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의미

친구를 오랜만에 만났다. 지나가다 들렀다고 한다. 식사중 그가 물었다. ‘저번에 동생일은 어떻게 됐어?’ 간결하게 답했지만 포인트가 이어지면서 전체적인 상황을 다시 구성하게 되었다. 감정의 파도가 일어나지 않도록 차분하게 했고, 이야기가 마칠땐 혈압이 약간 올랐을 뿐이었다. 마쳐야 할 일이 있어 돌아온 사무실이었지만 한동안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멍이 들었구나. 결국 아무것도 못했다.

글을 쓴다는 것

그렇게 흔들리고 싶지 않아서 글로 남기는 상황들이 있다. 그런 글을 쓰는건 꽤 힘든 일이지만 그런 글이 없어 반복해야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글이 있어 읽는다고 모두가 이해하는건 아니지만 내가 반복할때 예상치 못한 감정에 휩쓸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에너지를 흐트러트리지 않고 글을 통해 같은 곳을 바라보는데는 도움이 된다.

나에게 글이라는건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였다. 같은 내용을 반복하기 싫어 요약하는 도구. 컨텍스트는 만남에 따라 달라지기때문에 What이나 How에 대한 내용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놓으면 만남을 앞뒤로 연결해주는 도구가 된다. 전체적인 내용을 흐트러트리지 않고 간결히 압축해서 전달하는 날씬한 도구로 만드는 것이 처음 글을 쓰는 목표였다.

IMG_5441

글을 쓰는 두번째 이유는 배우기 위해서였다. 한번 읽고 본것으로 알고 있다는 착각을 하기 쉽다. 정보의 홍수속에서는 많은것을 아는것 같아도 정작 제대로 알고 있는 경우는 적다. 정보가 나라는 필터를 거쳐 글로 나오는 모습을 보면서 내가 제대로 배우고 있는가를 알수 있다.

세번째는 그 당시의 나를 남겨놓기 위함이다. 인생의 어떤 시기에서 남겨놓은 글들은 돌아보면 부끄러울 때도 있고 부러울때도 있다. 과거의 나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어떤 글은 그때가 아니면 절대 나오지 않는 글들도 있다. 반드시 그때 감정을 옆에 앉혀놓고 써야만 나오는 글이다. 오늘과 같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감정을 실은 글과 같이.

나에게 글이란 정보를 전달하고, 배우고, 나를 남기기 위한 도구다.

2014년의 단어

한해를 대표하는 단어를 선택해본다. 2012년부터1 정기적으로 해오던 일인데 어떤 이정표를 세운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관점을 선사한다. 연초에 선택한 단어와 한해가 지나고 난 후에 달라지는 단어가 있을때도 있지만2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기 때문에 좋은 마일스톤들이 된다.

  • 2010 배움
  • 2011 실천과 배려
  • 2012 상호작용
  • 2013 반복

2014년은  선택이 적당하겠다 생각했는데 스티브잡스, 월터아이작슨, 폴 그레이험의 영상3을 보던 중간에 Count가 더 낫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선택한다는 것, 선택한 것에 집중한다는 것은 그 일을 숫자로 셀수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014 COUNT


  1. 비움을 위해 아침 차한잔, “쓸데없는 짓이야”라고 말하기, 순간에 충실하기등을 다짐했었다. e blogspot: 2012년의 결심 11.12.31. 
  2. 결심할때는 비움이었는데 한해를 마치고 나니 상호작용이 적당했다.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 어색한 단어이긴하지만. Interactive 라고 하면 좀 나아보이나.  2013 單語 | #eWord 13.01.03. 
  3.  Mikey Lee – YouTube. Inspiration 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24편의 영상이 있다. 지인들에게 추천하다가 내가 다 보게되었다. 돕고자 하는 마음이 또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 

페이스북 2013년 한국 단상.

(페이스북 비활성화에 관한 단상: 새로운 자아, 새로운 상호작용 130715 – Suhkyung Selene Kim 의 요약본)

페이스북을 비활성화함으로써 가용한 시간은 분명 늘어났다.

그 시간에 세 편의 짤막한 글을 썼고 서너 편의 논문을 더 읽었으며 읽던 책 역시 중반 이상을 훌쩍 넘어섰다. 그와 동시에 예상치 못했던 답답함이 찾아왔다.

필요한 주소가 메신저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평소 즐겨 쓰던 음악 서비스 역시 접속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엔드노트EndNote에 모아두던 레퍼런스를 좀더 체계적으로 정리할 생각으로 브라우저를 열었다가, 저도 모르게 뭐가 제일 편리하냐는 질문을 페이스북에 타이핑하는 자신을 상상하고 말았다 (결국 구글 검색으로 해결하였다). 기사를 읽으며 떠올린 생각을포스팅하려다 멈추고 말았다. 여기까지 이르자 순간 아연해졌다. 페이스북의 부재가 내게 이 정도였던가? 아, 레이 커즈와일이 언급한 특이점이 이미 넘어버렸구나.

페이스북은 <Who I am>의 차원을 넘어선 <What I do>의 영역으로 발을 들여놓았다. 페이스북의 네트워크는 크게 두 범주, 즉 졸업한 대학과 출신/거주 지역으로 개개인을 묶어준다.  (과거 혹은 미래의) 일상을 공유한다는 것은 교류를 이어가는 데 꼭 필요한 접점이다. 타임라인에 올라오는 정보를 통해 지적 자극을 받는 개인은, 자연히 그와 관련된 또다른 정보를 생산하거나 가져옴으로써 (타인에게 영향을 미칠 만한) 또다른 지적 자극을 만들어낸다.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지적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개인의 ‘자아’는 더 이상 고정형이 아니다. 유동적이며 현재진행형인, 성장하는 자아다. 정체성self-image과 사회적 자아social-self를 아우르는, 보다 큰 개념으로서의 자아이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대개의 경우 공통적인 발상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간 자아의 ‘분리’(밎 분리가 초래할 수 있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현재의 소셜미디어에서는 아니다. 두 자아는 병존하는 동시에 상호작용한다.상호작용은 개인과 링크된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확대된다.  시공간으로 묶인 다수의 개인들이 집약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간의 경계는 예전만큼 큰 의미를 지니고 있지 못하다.

소셜미디어 상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력이야말로 사회과학의 제반분야와 그에 인접한 기타 인지(신경)과학 및 공학 분야등에서 지속적으로 탐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 개인 내-외적 상호작용을 보다 구체적인 개념 및 현상으로써 정의할 수 있는가? 속성 및 특징은? 기술적 플랫폼/커뮤니케이션은?  네트워크가 보여주는 물리적 특징은?  이러한 상호작용의 체화된 인지 embodied cognition와의 관련은? 이 모든 질문들은 적어도 한번쯤 생각해 볼 만한 주제다.”

😐

+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 배울수 있는 것들

트위터를 통해 행동경제학과 자연과학에 관심있는 분들과 연결될 수 있었으며, 요청(멘션)에 의해 책을 추천받기도 했다. 그 추천받은 책들은 내가 묻던 질문에 대한 답을 주었고, 그 덕에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었다. 단축된 시간은 몇달 또는 몇년이었다. 그 책들을 만나기 전에는 몰랐을 내용들이었으니까. 페이스북을 통해서는 내가 생각하는 바를 지인들과 간혹 이야기할 수있는 공간, 바빠서 만날수 없던 지인들과 농담을 나눌 수 있었던 공간이었다.  각 소셜에서는 hub가 되는 사람이나 이벤트가 있었고, 평소에는 만날수 없었던 사람들과 연령의 스펙트럼도 넓힐 수 있었다. 누군가를 알고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만남에 있어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절감되었다. 발견비용의 절감.

+ 웹에서 보고 배운다.

스트림을 통해 조금 빨리 접하는 정보도 도움이 될때가 있지만, 정보의 홍수시대에서 조금 빠른것은 이제 중요하지 않다. 신뢰있는 정보가 중요하다. 각 정보는 연결된 사람들의 정보선택에 기대어 있다. 조심해야 할 것은, 선택에 온전히 기대지 않는 것과 눈앞에 보이는 정보가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을 계속 지니지 않으면 위험하다는 점이다. 말은 간단하지만 어려운 부분이다. 각 서비스가 나에 대한 정보를 모으게 되면 될 수록 내가 볼 만한 것만 보게 한다. 정보의 다양성을 유지해야 한다.  배우려 마음 먹으면 얼마든지 배울 수 있는 세상이다. 필요한 건 언어의 장벽을 넘는것과 불필요한 짓을 안하는 것.

우린 해야한다는 것이 너무 많다. 어디나. 글을 업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위기를 겪고 있는 2013년이나,  예전에는 개인이 하기에 불가능 했던 일들이 이제는 상상력과 노력만 보태면 개인이 어느 집단 이상으로 다양한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하지만 다들 못한다. 왜냐하면, 다들 너무 바쁘다. 냉소적인 현실도 한 몫 더한다.

보고 배운다는 것만큼 진실이 없다.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배운다는 것은 무엇인가. 장님도 볼수 있다.  머리로 배운다고 배우는 것이 아니다. 나는 어떤 것을 보고  지내는가. 일주일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얼마나 달라졌는가. 아이들은 어떤것을 보고 배우며 자라날 것인가.  우리의 아이들은 웹에서 보고 배운다.  우리도 문제가 생기면 네이버나 구글에 물어본다. (네이버에는 왜 물어보는지 모르겠지만 많이들 그렇게 한다)

+ Identity와 그룹

대학교 시절 누구에게 연락을 하려면 두가지 방법이 있었다. 집에 전화해서 바꿔달라고 하거나 삐삐를 쳐서 나에게 전화하게 하거나. 지금은 휴대폰 전화, 문자(소셜 문자서비스 통칭), 이메일로 접속할 수 있다. 휴대폰 뒷번호 4자리 관리하듯 이메일도 관리를 해야한다. 한국은 이메일이라는 아이덴티티를 그냥 지나치고 소셜아이디만 관리하는 것 같다. 그래도 앞으로 중요한건 개인이메일이다. 덧붙이자면 개인 블로그까지. (業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컨텐츠라는 관점에서 관련없는 業은 없다. 관련없는 개인이 있을 뿐)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사람들,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끼리 분화되며 각각 묶일 것이다. 끼리끼리문화가 더 심해지는 것이다. 어떤 것을 사용하며 어떻게 연결될 것인가. 어떤 것을 반복하며 지식의 축척을 이룰 것인가.

+ 집단지성과 댓글

집단지성은 불가능하다. 지성을 위해 필요한 댓글들을 둘러봐도 그다지 좋은 사례를 찾기 힘들다. 왜냐하면 각자 알고 있는 지식의 비대칭이 크다. 댓글은 지식을 축척하는데 적절히 코멘트되지않고, 도움될 자료가 링크되지도 않는다.  가르침을 줄수 있는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 공부하기 바쁘겠다 싶다.

각 지식그룹내의 지식의 축척이 있고, 서로 다른 그룹을 연결하는 사람들이 있을때 창의성과 혁신은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 앞으로

다들 변화한다고 했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변화가 주위에 와 있을 것이다.” 라는 이야기도 이젠 옛 이야기다. 이젠 내가 그 방향을 보고 있지 않다면 눈앞에 보이지도 않을 것이다.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눈과 귀를 막고 다닌다.  어느 순간에 변화가 내 주위에 보인다면 그나마 행복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Link되어 있으니 보이는 것이다.  Link 될 것인가 , Unlink  될 것인가.

배움과 노트

이 글은  gaddongyi: 디지털과 메모 130424 발췌본입니다. 

언젠가부터 업무용 노트를 거의 쓰지 않는다. 해야하는 일이 머리속에 완전히 암기되어 (중략) 그렇다. 또 실무를 하지 않으니 관리자들이 가져오는 업무보고만으로도 무리가 없다. (간혹 to-do list를 해야하는 경우는 post-it을 쓰고 버린다.  to-do list에 매달리면 업무가 파편화되고 연결성이나 우선순위선정에 큰 도움이 안된다) 그런데 2년전 즈음부터 노트를 쓰기 시작했다. 폭발적으로 늘어난 컨텐츠의 양이 SNS나 reader, favorite 등으로 관리가 되지 않아서 읽고싶은 내용은 많으니 이곳저곳 자료는 쌓아놓는데 며칠이 지나면 잊는다. 쌓아놓은 자료를 이젠 다양한 공간에서도 iPad나 랩탑이나 킨들이나 클라우드로 손쉽게 볼 수 있는데도 정작 완전한 소비가 되지 않아서도 그렇다. 내게 완전한 소비란, 내용을 곱씹고 충분히 이해하고 내 지식sphere를 재구축하는 과정이다.

  • 한권은 블로그 포스트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주로 쓴다. 이렇게 특정 목적이 있으니 노트 자체도 효용이 높다. 하나의 블로그와 상응하니 인덱싱이 편하고 구역별 연결도 된다. 무엇보다도 배움이 휘발되지 않고 축적되니 기분이 좋다.
  • 다른 한권은 잡동사니 노트다. 굳이 블로그에 포스트하지 않더라도 놓치고 싶지 않은 공부의 내용을 정리한다. 이 블로그에 간혹 도움이 되는 단상을 쓰기도 하고 특정 업종을 분석할 때 요점이나 아이디어를 써놓기도 한다. 한가지 주제만 메모를 한다면 답답했을 터인데 이 노트가 있으니 정신이 자유롭다.

노트가 있으니 펜도 많이 쓴다. 흑,청,적 세가지 펜 한세트면 한달 정도 가는 듯 하다. 아마 대학원시절 이후로 필기를 제일 많이 하는 듯 하다. 필기를 하다보면 사실 답답하다.(참고글: Color memo 130117| #eWord.)

미디어 전략가인 Rishad Tobaccowala는 디지털이라는 단어를 1991년부터 썼다. 그는 이제 디지털이라는 단어가 너무나 진부하다고 한다. 그 단어로는 감싸안을 수 없는 디지털세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류가 배움을 쌓고 넓히는 습관이 20년 사이에 바뀌지는 않았을것이다.  어차피 디지털이나 아날로그나 경계도 없어지는 마당에. 방법이야 어찌되었건 그 배움을 날려보내지 않고 소중히 간직하는 게 더 중요한 것 아닐까.

  • 손, 메모, 기억의 관계 참고글

손이 기억하는 세계가 있다. 도자기를 할 때 처음에는 흙덩이의 중심을 잡는데 신경을 쓰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모양을 만들지를 생각하면 저절로 그 모양이 만들어졌다. 손이 기억하여 모양이 만들어진다. 현대사회에서 문명의 이기들로 인해 점점 손으로 기억하는 세계가 사라지고 있다. 밭을 일구고, 친구와 놀이를 하고, 물건을 만들고, 세상을 어루만지며 확장되었던, 손이 기억하는 세계가 줄어들고 있다.

눈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글씨로 쓰게 되면 감각 지연이 일어나면서 글자에 대한 정보를 한층 세밀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via 에세이 – 손이 기억하는 세계.

  • ‘@gaddongyi Style | #eWord을 정리하다 멈춘적이 있었는데,  담고 있는 정보량과 연관된 생각이 많았기 때문이다. 아래는 참고할 또 다른 글들.

110826 다음의 17가지 list가 Lominger 의 역량모델 중 내가 뽑은 ‘직원관리’에 해당하는 역량competency들이다. via 직원관리 전에 관리할 사람 110826 | gaddongyi.

버릇이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는 시기가 있기 때문에 그 시기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좋은 버릇, 습관을 기르는 데에 대한 책과 생각은 많다. 근데 ‘중년’이 되어서는 그런 조언과 글이 별 소용이 없다. ‘중년’이 되기 전에 새로운 버릇을 만드는 체질을 만들어놔야 한다. 젊었을 때도 이걸 알아야하고 나이 들어서도 알아야 한다. 성공에 대한 강압감과 사회, 가정적 책임감이 너무 무거운 한국의 중년. 그 때 나의 행복지수를 올리는 방법은 그 시기의 의미를 내가 잘 알아야하고 준비하고 이겨내는 것이다 via 버릇. 젊을 때 모르는 것, 나이 들고도 모르는 것 110419.

120104 현업실무에 너무 쫒겨살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생각의 정리, 글쓰기의 연습이 절실해졌고 정확히 365일 전 오늘, 난 트위터를 시작했다. 그리고 블로그도 시작했다. 그 땐 정말 아무런 생각이 없었다. 그저 한 걸음 뒤로 나와 무언가 다른 작은 걸 해보자는 생각뿐이었다. 그저 그게 맞는 일 같아서.

이미 세상은 “연결”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연결은 점점 촘촘해져 간다. 그 연결된 세상 속에서의 내 작은 목소리, 내 스스로에 대한 목소리가 남들에게 발견되고 소통되었다.  잘못은 주객이 바뀌는 경우다. 흥분된 우리는 “연결”을 목적으로 삼는 우를 범하기 쉽다.  트위터나 여타 소셜네트웤를 통해 얻는 지식은 파편적일 수 밖에 없다. 그 파편들을 모으고 퍼즐을 맞추고 나만의 그림을 완성하려면 그 소셜네트웤을 “먹는” 시간의 몇십 곱절을 “되씹”고 “소화”시켜야 한다. 크기에 관계없이 스크린에서 눈을 떼야 한다. 그리고 생각을 해야한다. 정리를 해야한다. 균형이 맞춰져야 한다. via gaddongyi: 120104 세상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것.

[110108 첫번째 글] 조직에서 리더를 선정할 때는 일을 잘하는 사람을 뽑는 게 아니다. 일잘하는 사람들을 부릴 줄 아는 사람들 뽑는다.  via 다른 문화 이해하기 – 왜? | gaddongyi.

Elie Wiesel

원래 루마니아 지역 유태인으로 태어난  Wiesel은 나치의 [아우슈비츠] 감옥소를 거쳐서 살아남은 후, 계속 인간성(Humanity)의 본질을 탐구하고 평화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활동하여 왔다.

“내가 얻은 지식은 내 뇌 속에만 갇혀 있어서는 안 된다. 나는 그 지식을 많은 사람들에게서 빚지고 있는 것이며 나는 그 지식을 가지고 무엇인가 하여야 한다. 그들에 의해 나에게 주어진 지식을 내가(다른 사람에게 나누어줌으로써, 다른 이들을 위하여 무언가를 함으로써) 갚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 Elie Wiesel, Jung-Mo Lee: 배움과 앎나누기  “

정보의 양과 질은 반비례 관계이기 쉽고 양과 힘은 분명한 반비례다. 나누는 것이 중요하기 보다는 필요한 정보를 받아들일수 있게 펼쳐놓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인류의 지식에 더할 것이 있어서 책을 내는 사람을 제외하면 그 외의 책은 죄다 자기 에고를 위한 정신적 자위행위일 따름이다. -Blogger B”

라는 말을 들은후 정말 가치가 있는것을 생성하고 나누는지 계속 반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