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었던 것들

내가 말하면 컴퓨터가 받아쓰기것. 받아쓰여지는 것을 보면서 타이핑으로 글 가감하는 정도로 글을 쓰고 싶었다. 피터드러커는 글을 쓸때 쇼파에 앉아 구술하면 타이피스트가 그 내용을 받아적었다. 피터드러커는 그 내용을 보고나서 다시 처음부터 내용을 구술했다. 그렇게 몇번을 반복하다가 가장 마지막에 한 내용을 책으로 만들었다. 타이피스트를 고용하기는 그렇고 컴퓨터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두번째는 전체 Map을 만들면서 큰 그림을 구상하고, 그 그림을 책 정도의 분량과 형식에 맞게 컨텐츠화 하는 것. 작은 내용들을 모아서 큰 줄기를 만들 수도 있고, 큰 그림을 만든후 Detail을 붙일 수 있다. 두가지 다 장단점이 있고 둘다 필요하다. MAP과 책구성이 서로 오가면서 내용을 보완하는 것도 필요했다.

세번째, 때론 그냥 글쓰기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 MAP-책구성의 경우는 큰 프로젝트로 장편소설같고, 그 과정에서 수필이나 단편소설도 필요하다. 그런 글쓰기의 환경은 구분하는게 나았다.

그리고 읽는 것. 눈으로 읽다가 필요할땐 그 다음부터 읽어주는 것. 시각과 청각의 이어 읽기를 하고 싶었다. 컴퓨터 받아적기가 촉각-음성을 활용한 출력이라면, 이건 시각-청각을 활용한 입력이다. 오감을 활용한 입출력이라고 할까. 고정된 자세로 읽고 쓰는 건 건강에도 좋지않다. 걷고 움직이면서 읽고 쓰기를 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명함을 입력하고 클라우드 주소록과 연결하는 것. 정리하는 것도 일인데 한번에 되면 좋겠다 싶었다.

img_1150

데이터를 숫자만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비주얼라이제이션 하는 것. 눈으로 함께 볼 수 있게. Data 갯수가 적은 경우 로 모든것을 표현할 수는 없지만 근거있는 일처리를 위해서는 필요하다. 엑셀정도로 단순한 분석을 하는 것보다는 좀더 효과적으로 멋지게 함께 하고 싶었다.

기존 지식자산을 한군데로 모으는 것. 개인에게 남아있는 내용들이 일부는 형식지로 보여지지만 흩어져있고, 전체를 파악하고 있는 사람도 없다. 한곳에 모아야 시작이 된다.

그런데 그것들이 전부 이루어졌다.

되고 보니 할 수 있는게 꽤 많아졌다.

알고리즘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어렴풋이 보인다.

많은 것을 하기 보다는 하나씩. 제대로.

그동안의 경험과 지식자산들을 재료삼아 맛있는 요리를 만들고 싶어 했는데, 재료 및 도구가 다 갖춰져 뿌듯한 느낌이랄까.

p.s 글을 말로 구성할 때와 타이핑으로 구성할때 나오는 내용과 단어가 다르다. 사용하는 뇌의 부위가 달라서 그런것 같은데 계속 연습하니 조금씩 나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