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ve Biases

인간은 입력 정보처리의 부담을 줄이고 상황을 예측하기 위하여

  1. 자극에 의미를 부여하며(effort after meaning)(Bartlett의 표현) 범주화
  2. 자극에 대한 해석을 구성(Bartlett이론)
  3. 자극 대상(현상)에 대하여 자기나름대로 직관적으로 편향적(Kahneman 이론) 내러티브(Bruner 이론)를 구성하며 사는 존재입니다.

인간은 논리적 합리성의 이성적 원리에 의해 판단하고 행동하는 그러한 존재가 아니라 , 자신의 삶 속에서 이루어진 자신만의 [내러티브] 틀에 서있고, 누구나의 마음 작동 메커니즘에서 뿌리깊이 이미 심어져 영향을 주는 117개나 되는 인류 보편적 편향(Cognitive Biases)의 작동에 어쩔 수 없이 (의식하건 안하건 간에) 좌우되는 “가여운”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인들은 대중의 우매함에 대하여 날선 비판을 할 것이 아니라, 다수의 한국인이  보편적 인간 특성에서 예외일 수 없음을, 과거에 보다 일찍, 거듭 말하지 못한 자신들의 [무거운 책임]에 대해서 날선 자아비판을 하여야 합니다.

출처: 대선 관련 글에 대한 사후의 덧칠(이정모 교수님  블로그)

[교수님 추천도서]

  1. Kahneman, D., Slovic, P., & Tversky, A. (1982).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번역본 ;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판단]. (아카넷, 2006; 대우학술총서)
  2. Kahneman의 2011년 책 [생각에 관한 생각] (김영사) – 원저명: [Thinking, Fast and Slow]

[인지] 에 대하여 공부하기 절차 안내 : 네이버 블로그. 130421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