했다.
어떤 것들은 하다보니 가속도가 붙어서 더 쓸모없이 고 퀄리티를 추구하게 되기도 했다. 그래도 필요한 일들이었다. 씨앗이 묻혀서 자라나지 못했더라도.
내가 있을때 자라나면 감사한 것이고, 또 다른이가 같이 심으면 고마운것이다. 여러 곳에 씨앗은 심겨져 있고, 때에 맞게 물도 주고 영양도 주겠지만, 어떻게 자라나는지 즐겁게 지켜볼 뿐이다.
록
씨가 있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