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수첩 그리고 블로그

노트를 쓰는 습관은 업무할때 전화만 붙잡고 있는게 답답해서 통화하면서 노트에 낙서를 끄적였다. 쓰다보니 의미를 느끼게 되어 자연스럽게 몸에 배었다. 노트를 한권 두권 써가면서 쌓이는 재미도가질 수 있었다. 시간도 절약되고 논란도 잠재울 수 있는 습관이었다. 한번 짐을 정리하면서 노트를 버릴뻔 했는데 그때 버리지 않았던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종종 후배들에게 조언해줄 때가 있다. 기술자라면 지난 시간동안 네가 배운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을때가 있다는 것을. 지식노동자라 함은 결국 본인에게 쌓여있는 노트의 갯수라고.

img
via Memo Note History(메모/노트 사용법별 장단점) Aug 19, 2010

수첩은 처음에 메모력이라는 책을 접하게 되면서 습관을 들이게 되었다. 업무에서 활용하는 노트와 수첩은 또 다른 효용이 있었다. 일반 수첩을 쓰다가 몰스킨 수첩을 만나면서 스타일이 한번 달라졌었고, 박박사님의 수첩사용법을 접하게 되면서 양지수첩으로 바뀌어졌다. 지금은 양지수첩과 양지노트를 사용한다. 경제적인 가격의 도구를 선택하는 것도 후배들을 위해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몰스킨의 질이 나빠진 점과 양지사의 품질이 괜찮은 점도 있다. (2014년 양지 Weekly 수첩은 좀 이상해졌지만)

20140629-165520-60920043.jpg

지금은 상황에 따라서 적용을 하는데 수첩, 노트, A4, A3, 블로그를 필요에 따라 조합해서 사용한다. 그 상황이라는 것은 강연을 들을때, 익힐때, 형식지로 만들때와 공유할 때 정도로 나뉘겠다. 혼자만 익히려면 수첩에 요점적고 계속 반복해서 익히면 되겠지만, 나는 상호 지식의 정도를 Sync하는 것이 (배경지식의 정도를 맞추는 것이) 커뮤니테이션의 기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팀간 공동학습을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부분 이렇게 느끼지만.

도움이 될 글을 메일 발송했더니 돌아온 답장은 하나. 내 이야기가 너무 심플했거나. 그들에겐 별 이야기 아니거나. 그들에겐 먼나라 이야기. – 나에겐 소통 다른 사람들에겐 고통? Aug 10,2014

노트와 블로그

수첩을 정리하고 보니 예전 기록들이 궁금해서 찾아봤다. 노트나 수첩을 다 사용하고난 후에 그 사진을 남겨놓는 방식이었다.

2011년을 마무리 했을때 나온 노트와 수첩들이다. 블로그 글과 구글문서에 있는 글까지 포함한다면 몇권분량이 될까. 2012년이 1분기 남았다. 2011년의 수첩들과 2012년의 오늘 Feb 26, 2012

2011 log

A photo posted by E (@ehrok) on

Tip) 노트의 목차를 디지탈 문서(드롭박스에 txt 파일, 구글문서, 에버노트등)로 작성해 놓으면 나중에 찾기 편하다. 목차는 출력해서 노트 앞에 붙여놓는다.

2012년 12월 20일을 마무리하는 수첩이 되었네요. Jotter 121220

2012.12.20

A photo posted by E (@ehrok) on

수첩을 주로 쓰던 2013년이었다. 업무상 이동이 잦은 경우는 수첩을 메인으로 하고, 책상근무가 많은 경우는 노트를 기본으로 하는게 좋다. 종이의 크기가 생각을 펼쳐놓을 수 있는 크기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넓을 수록 좋다.

“멍청하게 살자”라는 문구를 책상에 붙여놓은 지인이 있었단다. 왜 이런 문구를 붙여놨어요? 물었더니, “때론 그게 편해” 😐 조금은 바보처럼 보낸 4월 April | 2013 | #eword April Fool

2014년은 Takashi선생님을 알게되면서 기호와 색상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2013년은 매월 1권의 수첩을 사용했었는데 올해는 한권에 많이 집약하는 방법을 적용해보고 있다.

일이라는 건 때에 따라 부침이 있을 수 있지만, 매일매일의 노력이 쌓이지 않는다면 어느 순간의 성취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루기적이 쌓이지 않는다면 계단을 오를 수 없다. 하루기적
img

Social 을 통한 기록

페이스북도 기록을 남기기에 좋다. 하지만 그 공간에만 갇혀 있는 느낌이 있어서 블로그에 이렇게 꺼내놓았다. 불요한 것을 삭제하고 정리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없앨 수록 가치 있는 것만 남는다.

담벼락을 뒤돌아 보았다. 나는 그동안 어떤 글을 써왔었나. 어떤 일이 있었나.  바쁜 생활에 간간히 친구,지인들과 농담할수 있는 공간이었고, 같은 생각을 나눌수 있는 공간이었다. 3년전의 기록들

채우고 비우기, 블로그

가치 있는 글들만 남기고 반복하는 것. 익히기 위해 돌아 볼 수 있을때 메모는 의미가 있다. 습관을 위해 양을 늘리고 양을 늘리다보면 질이 바뀐다. 하지만 다시 돌아보고 익히는 것이 근본 목적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양을 늘리고 수준을 높인 다음에는 그것들이 없어도 상관없는 수준이 된다. 시작하기 위해서 방법을 규정하는 것이지 얽매이면 안된다. 비울수 있을때 내것이 된다.

블로그도 여러번의 변화를 거쳤는데 옮기는 것보다, 요약하고 링크하는 것이 더 의미있었다. 처음 시작하던 모습을 오랫만에 돌아보았다. 티스토리에서 블로깅을 하던 흔적 연결 관련글 History of blogs R120805 Tistory 20100804 – 20110914

세상 많은 일들이 경험해봐야 제대로 알수 있게 되는데 블로깅이야 말로 직접 해봐야 안다. 요약하고 의견을 붙이는 글쓰기로 시작하기를 권장한다. 나중의 나를 위해서 지금의 나를 남겨놓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민망할 때가 많지만 그 남김은 시간이 지날 수록 의미가 깊어진다 하겠다. 해보면 안다.

하루기적

일이라는 건 때에 따라 부침이 있을 수 있지만, 매일매일의 노력이 쌓이지 않는다면 어느 순간의 성취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루기적이 쌓이지 않는다면 계단을 오를 수 없다.

시간은 관리될 수 없지만 시간을 바라보는 태도에 따라 같은 시간에 할수 있는 일의 양은 달라진다. 그 양보다는 가치가 더 중요하긴 하지만 그 또한 실수와 실패를 거듭하면서 나아질 수 있다. 이론보다는 실천이 중요한 일들중 하나다.

이론에 대해서는 앨런라킨의 책이면 된다. 그냥 그런 책이겠거니 스쳐지나갈 수도 있지만 그 내용이면 충분하다. 스스로에게 3가지 질문을 통해 Goals을 설정하고 Activities를 잡고 가능한 Schedule을 만들고 계속 조정해나가는 과정이다. A Goals라는 중요한 일은 정작 하기어려운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실패하기 쉽다. 실패를 아쉬워하기 보다는 작은 성취를 즐기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책의 내용은 내 나름대로 정리를 했었는데 가장 중요한 문장은 다음과 같다.

What is the best use of my time right now? 첫번째 나오는 답이 답이다.

하긴 모두들 다 알긴 안다. 실천하기가 어렵지.

일과의 마무리

어떤 일을 하겠다는 계획보다는 마무리를 제대로 하는 것부터 시작하는게 좋다. 측정되거나 기록되지 않은 행동들에 대해서 우리는 자신에 대해 너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기록하고 스스로를 되돌아 보는데에서 시작하는게 낫기때문이다.

또한, 완성도는 그 마무리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하루의 마무리를 먼저 계획하는 것이 시간 계획에 대한 실패를 예방할 수 있다.

(Goals는 설정되어있다고 가정하고) 결국 Activities 와 Schedule을 조정하는 문제다. 캘린더와 Todolists에 대한 마무리다.

20140324-135707.jpg

Calendar

만남은 캘린더에 기록을 한다. 단편의 기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떤 내용으로 이야기했는지 다시 꺼내볼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글 캘린더에서 기본 템플릿을 15분으로 해놓고 시작시간만 제대로 기록한다면 2주간, 3주간 view에서 그 목록이 충분히 잘 보인다.

캘린더는 업무용을 기본으로 하고, 개인용을 같이해서 2개정도를 운영하는게 적당하다. 업무용, 개인용 2개를 기본으로 하고, 팀 캘린더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탁상 캘린더는 다니는 모든 이가 볼수 있기 때문에 그 보안에 문제가 있으므로, 적당한 주제로 상시볼 내용, 같이보아도 문제 없는 내용(주요 팀 프로젝트 관리정도)을 해놓는게 좋다. 온라인 캘린더와 실물 달력은 그 자체로도 차이가 있긴 하기 때문이다.

Todolists

팀 공통과제

팀이 같이 해야 할 Task 목록은 구글문서로 관리하면 좋다. 정형화 되어있는 진행현안 및 Projects는 Table에서, 일자별 세부 할일은 Documents 에서 관리하고 음영이나 기호, 취소선으로 진도를 체크할 수 있다.

초기 세팅시 PDF로 변환해서 계획으로 확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계획은 계획이고 그에 대비 할 수 있어야지 두개를 같이 놓으면 혼동되기 쉽다. 두가지가 가능하다.

  1. 계획대비 실적
  2. 계획, 현황의 구분 (계획에 주기적으로 현황의 추이를 기록한다)

1번이 좋을 것 같지만 사실 2번이 더 낫다.

개인과제

사실 할일 목록은 관리안할 수 있으면 가장 좋다. 일이 파편화되기 쉽기때문인데 그 또한 습관이 되기 전에는 목록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여러가지 GTD를 돕는 도구들이 있지만 단순한게 좋다. 구글 Tasks 나 iOS Reminder 를 쓰면 된다.

Drafts 앱과 연동이 되는 장점때문에 iOS 기본 Reminder를 쓴다. 할일 목록을 살펴보고 전날 포스트 잇이나 수첩등 메모장에 3-5가지를 적어놓고 위에서부터 하나씩 지워나가도 된다. 쉬운방식이 가장 좋은 방식이다.

Imbue Time

시간은 그때 그때 기록해야 오류가 적다. 바로 측정되지 않은 시간은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쉽기때문이다. 수첩에는 시간 사용에 대해서 바로바로 점을 그어준다. 어떤 전환이 있었을때 하면된다. 중간중간 전화, 미팅, 대화등 잠깐의 방해도 전부 기록한다면 오히려 방해가 된다.

20140101-181746.jpg

그렇게 기록된 타임Table에 색깔을 입혀준다.(iMbue Time 2014 | #eWord) 같은 내용일지라도 그 의미는 다를때가 있기 때문이다. 같은 회의라도 성과가 제대로 도출되는 의미있는 회의, 시작하는 일상의 회의, 시간만 낭비되는 회의로 구분된다.

마무리 Routine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캘린더에 오늘 있었던 만남, 전화, 기록들은 간단하게 남기고, 기존 과제의 진도 및 남은 할일을 업데이트 하며, 오늘 시간 사용이 얼마나 가치있게 물들었나를 돌아보면 마무리 루틴이 완성된다.

Review co-de-space

co-de-space. 수첩리뷰 😉

20140407-102610.jpg

  1. 촉감은 좋음
  2. 수첩은 가로형 – 책갈피로 있던 Tips는 세로형
    20140407-102617.jpg
  3. 내지에 카드를 꽂을 수 있는(카드 1장 명함 3매정도) 수첩이면 좋겠음
  4. 가로형수첩은 아무래도 잘 사용하지 않게된다는
  5. 주간시간(주로 업무를 하는)을 보여주는 시간표는 많음 – 관련된 업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괜찮음
    20140407-102623.jpg

😉 출근전, 퇴근후 시간을 확장시켜서 Routine을 체크하게 해주는 수첩을 기획해도 괜찮을 것 같음. >:D  주간 Time에는 그날 중요한 일 3가지만 기록하게 하고.

First Half 2013


First Half 2013 by ehrok July 07, 2013 at 07:30PM

2013년도 반이 지나갔다. 아직 반이나 남아있나? 수첩을 중심으로 작성하고 좀 길게 메모가 필요한 사안은 A4로 사안별로 작성하고 Scan+Cloud를 활용했다. 각각 파일링하는 것보다는 집게를 활용하는 것이 확실히 괜찮기는 하나 종이가 흩어져버리는 단점과 스캔한 파일과 완료후 다시 스캔하는 파일이 중복되는 면도 있었다. 그래서 다시 노트를 활용했다. 메모를 즐겨하는 사람들에게는 종이의 크기가 생각의 크기를 제한 하는 것처럼 느껴질때도 있다.

책상에서는 노트를 주로 활용하고 평소에는 수첩을 쓰는 것이 제일 낫더라. 물론 노트에 적는 것은 다시 보기위함이라기 보다는 적으면서 기억을 더 잘하기 위함이고, 수첩은 되돌아보기 쉽게해서 더 많이 반복하고 외우기 위함이다. 행위는 예전과 같을지 몰라도 관점은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메모를 많이 하다보면 태도가 ‘나중에 다시보지 뭐’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상당히 위험하다. 뇌도 기억을 미루는 경향을 보이면서 필요한 시간이 두배가 되기 때문이다. 모든 메모는 ‘기억을 강화’하기 위해서 해야한다. 기억하지 못한다면 내것이 아니다.

수첩 앞면에는 항상 명심해야 할 사항을 적는데 매월 같을 것 같지만 약간씩 변화하는 모습이 내가 중점두는 관점이 변화하는 바를 보여준다. 6월들어서는 적지 못했는데 반복적인 직무로 변화하면서 조금 엉킨 느낌이랄까. 매년 정리하는 글을 부족하지만 적었었고, 그 글을 텀블러에 링크했었는데 역시나 그때그때 남겼던 글들이 지금의 나를 돌아보는데 큰 도움을 준다.

[상반기 메모목록]
– 업무log (제일 상단에 있는 것들은 clip되어있는 미결목록이 된다) – 생성한 Cloud문서 위주.
– 노트목차 – 나중에 검색할때 도움이 된다. – 갑작스런 전화, 대화, 소소한 내용들 + 배운것들 처리가 된다.
– 수첩목차 – 구분하는게 낫더라.
– 글목록 2013

[정리하는 방법]
업무log는 일일작성하고, 노트 및 수첩 목차는 주간에 한번정리한다.
– 배운것은 블로그로 그때그때 발행.(목차가 에버노트에 쌓인다)
– (에버노트에 쌓인)글목차를 한달에 한번정도는 글종류별로 분류.(blogspot에 목차로 정리)
– 블로그 글을 쓰는 것도 무작정하는 것이 아니라 글목록에서 연관되게 작성해야 MECE적으로 처리도 되고 채워지게도 된다.

Change W Jotter

W Jotter

  1. Pocket, Name Card, Post-it, Price
  2. iMbue Time(Only Context Box + Color)
  3. Pencil M Plan
  4. Stick – Write Lists
  5. Work lists = Notes –> Jotter
  6. Learn –> T.   Block Scatter
  7. 明心

+ Daily Color Box Routine (Make(Y), Field(G), Learn(B), Point(P))

 

😐  워드프레스에서 글자색 입히는거는 어떻게 하나. 색 고를 시간에 그냥 적는게 낫다면 그냥 모르는게 나을 수도.

2013-1 수첩

Well Doing 과 Well Dying 이 만나면 Well being이 된다.

  • iMbue Time
  • 의식과 무의식 – 박경철
  • Simplify – Leo Babauta
  • 글쓰기의 기술
  • 책읽기의 기술
  • 능숙함의 비결
  • 습관을 따라가는 방법
  • 박.자.세 박문호
  • 할일, 배우는 일, 쓸일
  • Murakami Haruki – M essay

😐 오늘은 보물찾기 하는 날입니다. 찾으려면 숨겨놓아야지요. 보물 퍼즐을 다 맞추면 현장록이 될까요. 시작이 될까요.

Color memo

3색 볼펜 색상별 사용기준 및 5색 형광펜 사용기준

3색 볼펜은 메모후 리뷰, 글쓰기, 회의결과 작성할 때 효과적, 5색 형광펜은 시간을 물들일때(iMbue Time), 메모를 묶어둘때(Box Memo – 쓸 것, 현장확인, 배운것, 없앨것, 중요한 것) 사용함. 보라색보다는 회색이 적당했지만 주위에서 편하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하기위해 다시 보라색.

Continue reading Color m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