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환경에 몸까지 적응되는데는 한달정도는 필요한것 같다. 두달이 지난 지금이지만 아직도 조정이 필요한 일들이 많이 있다. 일이 많아서 쌓여가는 상황도 있고, 전반적인 프로세스 문제로 번복되며 일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둘 다 결론적으로 시간이라는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
10년 전만 하더라도 더 열심히 하면 가치를 더 만들수 있었고 그게 맞다고 생각했었다. 지금은 시간뿐 아니라 에너지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냥 열심히만 하면 그 다음의 스텝들이 꼬여버린다. 내가 보내는 일상의 시간이 내 일상을 조각하면서 양각의 조형물을 만들던 시기가 10년전이었다면, 불필요한 부분만 쳐내면서 음각의 판화를 만들어내는게 지금 선택할수 있는 모습이다. 양각의 시대에서 음각의 시기로.
시간도 에너지도 한정된 상황에서 할 수 있는건 필요한것, 좋은것만 남기는 것이다. 반복할 가치가 있는것만 남겨 반복하는 것이 삶의 가치를 만들어낸다. 음식,물건,장소 심지어는 사람까지도. 평소에 생각이다.
서점에서 눈에 띄던 – 하지만 알고 있는 내용일듯하여 사서 읽지는 않았던 – 책 ‘신경끄기의 기술’을 보니 역시나 지금 필요한 내용들이었다. 미루어 두었던 일들을 하나둘 끄기 시작했다.
- 행복에는 투쟁이 따른다. 내가 결과를 원하되 그 과정을 원치 않는다면 그것을 정말 원하지 않는것이다. 투쟁이 성공을 결정한다.
13.고통은 우리를 강하게한다. 공포.불안.슬픔은 해롭기만한것이 아니라 성장의 필수이다.- 거절을 수용함으로써 자유가 생긴다. 무엇에 가치를 두려면 그 외의 것은 거부해야한다. 무엇을 거부하는가가 우리를 규정한다.
15.모든것을 조화롭게 만들려는것, 갈등을 피하려는것은 허세이다. 기꺼이 거절하며 거절받는다.
17.선택지가 적을 수록 행복하다.
우선 스마트폰 끄기. 안 그래도 스마트폰이 좀 버벅거려서 리셋을 했다. 리셋을 해도 아이클라우드만 다시 로그인 하면 되살아나는데 수동으로 하나씩 앱을 선택해서 새롭게 시작했다. 불편해서 이렇게 하면 중요한 것들이 보인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모든 알람은 끄기 상태를 유지한다.
메신저 끄기. 업무상 사용이 필요해서 카톡을 쓰고 있었는데 리셋하면서 다시 설치하진 않았다.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예정이다. 알람 또한 꺼져있으니 이메일이 가장 빠른 수단일지도.
술 끄기. 한때 4년정도 술을 아예 안마셨던 적이 있었다. 언젠가 다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날이 다가온듯. 12월 중순이 되면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일들도 마쳐진다. 지금 있는 약속들만 마무리하는것으로.
어떤 일들은 다시 켜지기도 하겠지만 잊지 않고 꾸준하면 습성으로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