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1년

본사에서 근무한지 1년이 지났다. 그간의 모습을 둘러보았는데 그 중 필요한 부분을 개념화하고 정리하는게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첩과 노트도 어느정도 양이 쌓여야 나아지는 부분이 있지만 그 양이 많아지면 다시 돌아보는 것도 일이 되고, 이렇게 정리를 해야, 곁가지를 쳐내고 줄기를 세워야 더 가치있어지기 때문이다.

20140513-172006.jpg

업무기록방식

처음에는 낱장의 1page 메모 및 스캔하는 방법을 활용했으나, 이젠 현장에서 처럼 이동이 잦지 않고 낱장인 경우 흩어지는 경우가 많아 한달여가 지난 다음에 다시 노트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노트는 다시 돌아보기가 쉽고, 디지탈화 된 정보는 공유 및 검색이 용이하다. 노트는 매주 한번씩 주요목차를 구글문서로 업데이트 했고, 그 목차는 그대로 주요 이력이 된다.

일정 및 약속에 있어서는 구글캘린더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호를 곁들여 사용하는 것이 시각적인 효과를 높여 리뷰를 용이하게 한다. 검색이 잘 안되는 단점이 있는데 맥 캘린더나 outlook 캘린더와 연동후 컴퓨터에서 검색하면 그 검색결과가 잘 나온다.

팀원간 주간업무는 엑셀파일로 취합 및 배포하는데 내 방식을 강요할 상황은 아니어서 그대로 하고 있다.

윈도우와 맥을 같이 사용하고 있어서 클라우드로 서로 연동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나 맥으로 sync하고 나면 윈도우에서 한글로된 파일명들이 전부 분해되는 탓에 결국 완전연동에는 실패했다. 업무는 주로 윈도우에서 하고 그 성과물에 대해서는 (필요하면) 맥에서 보완하는 방식을 쓰고 있다. 윈도우에는 Excel 이라는 킬러앱이 있고(맥에서 excel은 완전히 다른 프로그램이다), 맥에서는 Scrivener, Devonthink등의 킬러앱이 있다.

몇가지 일들

1년전에 비해 클라우드로 업무하는 범위가 넓어졌다. 회사이메일 – 구글계정은 대부분 연동되어있고, 행아웃의 사용율도 높아졌다. 이번달 부터 현장안전관리를 위해 전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식이 확산되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 같다.

올해들어 그룹내 구매전문가 교육을 매주말을 희생해가며 듣고 있다. 그 결과물에 대한 난이도를 높이니 듣는 재미가 높아졌다. 몰입은 난이도와 실력이 비례할때 발현된다는데 우연치 않게 시작하게된 과정과 방식은 수업의 재미를 배가 시켰다. 과정이 마치는 6월중순에 물건이 하나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벌써 1년 목차

업무 방식중 공통분모로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을 발췌해서 글을 작성하다보니 그 범위와 길이가 생각보다 길었다. 너무.

써야할 글목록겸 목차를 뽑아봤다. 틀을 만들어 놓고 글을 하나씩 쓰는것도 괜찮겠다 싶다. 어떻게 보면 “벌써 1년”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했지만 책꽂이에 있는 내용들이 같이 소리를 내는 것이리라.

20140513-151046.jpg

  1. Action, Activities, Act
  2. 관점 – 팀원, 내부고객, 외부고객
  3. Count I – Filing – 팀파일 vs 개인 파일 – 노트
  4. Log – 목차 : 노트 vs 수첩
  5. 책상정리와 컴퓨터 자료정리
  6. 클라우드와 자료찾기, 팀 커뮤니케이션 빌딩.
  7. 검색
  8. 협업 – Messages, Schedule, Tasks
  9. Work – Calenders, Todos
  10. Count II – 측정과 지표
  11. 성과물, 형식지 그리고 지식
  12. Link & Loop

노트와 온라인문서 조화시키기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글을 조화시키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오프라인을 뼈대로 하고 온라인을 사용하거나, 온라인을 뼈대로 하고 오프라인으로 되새김질 하는 방법이다. 전자는 노트를 사용하고 온라인으로 목차를 작성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블로그를 메인으로 놓고 별도 목차 노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배움과 노트 | #eWord.)

노트를 작성하고 온라인으로 목차를 작성하는 경우 에버노트, icloud, Google Docs 등 여러가지 대안이 가능하나. (글쓰기 도구 WriteMonkey | #eWord.는 연속된 글을 작성할때 적당하지 목차를 연계하는데는 적당치 않았다) 소제목의 스타일이 6단계까지 가능하며, 각 단축키를 지원하는 Google Docs가 제일 낫다.  (Paragraph Styles For Work | #eWord)

목차 작성시 문단의 활용(각 번호는 문단의 Level번호)

  1. 노트 제목(No. ID)
  2. (미사용)
  3. 중점 프로젝트(월간, 주간 주요 사항, BSC관련) – Big Rocks
  4. (밑줄서식으로 제외 – 하이퍼링크와 혼동된다)
  5. 일일 중점 사안 – MITs
  6. (미사용)

+ 1~6 단계는 본인이 편한대로 쓰면 된다. 1,3,5번을 사용하는 것이 간격이 적당히 구분되어 가시성이 확보되었다.

+ Asana에서  Docs 링크를 연계할 수도 있다. Asana · Task Management for Teams | #eWord.

+ 회의록 작성의 기술 Taking Minutes Well | #eWord.

Paragraph Styles For Work

Paragraph Styles For Work

업무일지 작성시 Paragraph Styles 을 아래와 같이 지정하면 편하다.

  • 0. 제목, 부제목은 단축키가 없음. 아래 1 번은 Heading 1 을 지칭함. ‘단축키는 C + A +숫자’
  • 1. 노트구분 – 대분류
  • 2. 중분류 – 월간, 주간구분 정도의 level(Big Rocks)
  • 3. 일일 구분 – 일일구분에 소소한 전화등 메모를 모아놓는 란을 마련해놓고 사안별로 한페이지를 사용한다. 왼쪽은 문제, 오른쪽은 해결로 종결.
  • 4. 일일 주요 업무(MIT: Most Important Things)
  • 5. 나중에 검토해야할 기억사항 (someday 1)
  • 6. 글감(Someday 2)

2013-1 수첩

Well Doing 과 Well Dying 이 만나면 Well being이 된다.

  • iMbue Time
  • 의식과 무의식 – 박경철
  • Simplify – Leo Babauta
  • 글쓰기의 기술
  • 책읽기의 기술
  • 능숙함의 비결
  • 습관을 따라가는 방법
  • 박.자.세 박문호
  • 할일, 배우는 일, 쓸일
  • Murakami Haruki – M essay

😐 오늘은 보물찾기 하는 날입니다. 찾으려면 숨겨놓아야지요. 보물 퍼즐을 다 맞추면 현장록이 될까요. 시작이 될까요.

Field Log

현장록.  건축엔지니어와 관련된 사람들을 위한 책이 필요해서 한참을 찾았으나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만들었다.

언젠가 세상에 나올때가 있겠지만 2012년 12월 이렇게 목차가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남기고 싶었다. 물론 그 언젠가가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다. 예전에는 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나 지금은 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목차

  • I. Dimension
  • II. Function
  • III. Beauty
  • IV. Needs
  • V. Environment

현장록 – Google Drive

Jotter 121220

‎2012년 12월 20일을 마무리하는 수첩이 되었네요.
2012.12.20

[주요내용]

  • 현장록
  • 팀정보 공유체계 및 협력사 전달 피드백 체계
  • 개인정보관리(메모법,수첩,노트관리,개인 Cloud  정보체계관리등)
  • 효과적인 업무처리를 위한 사항들(마무리, 위임, 전달)
  • 明心

정보의 홍수속에 정보량이 많아지니 중요한 내용들이 묻혀버리면서  될듯 하면서 안되는 일도 많아지는 것 같아요.  저부터 더 쓰고, 더 숙성하고, 덜 공유하겠습니다. 하루와 순간에 더 충실해야겠지요. 일하고, 공부하고, 쓰면서 한걸음씩 걷겠습니다. –  fb 2012년 12월 20일을….

앞으로 쓰여질 수첩과 노트입니다.

W수첩, H수첩, T수첩

노트(스프링 노트는 올해썼던 노트였네요)

TOC Memo

목차(Table of Contests) 메모시 안드로이드, 아이패드(아이폰), Gmail을 cloud로 싱크해놓으면 편하다

단, 안드로이드 Gnote에서 입력한 사항은 아이패드(아이폰)에서 인식이 안된다. 또한, Notes 하부 분류를 주는경우 아이패드(아이폰)에서는 분류인식이 되나 Gnote에서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메일에서 나중에 Notes로 라벨을 주더라도 Gnote에서는 모두 인식이 된다.

결론: 목차는 아이패드(아이폰) 기본 노트로 입력관리한다.

  • Notes 하부 라벨로 구분라벨(예)Notes>목차 를 두면  더 좋다
  • 출력은 그대로 해도 된다.(시간이 같이 출력된다)
  •  안드로이드 Gnote로 읽으면 전부 같이 읽힌다. 인식된 사항을 Gnote로 수정하면 원분이 수정되어 버리니 유의할것(특히 이메일 수발신된사항도 수정되어 버리니 유의)
  •  ifttt로 notes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되나 너무 많은 내용이 자동으로 되니 별도 라벨(ever)를 설정하는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