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사이트의 경우 사이트당 100MB, 첨부파일 최대 크기는 20MB에 불과하다 1, Wikispace의 경우 500M의 용량을 제공2한다.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가.
예전에 사용해본 바로는 Wikispace는 다른 서비스와의 연동(Scribd, Delicious등)을 활용한다는 점이었다.3 추가된 모습으로는 교육에 특화되어 진도관리 및 과제관리를 하기 쉽게 되어있는 점이다.
구글사이트의 장점은 구글문서로 작성한 내용을 페이지에 붙이기 용이하고, 구글그룹스등 구글서비스와의 연동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안드로이드 폰의 보급으로 Gmail계정은 하나씩가지고 있어서, 새로운 인원참여시 별도 계정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용량상의 문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결해서 링크로 활용하면 되므로 결국 둘다 용량에 대한 제한은 없다.4 그리고 서비스를 선택할때는 항상 고려해야 할 점이 지금 보이는 모습이 그렇다고 생각해야한다. 서비스는 계속 개선, 발전될수 있기때문이다.
정보관리와 지식축적, 협업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모습은 팀, 개인별로 족적(블로그)을 남기고 그중 최신정보를 선별해서 현재(위키)에 남기는 방식이다. 몇년전 수업자료 + 최신자료는 블로그에 남고 위키에는 현안으로 하는 최신자료만 남게 된다. – if Blog+Wiki|eword 130604
- 교육용 구글앱스의 경우 도메인당 제공용량은 커지나 첨부파일 20M제한은 동일하다. ↩
- 에버노트와 위키를 활용한 수업자료정리 사례 http://yagatino.wikispaces.com by Seunghoon Park ↩
- 물론 구글 사이트에서 Script를 활용해도 된다. 진도관리 및 과제관리는 Google Groups와 연동해서 사용하면 된다. 만들고 잊고 있었던 위키스페이스. http://ehrok.wikispaces.com 그리고 구글사이트(Good Company Tutorial와 대화들) ↩
- Gmail 대용량파일 첨부할때 구글드라이브에 파일을 등재하고 그 링크를 보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링크를 Wiki에 등록하면 된다. (안내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