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Searching Well

앞으로 살아가면서 가장 필요한 기술은 무엇일가?

검색기술은 어학능력과 독해력에 비례한다. 정보필터링은 가치관과 지식의 양에 의존한다. 통합적 사고는 상상력과 창의성이 이끌어낸다. 그렇게 나온 출력이 진실인지 알려면 피드백이 필요하고, 피드백을 받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개방적 자세가 필요하다. – @Mahabanya

어휘력. 검색능력의 밑바탕이다. 청해 / 독해 능력을 가져야 남의 말이나 글을 이해 할 수 있고 속독, 발췌, 요약, 연관관계파악이 가능하다. 청해 / 독해 능력 모두 기억을 바탕으로 한다. 이해하는게 중요하지 않다. 외워야 한다. 고등학교때 수학을 잘하던 친구들을 봐도( 😐 ) 처음부터 이해하지 않는다. 우선 외우고 이해한다.

필터링.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정보 차단능력이 필요하다. 불필요한 정보를 채우는게 아니라 가치있는 것을 채워야 한다. “모든 것을 기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세요? 안하면 됩니다. 불필요한 것을 안하는거에요.” 박사님도 말씀하셨다.

기억량. 배경지식이 충분히 쌓이면 사람은 정보를 적당히 걸러내어 필요한 부분에 집중한다. 독해력이 생기게 되는 단계다. 속독, 통독, 발췌독이 되며 가치있고 없음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다.필요한 정보를 찾는 경험이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정보를통합, 정리, 요약하고 단순화하는 능력이 생긴다. 단순화라는 어감은 Simplify로 대체하면 조금 나아지는데 정확한 의미는 개념화라는 단어를 써도 적당하다. Top 레벨로 개념화, 범주화 하는 것이다. 이런 능력이 정보검색을 더 자연스럽고 빠르고 정확하게 만들어주고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 어느정도 수준에 이르러서 통찰을 하게된다. 복잡하고 연관없는 정보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게 된다. (물론 남에게 설명하는 건 다른 문제다. 매트릭스의 네오가 생각나는 순간이다.)

피드백. 인터넷 정보가 난무한다. 정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믿을만한 정보가 중요하다. 내 행동에 대한 피드백도 중요하다. 어휘력, 필터링, 기억, 피드백의 중심에 검색이 있다.

검색의 단계

  1. 구글에 검색어를 몇개 넣어본다. 힌트를 얻는다.
  2. 불필요한 검색결과를 (-) 한다, 원하는 키워드가 제목에 있는 페이지를 찾거나(alltitle:keyword), 특정 파일의 내용을 검색하거나(filetype:확장자), 신뢰있는 사이트(site:domain)를 찾아본다.
  3. 영어, 일본어도 찾아보고, 검색엔진을 바꾸고, 기간을 정하고, 와일드 카드도 사용한다.
  4. 얻어낸 정보의 일부를 다시 검색해서 교차검증하고, 전문화된 검색엔진(논문이나 특허는 구글 스콜라)을 사용한다(논문시는 -patent 로 특허 검색을 제외한다), 이름 있는 저널, 학회/심포지엄의 논문, 저자/출판사로 검색결과를 가다듬는다.

많은 정보를 읽고 판단해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시키고, 기존의 지식과 비교/대조하고, 새롭게 얻은 지식을 기존의 지식과 융합시키고 정리하고 표현한다. 좋은 검색결과를 위해서는 검색엔진에 대한 이해, 웹에 대한 이해, 검색 전략의 학습, 경험 누적이 필요하다. 원하는 정보를 찾게 되더라도 오류가 없는 정보인지, 믿을만한 정보인지 확인까지 해야한다.

미래의 창의적인 리더란 검색결과에서 통찰을 얻는 사람이 될것이다. 체화된 검색력을 바탕으로 흩어진 정보의 함의를 파악하여 의식 / 무의식적인 돈오에 오른 사람을 뜻한다. “호기심”이 있고 “호기심을 해결할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기억량이 많아야 다른 관점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관점의 연결이 창의성이고

😐 이 글은 Mahabanya 님 블로그 에 있던 글을 각색했습니다. 글을 쓰는데 있어서 전체 틀을 잡는것과 표현을 가다듬는 것이 있습니다. 숲과 나무일진데. 웹에 구글링하는 법은 나무에 대한 이야기만 있어서 숲을 가져와 보았습니다.

진정 변화하는 곳에서는 돈오 이후에 점수를 계속합니다. 바로 통합과 수련(Integration/Practice)의 단계입니다. 자기가 얻은 깨달음을 실제로 실천해 보고 부족한 부분은 더 다듬고 또 가끔씩 실수하면 뭐가 부족한지 연구하고 다시 보충하고 등 점수가 이어져야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새로운 안정적 상태(New status quo)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정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또 다른 외부 요인이 들어오고, 혼란을 겪고, 돈오를 하고, 또 점수를 해야 합니다. via 애자일 이야기 : 頓悟漸修.

마음은 본래 깨끗하여 번뇌가 없고, 부처와 조금도 다르지 않으므로 돈오라고 말한다. 이 돈오를 기반으로 점차로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차로 훈화(薰化)되기 때문에 점수(漸修)라고 했다. 마치 얼음이 물인 줄 알았다 하더라도 곧 그것이 얼음이 물로 변한 것은 아니며 열기가 가해져야 비로소 얼음이 물이 되는 것과 같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미(迷)로부터 깨치는 것은 돈오요, 점점 성화(聖化)되는 것은 점수라 할 수 있다. via 한국의 불교 사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이렇게 사진을 검색하는 방법도 있더라

2 thoughts on “On #Searching Well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