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했던대로 여유가 생기면 글을 쓰리라 생각해도 정작 여유가 생기면 아이디어가 숨어버린다. 단어나 맥락만 있어도 나중에 소재를 끌어내기 쉽다. 바쁠때 일수록 더 남겨야 한다. (공개든 비공개든)
— 이형록 (@ehrok) May 19, 2013
알게 되면서 생기는 모르는 것이 있다. ‘뭘모르는지 모르게 되는’ 지식의 저주
— 이형록 (@ehrok) May 19, 2013
2008년에서 2013년을 지나면서 있었던 주요 일들을 정리해보고 있는데 생각만해도 식은땀이 난다. 참 힘들게도 살았구나. 앞으로의 시간도 그러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을 것 같다.
— 이형록 (@ehrok) May 19, 2013
나는 내가 가진 방향이 ‘지식기반’조직을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 조직은 기업, 팀, 사회적기업에 해당되고 모든 학습조직에 적용이 가능하다. (기실 학습하지 않는 지속가능한 조직이 있을수는 있나)
— 이형록 (@ehrok) May 19, 2013
하나둘 사례를 만들어가면서 느끼게 되는건 이성기반의 방법론이 아닌 감성기반의 팀웍이 더 중요하다는 점. 그리고 정보를 유기적으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태도가 중요하다는 점. (여기서 리더는 정보피라미드의 정점에 있는 사람이다)
— 이형록 (@ehrok) May 19, 2013
최근 몇년간 주위에 사건 사고가 많았다. 직접이던 간접이던. 언제부터인가 ‘죽음’이란 나와 전혀 별개의 것이 아니었다. 언제부터인가 블로그를 세상에 대한 유언장처럼 작성하게 되었다. 아직 부족하지만 계속 쓸 것이다. 남는건 글밖에 없었다.
— 이형록 (@ehrok) May 19, 2013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