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를 쓰는 습관은 업무할때 전화만 붙잡고 있는게 답답해서 통화하면서 노트에 낙서를 끄적였다. 쓰다보니 의미를 느끼게 되어 자연스럽게 몸에 배었다. 노트를 한권 두권 써가면서 쌓이는 재미도가질 수 있었다. 시간도 절약되고 논란도 잠재울 수 있는 습관이었다. 한번 짐을 정리하면서 노트를 버릴뻔 했는데 그때 버리지 않았던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종종 후배들에게 조언해줄 때가 있다. 기술자라면 지난 시간동안 네가 배운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을때가 있다는 것을. 지식노동자라 함은 결국 본인에게 쌓여있는 노트의 갯수라고.
via Memo Note History(메모/노트 사용법별 장단점) Aug 19, 2010
수첩은 처음에 메모력이라는 책을 접하게 되면서 습관을 들이게 되었다. 업무에서 활용하는 노트와 수첩은 또 다른 효용이 있었다. 일반 수첩을 쓰다가 몰스킨 수첩을 만나면서 스타일이 한번 달라졌었고, 박박사님의 수첩사용법을 접하게 되면서 양지수첩으로 바뀌어졌다. 지금은 양지수첩과 양지노트를 사용한다. 경제적인 가격의 도구를 선택하는 것도 후배들을 위해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몰스킨의 질이 나빠진 점과 양지사의 품질이 괜찮은 점도 있다. (2014년 양지 Weekly 수첩은 좀 이상해졌지만)
지금은 상황에 따라서 적용을 하는데 수첩, 노트, A4, A3, 블로그를 필요에 따라 조합해서 사용한다. 그 상황이라는 것은 강연을 들을때, 익힐때, 형식지로 만들때와 공유할 때 정도로 나뉘겠다. 혼자만 익히려면 수첩에 요점적고 계속 반복해서 익히면 되겠지만, 나는 상호 지식의 정도를 Sync하는 것이 (배경지식의 정도를 맞추는 것이) 커뮤니테이션의 기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팀간 공동학습을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부분 이렇게 느끼지만.
도움이 될 글을 메일 발송했더니 돌아온 답장은 하나. 내 이야기가 너무 심플했거나. 그들에겐 별 이야기 아니거나. 그들에겐 먼나라 이야기. – 나에겐 소통 다른 사람들에겐 고통? Aug 10,2014
노트와 블로그
수첩을 정리하고 보니 예전 기록들이 궁금해서 찾아봤다. 노트나 수첩을 다 사용하고난 후에 그 사진을 남겨놓는 방식이었다.
2011년을 마무리 했을때 나온 노트와 수첩들이다. 블로그 글과 구글문서에 있는 글까지 포함한다면 몇권분량이 될까. 2012년이 1분기 남았다. 2011년의 수첩들과 2012년의 오늘 Feb 26, 2012
Tip) 노트의 목차를 디지탈 문서(드롭박스에 txt 파일, 구글문서, 에버노트등)로 작성해 놓으면 나중에 찾기 편하다. 목차는 출력해서 노트 앞에 붙여놓는다.
2012년 12월 20일을 마무리하는 수첩이 되었네요. Jotter 121220
수첩을 주로 쓰던 2013년이었다. 업무상 이동이 잦은 경우는 수첩을 메인으로 하고, 책상근무가 많은 경우는 노트를 기본으로 하는게 좋다. 종이의 크기가 생각을 펼쳐놓을 수 있는 크기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넓을 수록 좋다.
“멍청하게 살자”라는 문구를 책상에 붙여놓은 지인이 있었단다. 왜 이런 문구를 붙여놨어요? 물었더니, “때론 그게 편해” 😐 조금은 바보처럼 보낸 4월 April | 2013 | #eword April Fool
2014년은 Takashi선생님을 알게되면서 기호와 색상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2013년은 매월 1권의 수첩을 사용했었는데 올해는 한권에 많이 집약하는 방법을 적용해보고 있다.
일이라는 건 때에 따라 부침이 있을 수 있지만, 매일매일의 노력이 쌓이지 않는다면 어느 순간의 성취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루기적이 쌓이지 않는다면 계단을 오를 수 없다. 하루기적
![]()
Social 을 통한 기록
페이스북도 기록을 남기기에 좋다. 하지만 그 공간에만 갇혀 있는 느낌이 있어서 블로그에 이렇게 꺼내놓았다. 불요한 것을 삭제하고 정리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없앨 수록 가치 있는 것만 남는다.
담벼락을 뒤돌아 보았다. 나는 그동안 어떤 글을 써왔었나. 어떤 일이 있었나. 바쁜 생활에 간간히 친구,지인들과 농담할수 있는 공간이었고, 같은 생각을 나눌수 있는 공간이었다. 3년전의 기록들
채우고 비우기, 블로그
가치 있는 글들만 남기고 반복하는 것. 익히기 위해 돌아 볼 수 있을때 메모는 의미가 있다. 습관을 위해 양을 늘리고 양을 늘리다보면 질이 바뀐다. 하지만 다시 돌아보고 익히는 것이 근본 목적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양을 늘리고 수준을 높인 다음에는 그것들이 없어도 상관없는 수준이 된다. 시작하기 위해서 방법을 규정하는 것이지 얽매이면 안된다. 비울수 있을때 내것이 된다.
블로그도 여러번의 변화를 거쳤는데 옮기는 것보다, 요약하고 링크하는 것이 더 의미있었다. 처음 시작하던 모습을 오랫만에 돌아보았다. 티스토리에서 블로깅을 하던 흔적 연결 관련글 History of blogs R120805 Tistory 20100804 – 20110914
세상 많은 일들이 경험해봐야 제대로 알수 있게 되는데 블로깅이야 말로 직접 해봐야 안다. 요약하고 의견을 붙이는 글쓰기로 시작하기를 권장한다. 나중의 나를 위해서 지금의 나를 남겨놓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민망할 때가 많지만 그 남김은 시간이 지날 수록 의미가 깊어진다 하겠다. 해보면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