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라인 인터페이스 기반 History(이력) 만드는 방법
작성순서
- 구글스프레드 시트 양식(하단 이미지 참조)에 Data를 입력한다.
- Data가 입력된 구글 문서를 Publishing 한다.
- 발행된 문서의 링크를 Timeline JS 웹사이트(http://timeline.knightlab.com)에 있는 Box에 입력하면 Html로 입력할 수 있는 iframe Code가 생성된다.
- 설명이 부족하다면 : 재미있게 살자 :: Timeline 참쉬운 사용법~.

참고사항
- Start Date, Headline 은 필수입력 그외 나머지 열 입력은 옵션
- Media로 Link 가능한 서비스들 : youtube, vimeo, soundcloud, dailymotion, instagram, twit pic, twitter status, google plus status, wikipedia, or an image
- Thumnail 은 32px 이하
- Type: era 는 중분류등으로 구분할때 사용(Headline 밖에 안나옴)
- Tag는 6개까지만 인식가능

부가설명
- Text : 내용의 역할을 합니다. (옵션)
- Media : 이미지,동영상,지도의 주소를 넣어줍니다. (옵션)
- Media Credit : 미디어 출처를 적어줍니다. (옵션)
- Media Caption : 미디어에 설명글을 적어주는 칸입니다. (옵션)
- Media Thumbnail : 32px x 32px 보닥 작은 이미지를 업로드 (옵션)
- Type : 어떤 슬라이드가 타이틀이 될 지 정합니다. title라고 적어주세요 (옵션)
- Tag : 카테고리 역할을 하고 6개 까지 분류를 할 수 있고 그 이상은 안나온데요. (옵션)
- via 나도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만들수 있다. | CO-UP/Share.
😐 ifttt 와 같이 사용하면 상당히 다양하게 응용될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