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저자가 되려면 현재 있는 직장에서 한 가지를 잘 잡아서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3 IN, 3 OUT이 있어야 한다. 세가지 인풋은 전문성, 학위, 자신만의 지식 소스를 말한다. 회사원이 그나마 있는 전문성은 소속회사의 계급장을 달고 확보된 것이다. 학위는 한국 사회에서 필요하다. 나만의 지식소스는 웹사이트일 수도 있고, 정기간행물일 수도 있고… 그 분야의 최신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3 아웃풋은 책이라는 원천 콘텐츠를 기반으로 강연, 기고, 출연을 하란 얘기다. via 언론에 대해 몇번 글을 쓰련다…..

😐 좋은 조언을 담벼락에만 걸어놓기 아쉬워 담벼락 세개를 연결해 방을 만들어 봤습니다. 원문에는 더 재미있는 표현이 가득하니 참고하시길.

‘나’로 시작되는 문장을 많이 써볼 것을 권하고 싶다. 자신을 타자화하여 쓰는 습관은 출판에서는 맞지 않다. 독자는 자신에게 말걸어주는 저자를 좋아한다. 나로 시작되는 가장 쉬운 글, 일기를 쓰도록 권하기도 한다.

콘텐츠에 돈을 내는 사람은 소중하다. 나로 시작하는 문장의 세계는 타자화된 전달자, 분석가, 전망자가 쓰는 글과 전혀 다르다. 책의 내용과 제목으로 독자를 끌어오려면 귀한 돈과 시간을 들여 투자하는 독자 개인를 걱정하고 그들에게 봉사하고 어루만지라. 이건 자기계발서 뿐만이 아니라 증권투자, 부동산투자같은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정보와 관점과 지식과 지혜를 주는 책도 마찬가지다.

충분히 내공을 가지고 출판의 세계로 들어오라. 첫 책을 내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계속해서 쓸 준비를 하고 이 세계에 뛰어들어야 한다. 기자 출신 베셀 저자는 대개 시의성 있는 책을 강력한 마케팅을 업고 히트시키는 경우가 많다. 내공과 개인에게 말걸기를 닦고 들어오면 평생 잘 쓸 수 있다. via 저자가 되고자 하는 기자들에게….

😐 블로그를 시작하시랍니다.

저자의 일생은 나비와 같더라… 1단계는 애벌레다. 어떤 것을 공부하거나, 경험하거나, 가슴 속에 불을 지피며 산다. 가슴 속의 불은 김수현님처럼 박완서님처럼, 저자나 작가와 동떨어진 삶을 살면서 이야기거리를 많이 쌓아놓고 있는 분이다. 1단계의 후반기쯤 대중을 대상으로 글쓰는 법을 익힌다. 내공을 대중에게 보여줄 셀프 통역기능을 익히는 것이다. 이 셀프 통역기능이 없어 수많은 사람이 중도에 자기독백으로 좌절한다.

능력있는 애벌레들은 이 기능을 익힌 뒤 어느 날 책을 통해 대중과 만난다. 그래서 나비가 된다. 대략 애벌레 시절이 10-15년이면 나비는 10-20년을 산다. 문제는 나비가 조로하기 쉽고, 그 삶의 강도가 여간 아니라는 것이다. 우선 10년은 풀어먹을 콘텐츠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바닥난 듯 싶으면 출판사와 언론과 평단이 버린다. 여기서 사람 사는 사회의 특징이 하나 더 있다. 많이 들어보지 못한 언론매체, 학회, 기관, 기업, 정부기관의 칼럼 청탁, 인터뷰 요청, 강연요청이 살도한다. 거기다가 아무개 문화부장의 아버지 상가도 가야 하고, 동업 타사의 아무개씨, 무슨 기관의 행사에도 가야 한다. 안 가도 경찰차 출동하지 않지만 인간성은 감점이다.

빗사이를 피해가듯 처세와 작품 사이를 오가다 어느날 머리가 탁 막히면, 3단계로 넘어간다. 이른바 이름으로 먹고 사는 단계다. 세상 뭐 다 그렇다. 저자나 작가도 공중파 안되면 케이블 가고, 케이블에서 미사리로, 미사리에서 다시 지방 도시 무대로 다니는 가수와 다를 바 없다. 인생은 그런 것이다. 그러니 1단계를 충실히 하여 2단계를 늘리고 3단계는 눈치 봐가며 최소화하는 것이 지혜겠다. via 저자의 일생은 나비와 같다…..

😐 애벌레를 잡으러 다니신답니다.

Writer 와 Author 둘중에 어떤것을 제목으로 할까 잠시 생각했습니다.

😐 Arthur 왕이 생각났습니다.

p.s 삶이 책이다. 오늘 선배와 저녁을…. “삶은 책이다” 가 생각났습니다. 계란도 아닌데 말이지요. 😐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