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System

땅의 특별함, 역사, 비평, 건축가의 머리속, 감각과 언어

모양과 기능, 기획의도제시, 사회적 문화수준, 면허, 아파트와 차별화, 제약과 아이디어

예의, 도리, 설계, 모든 것이 디자인, 설계의 완성도, Open Open Open, 언론, 교육, 그리고 일상.

건축계 « #eWord.

 

 

😐 좋은 답변은 좋은 질문이 바탕이 됩니다. 재미있기까지 하다면 더할나위 없겠죠. 더할것이 없었습니다.

LAW

국가법령정보센타 http://law.go.kr/main.html

예) http://www.law.go.kr/법령/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http://goo.gl/AP3ma

http://curriq.com/course/62

Zero Energy House

건축물리란 단열,방수,방습,방음,내화에 대한 내용으로 독일에서는 필수과목입니다. 또한, “건물지으면 면적당 난방비가 얼마들지요?” 와 같은 질문도 한국에서는 전혀 받아볼 수 없었습니다.

  1. 쾌적성
  2. Passive & Zero-Energy
  3. 건물의 부위별 Energy Saving 요소
  4. Design, Detail & Tight (Case)
  5. 질문의 전환과 Idea의 결합

친환경도시와 에너지효율도시는 다른 개념입니다. 하지만 도시를 만들때는 융복합되어야 합니다.

에너지 성능개선사업과 장애인 편의시설사업은 통합되어 추진되어야 합니다.

실용적인 녹색건축의 사례와 전망 120827 이명주

저자약력: 독일에서 건축 복지 전공. 에너지에 대해서 2003년부터 연구. 현재 벤처회사 운영중